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3/13 11:05
저도 작년에 포켓몬에 잠시 빠졌던 대학원생입니다;
단순히 싱글플레이에 목적이 있으시다면 개체값, 노력치, 성격등은 신경쓰지마시고 예쁘고 맘에 드는 포켓몬으로 골라서 속성만 골고루 잘 맞춰주시면 재밌습니다. 개체값, 노력치, 성격, 교배기등을 통해 최고의 능력치및 기술조합을 만들수도 있지만, 그만큼의 노가다가 필요합니다.
12/03/13 11:08
포켓몬 위키 추천드립니다.
http://ko.pokemon.wikia.com/wiki/%EB%8C%80%EB%AC%B8 포켓몬 위키 들어가셔서 포켓몬 이름을 치면 '포켓몬의 능력치, 배우는 기술, 상성, 나오는 위치, 가지고 있는 열매' 전부 한페이지에 다 나옵니다. 블랙/화이트 버전을 처음 하시는분들은 이 포켓몬이 대체 누구한테 약하고 무슨 타입인지 전혀 모르기 때문에 이런 검색은 굉장히 유용합니다. 포켓몬 위키에서 각 포켓몬의 '타입 방어 상성', '자속 보정받는 기술' 부분만 참고하셔도 게임은 전혀 무리없이 플레이 하실수 있습니다. 공격 상성을 알고 싶으시면 검색란에 각 타입을 입력하면 (예를 들어 '물') 그 타입의 공격이 다른 타입에게 몇배의 데미지를 입히는지가 나옵니다. 모르는 포켓몬이 나오면 게임 중간중간에 여기서 한번 검색해보세요.
12/03/13 11:09
시작은 그냥 타입별 상성(불은 물에 약하고 풀에 강하고)만 적당히 봐두시고 스타팅 포켓몬 위주로 키우면서 진행하시면 됩니다. 스토리는 그냥 즐기는거고 사람들하고 할때 지옥이 시작되는건데 그냥 적당히 스토리만 즐기는걸 추천합니다. 개채값 따지기 시작하면 어떤 게임보다도 노가다가 심해지는지라...
12/03/13 11:20
블랙버전은 물포켓몬이 굉장히 희귀해서 평소라면 무조건 불포켓 추천드릴텐데 물포켓 스타팅잡고 게임하시면서 잡히는 불포켓 쓰셔도 괜찮을것 같아요
화석포켓몬은 개인적으로 아켄 추천합니다 블랙버전 국민용가리 터검니 잡는것도 추천드리구요 아켄 터검니 스타팅 셋만 열심히 키우시면 리그깨시기 쉽습니다 블랙버전은 전설포켓몬들이 많이 쓸만해서 불카모스나 큐레무만 잡으시면 더 수월하더라구요
12/03/13 11:27
개체값 노력치 성격 등등 신경쓰기 시작하면 알까기 하게되고 한도끝도 없습니다
여기에 맛들이게 되면 에디터를 쓰지 않는 이상 라이트하게는 즐기기 힘들죠.. 다만 '특성' 같은 경우엔 신경써주시는 게 좋아요 어차피 둘 중 하나라 두세마리 잡다보면 원하는 특성의 포켓몬이 잡혀요 그리고 종족값 정도는 신경써주시는 게 좋습니다. 이것은 포켓몬에 따라 일괄적으로 배정되는 값이라 포켓몬 파티구성 할때만 신경써주시면 노가다할 일이 없어요. ( ex) 벌레포켓몬을 사용한다고 할 때, 헤라크로스는 독침붕보다 강한 포켓몬이죠. ) 포켓몬 구성할 때 주로 생각해야 할 부분은 1. 6마리의 포켓몬을 구성할 때는 다타입 견제를 생각한다. (주로 강철의 약점을 잡을 수 있는 불, 땅, 격투 타입은 꼭 가지고 있는 게 좋습니다 특히나 땅의 경우에는 전기, 격투의 경우에는 악 타입의 약점을 잡을 수 있는 유일한 타입이니까 가지고 있는 게 좋겠죠.) & 방어상성 역시 적절하게 고려하여 상대의 카운터에 대비한다. 2. 포켓몬 중에도 딜러역할이 있고 탱커역할도 있으니 전략적으로 기술배치를 한다.