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3/26 21:46
매일 정해진 시간에 티비앞에 앉아서 뉴스 챙겨보기힘드시겠죠 공감합니다
스마트폰 같은걸로 인터넷뉴스 신문이라도 매일 챙겨보세요 네이버 다음 네이트 정치 경제 뉴스나. 조중동 한겨레 경향 사이트의 뉴스나.. 진보 보수는 워낙 좋은 글들이 많아서..흠.. 일단 진보의 진모씨 보수의 꽃 전모씨가 생각나네요라고 하면 여기는 파이어가 되겠죠.. [m]
12/03/26 22:01
대한민국의 진보와 보수, 지역과진영을 나름대로 기준을세워서 파악하기위해서는 현대사와 정치흐름, 그속의 세계와 자본의변화를 공부해야합니다.. 정말로 스스로의 기준을세우고 프레임과 논리에흔들림이 없게하며 각종 정치선동을 꿰뚫을 눈이필요하면 각종 현대정치사,정치경제학, 자본주의연구회등의 학술동아리활동이 가장빠르실겁니다. 그게아니라 글 몇장, 인물몇으로 보는것은 사실 좀 민망한토대의 기준이죠..
12/03/26 22:56
경향신문 기사 중 2007년 지식인 이념 분포도를 추천합니다.
다음에서 '지식인 이념 지도'를 검색하시면 찾으실 수 있습니다. 한국의 지식인을 이념에 따라 나누어 놓았습니다. 이리저리 검색하시면 그 분들 글이나 기사를 읽으실 수 있을 듯 합니다. 가장 우선적으로 중간에 있는 강준만씨의 '한국근현대사 산책'을 읽어 보시길 권해드리고 싶습니다만 좀 깁니다.
12/03/27 00:29
책이 가장 중요할 시기네요. 프랑스 혁명 이후 민주주의 체제를 시작하 때 분위기를 이해하시면 좌파와 우파의 탄생배경을 알 수 있습니다. 현대사는 그 다음이죠. 여러가지가 복합되어 있으니 [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