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3/20 20:10
추측하신 것이 맞습니다. 그리고 규모의 경제는 대량생산시 원자재 구입의 협상력이 높아지고, 생산 효율이 상승하기 때문에 원가 절감에 유리하지요.
12/03/20 20:31
DeStinY....님이 생각하시는게 모두 맞습니다~
포터님의 차별화전략은 자사 제품을 차별화시켜서 비싸게 팔아보자~ 적게 팔아도 비싸게 팔면 좋다~ 원가우위전략은 박리다매하자~ 라는 느낌으로 접근하면 편합니다~ 비싸게 팔기 위해서는 동질적이지 않고 이질적인 특징있는 제품을 만들어야 됩니다~ 반대로 싸게 팔기위해서는 최대한 싸게 만들어야 되는데~ 규모의 경제가 발생하면~ 생산을 늘릴 수록 단위당 생산비가 저렴해집니다~ 그래서 많이 생산해서 많이 팔수록 생산비가 줄어들어 이익이 많이 발생하죠~ 결국, 규모의 경제가 존재하면 많이 생산하는게 좋고~ 이때는 원가우위전략이 성공하기 좋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