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4/09 23:47
후발주자로 시작해서 성공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래도 년단위이상의 경험이 축적되어있고 계속 발전해나가는 선수들을 따라잡을 수 있을지는 모르겠네요. 뛰어난 신체 스펙을 제외하면(반응속도) 전술적인 움직임이나 전황이해도,예측 플레이등이 기존 선수들보다 뛰어나지 않을거라고 봅니다.
12/04/09 23:49
그냥 일반인이 합숙하는 것보다는 훨씬 잘 할거라고 생각은 합니다만 세계정복까지는 무리일것 같아요.
다른게임이거든요. 스타와 워크 차이도 극복하기 힘든데 하물며 아예 다른장르, 거기다 팀플이면.....상위권은 충분히 가능하다고 봅니다만 그 이후는 사람에 따라 다를것 같아요
12/04/09 23:49
다른 선수는 몰라도 김택용선수와 이영호선수, 그리고 김윤환선수가 LOL하는걸 꼭 보고 싶네요. 그럴 일은 없겠지만요. ㅠㅠ
아 그리고 와우도 잘했다는 송병구 선수도 크크크
12/04/10 00:07
lol은 개개인의 역량도 중요하지만, 결국에는 얼마나 팀원 끼리의 호흡이 잘 맞는지와 픽밴, 큰 그림을 그리는 조합이 중요한 게임이라서
해봐야 알 거 같네요...
12/04/10 00:17
일단 스타테일보다는 못할것같네요. LOL이랑 비슷한 카오스하다가 온게 저정도 인데. 아예 다른게임인 스타1프로게이머는 말할것도 없죠. 세계정복이요? 참 우습습니다. 특히 스타1하시는분중에 착각하는분이 많던데 스타1잘하면 그냥 모든게임 다 짱먹는줄 알죠.
12/04/10 00:37
개소주님은 워3 게이머엿고
워3 -> 도타 -> lol 이라서 어느정도 개연성이 있는데 스타게이머와 lol은 그런게 없어요. 그리고 제 기억에 개소주님같은경우에 운영보다 컨트롤적인 측면이 더 뛰어났던(특히 영웅) 선수여서 lol에 더 잘 적응 할 수 있지 않았나 싶네요. 그래도 1600정도밖에 안된다고 알고잇거든요.
12/04/10 07:18
일단 장르가 다른 게임이라 해보기전까진 알수없을듯 합니다.
일단 게임 관계자들중에 알려진바로는 홍진호 1300~1400 김캐리 북미 1600 임성춘 1800대
12/04/10 09:15
예전에 도타 포에버라고, 카오스랑 별도 노선으로 가는 도타 개조 aos맵에서 워3 프로게이머랑 게임한적이 있었는데요(성함은 기억이 안납니다.), 처음에 좀 버벅거리다가 맵특성 파악 되니까 당시 우리로서는 상상도 못하던 빌드로 키워서 캐리 하시더라구요(스텟템,책 도배)
제생각에는 어느정도 익숙해 지면 지금 lol프로팀만큼은 기본으로 할수 있을거 같습니다. 독창적인 빌드도 많이 나올거구요.
12/04/10 10:42
lol유저중에 워크하다 넘어온 게이머 도타하다 넘어온 게이머 카오스하다 넘어온 게이머 스1 스2하다 넘어온 게이머 철권하다 넘어온 게이머 등등. 많이 있는데 스1 프로 출신 게이머중에선 lol에서 두각을 보인 사람이 없죠. 그만큼 완전 다른 게임입니다.
생각보다 많은 스1프로 출신 게이머가 lol을 했지만 모두 한계에 부딪혔죠.
12/04/10 12:17
같은 게임이라고 백퍼 성공하리라는 법이 없죠
조던이 야구에서 실패했듯이 문호준이 카트에서 독보적이라고 장재호가 워3에서 잘한다고 해도 스1으로 들어오진않지 않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