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5/18 20:07
운동 잘 모르고 잊지 않을 정도로만 하는 수준이지만, 제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운동은 뭐라도 하면] 체력이 늘어나고 근력도 증가한다고 생각합니다.
많이 해보신 분들이야 이것저것 다양하게 헬스장 가서 많이 하지만 일반인은 어렵다고 생각해요. 따라서 실내 자전거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유튜브에 검색해보시면 실내 자전거 타는 법도 몇몇개 있을텐데 참고해보시면 좋을 거 같아요. 저도 2,3개 잠깐 따라해본게 있는데 인터벌 식으로 타는게 땀도 많이나고 좋았습니다. 팔굽혀펴기는 못하시면 벽이나 책상 등에 비스듬하게 하셔도 좋고요, 무릎을 대고 하시는 것도 나쁘지 않다 생각합니다. 그리고 체력이 늘다보면 식사량도 자연스럽게 좀 더 늘지 않을까요? 저도 많이 먹는 편은 아니고 지금도 저체중에 가까운데 운동하면 더 많이 먹게 되더라고요. 저도 군 입대 전까지는 정자세로 하는 건 너무 어렵고 10개는 커녕 5개도 힘들었는데 군 전역한지 10년이 넘어서도 나름 운동을 유지했더니 정자세로 10개씩 3,4세트 정도는 하는...최소한의 근력은 유지하는 중입니다. 꾸준하게, 무리하지말고(이젠 다치면 너무 낫는게 오래걸려요ㅠㅠ), 오랫동안 쌓아올린다고 생각하시면서 해보시길 추천 드립니다. 여담으로 PT 하시는 건 어려우셔도 한 두 번쯤은 받으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트레이너를 좀 잘 만나야하긴하는데 트레이닝을 좀 받아봐야 운동하는 방법도 알고 본인에게 제일 중요한게 뭔지도 알 수 있게 되는 거 같아요. 스쿼트도 인터넷 보고 따라하다가 무릎 아파지고 그럴 수 있습니다ㅠㅠ
22/05/19 09:18
동감합니다 일단 시작하는게 중요하죠
초보때는 중량만 안하면 뭘 하든 근육 파열 이상의 부상을 입을 일이 거의 없습니다 그리고 금전적으로 여유가 된다면 PT 1번은 반.드.시 받는걸 추천합니다 (PT 안받고 막 무게치다가 허리 뽀각해서 디스크 걸린 1인)
22/05/18 21:07
자유게시판에도 글이 있는데 달리기가 은근 초보자들이 부상입기 쉬운 운동이더라고요 저도 달리기 빡쎄게 하다가 족저근막염 걸리고 현타 옴...
22/05/21 10:07
비복근/가자미근이 굳어서 발목 가동성이 적으면 발바닥이 지나치게 많이 늘어나게 돼서 족저근막염 오기가 쉽습니다. 물론 과체중이나 그런 문제도 있겠지만, 먼저 많이 풀어 놓고 다시 해보세요.
22/05/18 20:53
일반적인 이야기를 하자면 근육이 있으면 몸이 소모하는 열량이 많기 때문에 적게 먹지 않아도 체중이 유지가 됩니다.
무슨 말이냐하면 지방보다 근육이 더 무겁기 때문에 지방이 근육으로 바뀌기만 하더라도 몸은 더 좋아지고 소모하는 열량도 많아지고 적게먹으면서 몸을 축내지 않아도 된다는 말이죠. 일단 시작은 걷기부터 하시고 마음에 드는 운동을 하시던 달리기나 맨몸운동을 하시던 그런 방향으로 근육을 키워나가시면 원하시는 체력증진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22/05/18 21:28
저도 수박님 댓글과 동일한 생각입니다.
