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 기준으로 2019년에 1억 2천만원이면 트리니티가 가능했다고 알려져 있으나 (상위 999명)
2020년에는 1억 6천으로도 트리니티에서 떨어졌다고 합니다.. (여러 이야기들로는 1억 9천정도가 커트라인인듯 하다고..)
롯데의 경우에도 VVIP가 대폭 늘어나면서. 그들을 잡기 위해 '최상위 등급' 을 신설했고
현대백화점의 경우엔 'VIP 맛보기 단계'를 확대해서 놀러와서 맛봐라. 의 전략을 택하고 있으며..
신세계의 경우. VIP 커트라인을 더 올려서. 더 써봐라.. 전략을 택하고 있습니다 !?!?
(신세계 강남점 기준. 발렛 커트라인이 연 2000만원 -> 2500만원으로 인상
신세계 VIP 금액 인정 기준이. '신세계 제휴카드/현금' 만 100% 인정. / 상품권, 타사카드는 50% 인정으로 변경' )
3사 공통으로는 연 1억이면 최고등급 바로 아래 등급이 되며
최고 등급은 '상위 N명' 으로 끊어서 선정한다는 특징이 있기도 합니다.
덤으로. 작년에 오픈한 광교 갤러리아 백화점 / 올해 오픈한 여의도 더 현대 서울.
모두 '타사 VVIP 매칭' 서비스를 오픈 초기에 지원했다는것도 특징이라면 특징이 되겠습니다.
아무래도 신설 매장은 VVIP 혜택이 없다보니. 이미 다른 백화점 VVIP인 소비자들이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더 현대 서울을 예로 들면. 근처 타사 백화점 VVIP를 인증하면. 더 현대 서울의 VVIP 혜택을 3개월간 제공하며.
3개월간 '일정 수준 이상 질러주면' . 해당 매장에 한해서 2021년까지 인정해주는. 신규 점포 한정 매칭으로. 타사 VVIP를 뺏어오기 위해 사용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어떤면에서는 코로나 시대에 양극화를 크게 보여주는 내용중 하나가 아닐까 싶기도 하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