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6/10 00:04
첫번째는 같이 해줘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체인이 일자가 유지되어야지 틀어지면 자전거 수명에 지장을 주게 됩니다.
두번째로는 오르기전에 살살 굴러주면서 시작해서 계속 변속해주면 됩니다. 대신에 변속후에 페달을 세게 밟지 말고 부드럽게 밟아서 기어비가 바뀌면 정상적으로 밟아주시면 됩니다.
12/06/10 01:02
자전거 변속시 앞바퀴가 1단에 있으면 뒷바퀴는 1~3단, 마찬가지로 앞이 2단이면 뒤는 4~6단, 앞이 3단이면 뒤는 7~9단으로 하시면 될듯 합니다. 에위니아님께서 설명 해주셨지만 앞바퀴는 1단인데 뒷바퀴가 9단에 가있으면 체인이 대각선이 되면서 수명이 줄어요.
12/06/10 02:25
기어는 자전거 본체에 가까운 쪽이 1단, 페달에 가까운 쪽(본체에서 먼 쪽)이 앞3, 뒤9단으로 커집니다.
아마추어 선수?;;분에게 들은건데요. 속도를 더 내고 싶으면 뒤를 2단 정도로 올리고(발이 무겁게) 힘들면 하나 내리고 힘들어서 좀 가볍게 달리고 싶으면 뒤를 2단 정도로 내리고 너무 가벼우면 하나 다시 올리고 이런 식으로 기어 운영을 하면 조금 더 여유있어진다고 하네요. 그리고 질문에 답해보자면 1. 동시에 같이 라는게... 설마 말 그대로 동시에 둘 다 변속한다는건 아니겠죠? 보통 뒷 기어부터 하다가 앞 기어를 바꾸죠. 스프라켓과 체인링의 톱니수를 생각해보면 왜 그런가 이해가 되실거구요. 체인과 기어 톱니들을 생각해서 위에 에위니아 님// 찰박찰박찰박 님// 께서 설명해주신 것 처럼 1자를 유지하며 달리는 걸 많이 합니다. 아래 링크의 그림을 보면 이해가 되실겁니다. http://blog.naver.com/ninjarazzi?Redirect=Log&logNo=40117998311 2. 오르기 전에 미리 변속해 놓고 오르는 사이사이에 계속 합니다. 핵심은 에위니아 님// 설명처럼 체인이 벗겨지지 않게 부드럽게 변속하는 겁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