(스토리만 깨실거면 공격력 강한애들로만 도배해도 이깁니다) 탱커형 포켓몬 같은 경우는 LOL의 탱커들 처럼 방어형 기술 + 상대편에게 상태이상을 거는 기술들로 기술배치를 해서 상대편을 말려죽이는 것이 가능합니다. 3. 포켓몬 기술 중에도 '물리'기와 '특수'기가 있습니다. (LOL로 따지면 AD딜러와 AP딜러가 따로 있고 물리 탱커와 마법 탱커가 있는 것처럼...) 그래서 한 쪽으로만 몰빵하면 카운터를 맞기 쉬우니 능력치 보고 물리딜러와 특수딜러를 함께 배치하는 게 좋아요 4. 선/후공이 있는 포켓몬 게임 특성상 스피드가 빠른 포켓몬을 선봉에 놓는 것이 상당히 중요합니다. 그리고 때에 따라서는 무조건 선공을 하게 되는 선공기가 위력은 나빠도 쏠쏠할 때가 많으니 염두에 두시는 걸 추천드려요. 그리고 무조건 명중하는 소위 말하는 필중기 역시 쓸모있을 때가 많습니다. 5. 물 포켓몬이라고 해서 파도타기/하이드로펌프/셸블레이드 이런식으로 물 기술만 쓰는 것은 비효율적입니다. 주요 딜 기술을 자속성 기술로 하되 다른 타입을 견제할 수 있고 위력이 괜찮은 기술들 역시 곁들여서 상대방의 교체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해요. 자속성이 아니면 데미지보정을 못 받으니 물리/특수 나 기술 데미지를 좀더 꼼꼼하게 따져야겠죠! 아, 그리고 스타팅으로 풀포켓몬 하면 고생을 좀 합니다. 풀포켓몬이 방어상성이 꽤 안좋아서.. 아 그리고 블랙버전 같은 경우에는 초반에 풀베기 한번 쓰는거 빼고는 비전머신이 사실상 필요없으니 비전용 포켓몬 딱히 만들 필요는 없어요 풀베기용만 한마리 잡아서 PC에 넣어놓고 그때그때 쓰시면 됨... 그리고 혹시 전기포켓몬 쓰시고 싶으시면 나중에 전기동굴에 나오는 뱀장어 포켓몬 잡아서 키우시면 좋습니다. 전기포켓몬 약점이 땅밖에 없는데 그 뱀장어포켓몬 특성이 부유라서 땅타입 공격을 안 받기 때문에 사실상 약점이 없어요 능력치도 괜찮은 편이고..
12/03/13 12:19
특별 과외같아요.... 전기 포켓몬은 피카츄!!! 라고 생각해서 피카츄만 생각했었는데..
선봉은 빠른 포켓몬을 놓아라! 물리기 특수기 혼합해라! 덱 구성은 다타입 견제로 혼합하라! 그런데 비젼머신은 또 뭔지 아직 잘몰라서... 헤헤... 싱글 다깨면 와이파이도 해볼생각이거든요
12/03/13 11:39
그리고 개인적으로 초보분들은 개체값, 노력치, 성격 쪽에는 되도록 신경쓰지 않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여기 한번 신경쓰게 되면 게임이 굉장히 피곤해집니다. (대충 만든 포켓몬은 개체값, 노력치, 성격을 맞춘 포켓몬을 절대 이길수 없기 때문에 더더욱 그렇지만....) 엄청난 노가다를 필요로 하고 찾아봐야 할 것도 많습니다. 라이트 하게 즐길수 있는 마지노선은 딱 '종족값'을 알아보는것 정도. 그 이상부터는 스트레스가..... 싱글 플레이는 개체값 같은거 몰라도 재밌고 쉽게 즐기실수 있을겁니다.
12/03/13 12:09
그냥 개체값 까지는 신경쓰지 마시고 추천 포켓몬 추천받으셔서 게임 하다 막힌다 싶으시면 키우시면 편해요...블랙 스타팅은 불포켓몬 추천입니다. 물도 나쁘진 않지만...불포켓몬이 블랙에선 정말 강하죠. 상성인 물포켓몬이 거의 없어서..염무왕까지 진화시킨다음 히트스탬프 날려주면 물포켓몬도 최종진화가 아니면 대번에 잡는 경우가 많고...
그 외에 케이시나 고우스트도 키워두면 괜찮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