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4/11 20:56
저도 비슷한 스타일인데... 막상 시험기간 닥쳐오면 어떻게댄 다하게되더라구요 ㅠ.ㅠ
대학교 시험은 case by case 아니 교수 by 교수입니다. 어떤 교수는 서술형 좋아하고, 누구는 OX퀴즈를 내지않나, 보고서와 프리젠테이션으로 대체하는사람도 있고, 실험보고서가 중간고사가 될수도 있으며, 수능처럼 객관식 내는 사람도 있습니다. 즉 정보력 싸움입니다. 족보를 얻는 사람은 승리자... 는 나이많은 교수일경우에는 정말 승리자이구요( 노교수님들은 시험문제 그대로 내는 사람 많습니다.) 젊은 교수님들은 그런거 없죠 크크크 창의적인 시험문제에 창의적인 답변을 요구합니다. 파이팅! 저도 시험공부해야하는데 지금 선거방송 보고 있습니다
12/04/11 21:29
제가 후배들한테 하던 말이있는데
장학금 타고 싶냐? 일단 책상에 앉아서 오래 공부하는 습관부터 만들어라. 공부가 되든 안되든 진도를 많이 나갔든 못나갔든 하루종일 앉아서 책만파는 습관부터 만들어라 SKY가는 애들은 다 이유가 있다. 다른것들은 그 이후 문제다. 라고 했습니다.
12/04/12 10:46
도서관이 답입니다. 그리고 윗분말씀대로 대학공부는 족보가 학점을 좌우하며(당연히 공부는 수반되야겠죠) 교수 성향을 파악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