부담 안가게 천천히 해보세요. 무작정 늘려가면 운동 한 번 한 번이 힘들어지고, 이어가기가 힘들어지더라구요. 하다가 재밌으면 일주일 내내 해보기도 하고, 힘들고 질리면 운동을 바꾸거나 오래 쉬어도 됩니다. 기운날 때 다시 하면 돼요. 177 / 60 이시면 마른체형이고, 억지로 먹으면 탈이 날 수 있으니, 운동하면 배고파지고 배고플 때 추가로 식사량을 늘리시면 됩니다. 근육이 붙으면 체중도 늘어나게 되는데, 체중 숫자에 연연하지 말고 체중을 폭넓게 잡으세요 60~70정도 내면 문제 없을겁니다. 운동은 처음 시작할 때 가급적 도움을 받으시고, 관절의 움직임이 들어가는 스쿼트같은건 혼자 하는걸 피하고, 차라리 가벼운 요가 동작이나 데드버그같은 동작을 추천합니다. 뭐든 하면 몸이 좋아져요. 여유가 생길 때마다 하나씩 추가로 마음 가는대로 조심히 해보시면 됩니다. 운동은 먹고, 자고, 싸고 하는 기본 생활에 같이 붙어다녀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잘먹고, 잘자고, 잘싸고, 즐겁게 운동하세요!
22/05/18 21:42
제가 멸치 체형이었데 PT로 10킬로그램정도 불려봤습니다
심지어 대식하는 편인데도.. 몸에서 다 배출되는 그런 효율의 몸이었는데. 운동을 하니 먹는 게 다 몸에 붙더군요. 돈이 들더라도 2-3달가량 PT받아 보시길 추천합니다.
22/05/18 21:59
저도 '뭐라도 하는 게 좋다'에 동의하며 동시에 (어떤 이유에서건)지속 가능한 무언가를 하는 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줄넘기도 좋습니다. 운동 안하던 사람은 1분, 3분, 5분 연속으로 할 수 있게 되는 것만으로 체력향상 있습니다.
22/05/18 22:19
실내자전거가 이미 있다니 매일 5분 이상만 타세요. 운동이 습관이 되어야 체력이 길러지지 안 그럼 그냥 꽝 됩니다.
작심삼일요? 그럼 작심을 4일마다 하시면 됩니다. 중간에 며칠 빼먹었다고 포기하지 마시고 다시, 또 다시, 이렇게 하시면 됩니다. 성인 남성 정상적인 근육과 몸 상태면 푸쉬업 20개, 스쿼드 50개는 되어야 합니다.
22/05/18 23:07
달리기 저도 해봤는데 안하다 뛰면 금방 앓아 눕는 운동이더군요
무작정 달리기 말고 그냥 말그대로 편하게 슬슬 뛰었다가 가볍게 걷고 이런식으로 30분정도만 넉넉하게 하다보면 체력이 올라오는게 느껴지긴 합니다 더 할 수 있고 더 안아프게 되고 더 오래 뛰게 되더라구요 다만 최대의 적은 나태...귀찮아서 내일 해야지 반복되는 순간 다시 원상복구됩니다 ㅜㅜ
22/05/19 01:09
나갔다가 들어왔더니 좋은 답변들 많이 달려있네요. 사실 체력 늘리는 것에 많이 막연했는데 말씀들 보면서 자신감이 조금 생겼습니다. 해주신 말씀들 전부 잘 새겨서 실천에 옮겨보도록 하겠습니다. 정말 정말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22/05/19 14:03
운동을 시작하면서 계속 소식을 하게 되면,몸이 기초대사량을 줄여서 (신진대사가 나빠지고 회복이 느려집니다) 에너지를 운동에 할당하려는 경향이 생겨서(당장 뇌의 영양공급, 근육성장,피부재생에 패널티를 받더라도 지금 사냥과 채집을 위한 에너지를 만들어야 생존이 가능했던 인간의 동물적 특징때문) 오히려 체력이 나빠질수가 있습니다.
22/05/21 10:10
평생 달리기 무용론자였고 걷기운동만 하다가 1년 전부터 런데이 어플로 달리기 시작해서 25분정도 쉬지 않고 뛸 수 있게 됐는데, 체력이 많이 좋아졌어요. 어플 도움 받아서 시작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