|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
2007/11/12 01:59:52 |
Name |
필리온 |
Subject |
바뀌어가는 것. |
양신, 프로야구 선수이지만 '신'으로 불리는 선수가 있다. 삼성의 팬이라면 한번쯤은 누구나 불러봤을 이름. 양준혁.
나는 93년인가 94년인가, 중학생 때 신문에서 읽었던 양준혁의 1차 지명 기사를 기억한다. 삼성은 걸출한 왼손 거포 양준혁을 지명할 가능성이 높다고.
그 신문을 보았던 때로부터 벌써 13년인지 14년인지가 지났다. 양준혁은 선수협으로 트레이드되는 아픔이 있었지만, 결국 삼성으로 돌아왔다. 그리고 14년이 지난 지금도, 삼성의 주축 타자로 활약하고 있다. 내가 삼성이 지면 훌쩍거리던 코흘리개 아이일 때 야구를 시작했을 양준혁은, 내가 서른을 바라보는 지금도 그라운드에서 누구보다 최선을 다해 뛰고, 슬라이딩하고, 다이빙한다. 그래서 사람들은 그를 '양신'이라고 부른다.
스타크래프트라는 게임이 나온 것은 내가 대학교 1학년 때였던 걸로 기억한다. 왜 그렇게 스타크래프트가 폭발적인 인기를 얻었는가, 그것은 나도 잘 모르겠다. 수많은 외부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겠지. 아무튼, 그 뛰어난 게임은 플레이를 지켜보는 것만으로도 재미를 줄 수 있는 전략 게임이었고, 그에 따라 처음으로 게임 방송이라는 것이 생겨난다. 그것이 자리를 잡고, 활성화되고, 시간이 흐르고...
내가 스타리그를 처음으로 (열심히) 본 것은 홍진호와 서지훈의 올림푸스 결승전이었다. 저그 유저인 나는 홍진호를 응원했지만 결과는 서지훈의 3:2 승. (그게 그 험난한 응원 세월의 시작이리라고는 그땐 미처 알지 못했지..) 신예 서지훈은 퍼펙트 테란이라는 닉네임을 얻으며 테란 진영의 최강자 중의 하나로 떠올랐다. 그 경기를 시작으로 나는 스타리그를 보기 시작했다.
얼마 전, 서지훈과 김택용의 준결승전을 보았다. 서지훈은 이미 중견 게이머, 아니 차라리 올드 게이머라는 표현이 어울릴 정도의 위치에 서 있었다. 서지훈은 결국 그 경기에서 패했다. 그리고 두각을 드러낸 지 얼마 되지 않은 김택용의 결승 상대는 김택용보다도 어린 신예였다. 그 신예는 단 2년 전만 해도 도저히 질 것 같지 않았던 최연성을 격파하고, 1년 전만 해도 도저히 질 것 같지 않았던 마재윤을 격파하고 결승에 올라왔다. 충분히 그럴 만한 실력이었다. 결승전이 기대되는 경기력이었다.
그러나 나는 단지 게임을 보려고 스타리그를 보는 것이 아니다.
너무, 빨리 변화하고 바뀌고 잊혀져 간다.
5년 전에 16강을 이루던 그 많은 선수들은 지금 무엇을 하고 있을까? 홍진호는 다시 스타리그 무대에 오를 수 있을까? 이윤열이, 최연성이, 마재윤이 도저히 질 것 같지 않았던 시절이 었었고, 그 시절은 눈깜짝할 사이에 바뀌어간다. 6개월만 스타리그에서 눈을 떼고 있으면 그새 판은 언제 그랬냐는 듯 완전히 바뀌어 있다. 모든 스포츠에 세대 교체가 있다지만 이건 너무 빠르다. 2년? 1년? 6개월? 3개월? 스타크래프트 방송을 본 지 불과 5년밖에 되지 않았는데, 5년 전의 게이머는 이미 아득한 옛날의 전설적인 프로게이머가 된 것 같다. "올드 게이머" 라고? 하지만 임요환조차도 나보다 나이가 많지 않다. 나는 올해 공채로 취직해 인생의 첫 발걸음을 내딛은 사람인데. 마치 스타리그라는 스포츠에서만, 원래부터 서른까지 살고 죽는 사람인 것처럼, 너무도 숨가쁘게 변해간다.
물론 어쩔 수 없겠지만,
다만,
게임을 플레이하는 그 선수들을, 좋아할 시간이 있었으면 좋겠다. 정들 만하면 사라져버리지 않았으면 좋겠다.
나는 양준혁을 좋아한다. 그 정든 시간만큼.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