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3/03 23:21
음.. 팩트는 사실...과 구분하기 위해 쓰입니다. 솔직히말해서 사실도 국어이긴 하지만 결국 한자에서 따 왔거든요.
그리고 사실이라는 의미는 너무 의미가 중의적으로 쓰이기때문에 주로 특정한 한 의미만으로 사용할때 팩트라는 용어를 많이 씁니다. 저는 근데 어차피 국어도 거의 대부분이 한자 차용인데.. 굳이 일상용어로 굳어진 외국어를 쓰지 말아야 하는 이유는 잘 모르겠네요. 물론 대체가능한 국어가 있는데..굳이 외국어로 쓴다면..솔직히 비판받아야 된다고 봅니다만.. 현재 팩트라는 용어는 인터넷에서는 나름 흔한..용어..거의 국어화 되었다고 보거든요..
12/03/03 23:27
고리타분하게 규칙 운운하긴 싫지만 불필요한 외국어 사용에 대한 내용은 없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물론 그렇다고 지양하지 말아야 할 부분이라고 말씀드리고 싶은건 아닙니다. 과연 외국어 사용이 불필요했는지, 그게 한국어를 낮게 보는 의도라고 동의할 수 있는지, 그것이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가 먼저 이뤄진 이후라면 제재에 대해서 저를 포함한 많은 회원분들이 찬반의 의사를 밝힐 수 있겠네요. 다만 정확한 게시글의 내용에 대한 언급도 없고, 다른 회원의 의견을 수용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시는 식의 건의글을 올리실 필요성이 있나 의아한 생각이 드네요. 어떤 문맥에서 활용된 건지 확인해보고 의견을 올리고 싶었는데 그러지 못해 안타깝습니다. 물론 게시판의 의도에는 충분히 부합하나 제가 생각하는 의도가 맞다면 운영진 분들 중 한 분에게 쪽지로 말씀하셨어도 충분한 일이라고 생각됩니다. 함부러 말씀드리긴 싫지만 그다지 명료한 근거에 의거하신 것 같지는 않아서요.
12/03/03 23:33
되도록 한글을 쓰자는 전체적인 취지에 동감합니다.
하지만 사실과 팩트는 사전적 의미는 같을지 모르지만 어투나 강조점이 다릅니다. 나나라지님이 지적해주신 것과 같이 '팩트'보다 '사실'이라는 단어가 조금 더 다양한 해석의 여지가 많기 때문에, 오로지 현상과 기술적 사실 자체만을 보자는 의미에서 강조를 할 때 팩트는 충분히 사용할 수 있는 단어라고 봅니다. 결국 글을 쓰는 사람이 가장 뜻을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것이 영어라도 사용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12/03/03 23:37
반대하는 분들이 많은건 알았으니 할 수 없겠습니다만
결국 그 팩트라는 단어가 갖는 의미라는 것도 불필요하게 만들어냈다는 느낌이 드네요
12/03/03 23:59
과도한게 (ex 나는 다크하고 시크한 전설의 레전드다!) 아닌정도라면 괜찮지 않을까요?
영어라고 무조건 배척하는게 아니라, 한국어를 지양하되 어감이나 쓰임새가 다르다면 외래어라도 쓸수 있어야지요. 한국어 : 영어 가 1대1로 무조건 1:1로 대응하는것도 아니구요.
12/03/04 00:32
그냥 일반 사람들이 가볍게(피지알은 나름 커뮤니티 사이트중에서는 까다롭지만) 오는 사이트에서
너무 민감하게 반응하시는게 아닌가 하는.. 그것도 유게인데 말이죠 그리고 흔히 말하는 그 보그체를 안쓰면 어떨까도 아니고 제재해주세요 라고 하니까 사실 글쓴분의 의도가 좀 거슬리고 거부감이 듭니다
12/03/04 01:49
별게 다 불편하시네요...
팩트는 인터넷에서 허세용으로 쓰이는게 아니라 당장 글로 먹고 사는 사람들부터 팩트 팩트거립니다. 글이 많고 토론이 활발한 피지알의 특성상 당연히 팩트 이야기가 많이 나올 수밖에 없구요. 한국어(로 쓰여있는 한자어)의 '사실'보다 직선적으로 다가오고 사실에 '관계'나 '객관적' 같은 수식을 붙이지 않아도 한정적 의미를 잘나타내주는데 왜 굳이 팩트를 제재하고 사실이라고 써야하는지요? 불필요하게 만들어냈다는 건 말그대로 그냥 님 느낌입니다.
12/03/04 02:14
언어는 동의어라해도 다 같은게 아닙니다. 뉘양스가 있고 의미하는 바가 조금씩 다르죠. 더 다양하고 적확한 어휘가 사용될 수록 표현이 더 섬세해진다고 생각합니다
12/03/04 02:23
저도 되도록이면 한글을 쓰자는 취지에는 동의합니다.
그런데 다른분들이 말씀해주셨듯이 한글로 써서는 도저히 자신이 원하는 뜻과 거리가 있을경우 어떤 언어든지 표현에 부합할수만 있다면 그게 더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제목이 존댓말이라 해도 명령체라.. 다른분들의 반응이 조금 더 까칠한 것 같네요.
12/03/04 09:59
팩트야 예전부터 꾸준히 써왔으니 그렇다치고 요새 종종 보이는 '워딩'이라는 표현은 대체 뭔지 모르겠더군요.
이쯤되면 디자이너들이 쓰는 국적불명 언어와 다를 게 뭔가 싶던데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