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5/24 17:05
덜 바빠도 뭐라 안하는 회사에 다니고 있긴 한데.. 제가 일을 좀 좋아해서 늘 바쁘게는 사는 듯합니다. 회사 허락받고 부업도 많이 하거든요.
22/05/24 16:36
저도 비슷한 경험을 한 적 있는데 베개 바꾸고 괜찮아졌네요.
목각도 적당한 높이를 찾느라고 일반베개 + 아이용 얇은 베개 2개 두고 자면서 좋아졌습니다.
22/05/24 16:37
저는 홍삼이랑 마카올로지 꾸준히 챙겨먹고 있는데 체력적인 부분에 대한 보충이 많이 되는 것 같애요.
저거 만드는 회사랑 1도 관련 없고 내돈내산입니다. 운동을 좀 더 강도있게 하시고 오래오래 운동하시는 게 가장 좋은 것 같네요.
22/05/24 16:38
현직 기면증 환자입니다.
혹시 수면 다원검사 결과에서 기면증 소견은 없었을까요? 제가 겪는(+일반적으로 알려진) 기면증 증세랑 겹치는 부분도 있고 아닌 부분도 있는데(아닌 부분이 더 커보입니다만) 꼭 기면증에 정확히 부합하지 않더라도 기면증에 쓰이는 약을 처방받아서 드시면 좀 효과가 있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드네요. 기면증 전문으로 진료하는 신경과/정신과 병원이나 수면클리닉 같은 데 찾아가보시면 어떨까 합니다.
22/05/24 17:08
수면클리닉 의사선생님께 몇번 말씀드렸을때는 수치상 문제없다고만 하셨었는데, 최근에 양압기 효과 별로 없는거 같다고 호소드리니 정 그러시면 기면증 검사 한번 받아보시면 어떻겠느냐고 권유받긴 했습니다.. 설마 싶어서 확답은 안드렸는데 기면증도 생각해봐야겠네요
22/05/24 17:24
(수정됨) 위에서도 말씀드렸듯이, 일반적으로 알려진 기면증 증세랑 겹치지 않는 부분이 더 커보이기도 합니다.
특히 [주간에 꾸벅꾸벅 조는 일은 일절 없고, 다만 계속 졸리고 피곤한 상태가 지속됨] 보통 기면증이란 게 단순히 '졸림'을 넘어서 '존다' 또는 '잔다'까지를 의미하는데 졸리기는 할지언정 조는 일이 없다는 것은, 회원님께서 경험하시는 '주간졸림증상'이 '기면증'은 아닐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 같습니다. [낮잠을 시도해도 잠오지 않음] 이 부분도 마찬가지인데요, 기면증 검사라는 게 낮시간에 여러번 취침시도를 하면서 얼마나 빨리 잠드는지를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반복 측정하는 건데, (여러 번 측정해서 평균 8분 이내에 잠들어야 기면증 진단 나오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말씀하신 대로라면 수면다원검사 받아봐도 기면증 진단이 나오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다만 꼭 기면증이 아니더라도 주간졸림 증상으로 인해 겪는 불편이 상당하니] 기면증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 이를테면 프로비질(모다피닐)이나 메디키넷(메틸페니데이트. ADHD 치료제로도 쓰입니다) 등을 처방받아서 복용할 경우 주간졸림 증상이 완화될 수도 있지 않을까 하여 말씀드린 부분이었습니다. 물론 저는 환자일 뿐이지 의사는 아니니까 이런 의견을 책임지고 개진할 입장은 못되고, '아는 기면증 환자가 이런 의견도 말하더라' 하는 식으로 수면클리닉 의사선생님께 말씀드려보시는 방법도 있겠다...는 정도?로 참고차 말씀드리는 것입니다. 전문적인 의학적 판단은 의사선생님께서 내려주시겠죠. p.s 저와 비슷한 고통을 겪으시는 것 같아서 안타까워서 주절주절 말씀드렸는데, 다시 한 번 강조하지만 그냥 환자로서의 의견일 뿐이니 참고만 해주세요
22/05/24 19:13
아이고ㅜㅜ 자세한 설명 정말 감사드립니다. 긴가민가 했는데 말씀주신 부분이 큰 참고가 되네요. 의사선생님과도 계속 말씀나눠보려 합니다. 감사합니다
22/05/24 16:48
- 다행히 밤에 잠은 금방 드는 편이지만, 얕게 자는 것인지 매일매일 밤새도록 꿈을 생생하게 꿈
- 자다가 중간에 깨는 일이 잦음. 화장실 목적의 1~2회를 제외하더라도 순간적으로 깼다 잤다 하는 일이 수회 지속됨 위와 같으면 수면에 문제가 있어 보이는데, 수면다원검사는 받으셨고, 남은건 건강검진이네요. 추가로 특정 시즌에만 반복되는 증상인지도 확인해보세요. 알레르기(꽃가루 등)의 경우에도 계속 졸릴 수 있습니다. 수면 환경(온도, 습도, 침구류, 베개, 밝기, 소음)은 괜찮으신가요? 확인이 어렵다면 깔끔한 호텔 가서 1-2일 숙박해보시고 차이를 비교해봐도 좋구요. 이외에는 식습관, 호흡이 얕은 증상 같은게 있네요.
22/05/24 17:11
작년에 시작됐고, 그땐 주말에 좀 힘든 정도였는데 올해 넘어오자마자 맨날 그러네요ㅠㅠ 건강검진은 받아봐야할 것 같고... 수면환경은 할 수 있는 건 다해봐야겠네요. 지금은 양압기 + 안대 + 귀마개 정도 하고 자는데 온도습도나 베개 쪽은 생각을 못했거든요.
22/05/24 17:12
(수정됨) 온도 습도계 갖다놓고 맞추고 지내시는거 추천해드려요. 매우 좋습니다.
체중 감량중이시라면 기본 대사 칼로리보다 섭취 칼로리량이 낮아서(에너지 부족) 해당 문제가 있을수도 있겠네요. 점점 나아질겁니다.
22/05/24 17:35
자전거를 넘 많이 타시는거 같은 느낌도 있는데..;
운동도 어디 대회 나갈거 아니면 적당히 하는게 좋죠. 큰 도움은 안될 수 있어도 스마트워치 같은거 껴보세요. 좀 부정확 하긴할테지만 렘수면, 깨어있는 시간, 깊은 수면, 전체 수면시간 시간 보여주긴 하더군요. 제 경험상 깨어있는 시간 측정이 꽤나 정확합니다. 총 수면시간이랑 입막고 코로 숨을 쉬는 코수면같은 것도 있으니 해보세요. 인중쪽에 붙이는 밴드로 따로 팝니다.
22/05/24 19:12
말씀 듣고보니 운동 피로가 중첩되서 계속 이전 증상이 유지되는거라고 착각하는 건지도 모르겠네요. 휴식에도 신경 써야겠습니다. 그리고 좋은 아이템 추천 감사드립니다
22/05/24 21:02
운동은 근력 운동만 주 2~3회로 하고, 자전거는 안 타보시는 게 어떨까 싶습니다.
운동으로 인한 피로 누적일 수 있어요. 우선 병원에서 검사 다 받아보시고, 더불어.... 금란물 + 금딸 해보시기 바랍니다. 다른 건 몰라도 이건 일주일만 해도 피로 개선이 확 됩니다.
22/05/25 08:12
글리신 추천드립니다. 기능의학과에서 자주 처방하는 아미노산의 일종이라는데 숙면에 도움을 준다고 해서 저도 복용중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xcP5eTIlHdM 이외에도 간, 근육 등에 도움을 준다고 하니 한번 고려해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