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4/05 02:22
맵 리딩능력과 상황판단 외에는 lol과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부분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특히나 컨트롤적인 측면에서 볼때, 매크로 컨트롤이 주가 되는 스1과는 달리 마이크로가 주된 요소라.. 차라리 워크 게이머들이 더 잘할것이다.라는 기대를 걸고 있습니다(만 두각을 드러내는 선수가 아직 없네요).
12/04/05 02:29
저는 프로게이머가 단순 연습만으로는 힘들고
어느정도 타고난 재능이 있어야 한다고 보거든요. 반응속도나 매크로능력 등등요 그런 의미에서 똑같이 lol 처음 시켰을때 일반인보다는 프로게이머가 더 잘 할것이다 정도의 영향이 있다고 봅니다.
12/04/05 02:30
뭐 게임 잘하는 사람은 어떤게임을 시켜도 빨리 배우긴 하죠.
근데 스타와 lol은 별로 상관관계가 없는듯해요. 오히려 제주위를 보면 서든잘하던 사람들이 lol 잘하더군요. 서든좀 한다 햇던 제주위애들은 대부분 2000넘어가더라구요. 쉴새없는 눈치싸움이라던지 이런게 주가 되는 게임이라 그런지 스타처럼 큰 그림을 그리는 게임과는 좀 겹치는 부분이 없는듯.
12/04/05 02:47
손빠르기와 반응속도 정도의 메리트.
이것만 보면 윗분 말씀대로 FPS나 격투게임 하던사람이 스1게이머보다는 훨씬 유리하다고 봅니다. LOL에 익숙해졌을때 스타에서 하던 판짜기를 응용할수 있을지의 여부가 관건이겠네요.
12/04/05 04:17
딱히 lol 이 아니라 어떤게임을 시켜도 일반인보다 플게머 출신이 잘하겠죠. 입스타를 구현하는 선수들이니 개인능력은 만렙 찍을테고 결국 중요한건 팀플레이라서... 사실 이런류 게임은 영웅이 되는 선수가 있으면 뒤에서 보이지 않게 받쳐주면서 큰 역활을 하는 선수도 있거든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