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8/10 20:19:57
Name Cand
Subject [질문] 유게를 보다 놀랐는데 페이커 선수의 위상은 어느정도인가요?
 


투니버스때부터 리그 애청자였다가 스1이 사그러들고는 게임방송을 멀리하고 이후의 대세라던 롤 또한 한판도 안해본 제가 페이커란 게이머에 대해 느끼긴 그냥 워3의 장재호 선수처럼 자기의 주 게임을 엄청나게 잘하는 선수 정도의 느낌입니다. 덕분에 그냥 뭐 지금 잘나가는 게임의 원탑이구나 같은 생각을 하는 정도였거든요.

그런데 e스포츠의 영향력 부문에서 임요환 선수랑 비교해도 밀리지 않는다는 이야기를 듣고는 깜짝 놀랐네요.

제가 골수임빠인것도 있지만 엥 이 선수가 어느 정도의 영향력이 있길래 이런 소리가 나오는거야? 하는 기분?


최연성이나 이영호, 이윤열 선수 등등도 한때 게임을 완전 지배해서 야 얘들 나오면 재미가 없어 하는 시기가 있었고 임요환 선수가 초라할 정도의 경기를 많이 보여줬지만 이스포츠의 영향력 같은 엄청난걸 가져오면 임요환 선수보다 항렬을 낮게 치는게 보통이었듯 페이커 선수도 그냥 저 정도의 라인 아닌가 했는데 뭔가 엄청난게 더 있나보네요.


음...물론 누가 누구를 위에 놓고 하는건 개인차가 있고 결론도 분분하니 넘어가고, 문외한도 알 수 있도록 와 페이커란 선수가 저정도였어? 할 수 있도록 설명 부탁드립니다아




아 근데 너무 임빠같은 글이네요. 싸우고 싶지는 않고 그냥 궁금해서 그래요. 잡다한 말들은 좀 지우는게 나으려나 ㅠ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조말론
17/08/10 20:25
수정 아이콘
전 세계에서 원탑이니까요. 세계 어딜 가나 한국에서의 전성기 임요환 수준입니다.
17/08/10 20:27
수정 아이콘
음 너무 길게 쓰긴 그렇고 현 e스포츠의 아이콘이자 세계최고 자리에 등극한지 4년째 되는 선수죠.
외국에서 인지도는 말할것도 없고 국내 인기스포츠인 야구 선수 최고봉에 해당하는 연봉으로 화제가 되기도..
snobbism
17/08/10 20:28
수정 아이콘
스1과 리그오브레전드의 규모 차이도 한몫하는 것 같습니다. 스1이 거의 한국에 국한된 리그였다면
리그오브레전드는 거의 축구급이니까요.
조밀랄레
17/08/10 20:29
수정 아이콘
저도 스덕이었고(현재도 마찬가지) 롤도 열심히 하는 입장인데 페이커의 영향력이 밀리지 않는다는 건 공감합니다.
물론 동일선상에 놓고 객관적으로 비교하긴 어렵지요. '전 세계의 슈퍼스타'와 '판을 키워낸 한국 게임계의 아이콘'같은 느낌이니까요.

그래도 둘 다 최고의 선수들인건 변함없을겁니다.
17/08/10 20:30
수정 아이콘
전세계 프로게이머 원탑이자 e스포츠의 아이콘이죠.
물론 임요환 전 선수도 최고의 선수였고 이 판을 이렇게 만들어 내는데 지대한 영향을 준 선수죠
작은 아무무
17/08/10 20:30
수정 아이콘
이 질문에 답을 하려면

과거 스타의 위상과 현재 롤의 위상을 비교하는 게 필연적인데 대한민국에서만 즐기는 게임과 전세계에서 모두 즐기는 게임은 위상 차이가 있을 수 밖에 없죠
임요환 선수가 대한민국의 이스포츠를 확립한 것 또한 틀림없는 사실입니다.
그러나 전세계에 있는 그 수많은 이스포츠 리그가 대한민국의 영향만 받았다고 하기에는 무리가 있죠

간단하게 요약하자면 대한민국 내에서라면 임요환 선수가 위
전세계적으로 보자면 페이커도 동급 혹은 그 이상 이 정도로 표현할 수 있겠네요


페이커가 잘하는 건 전세계 최고의 리그 오브 레전드 대회인 롤드컵을 3회 우승한 것만으로도 정리가 가능합니다
롤드컵이 딱 6번밖에 안 열렸고 심지어 처음 한번은 거의 이벤트성이여서....게다가 현재진행형 선수죠
당장 이번 주 있을 와일드카드전에서도 얼마나 잘 할 지 기대가 됩니다 흐흐
17/08/10 20:30
수정 아이콘
아 말씀들 들어보니 일단 롤의 인기부터 아예 이해를 못하고 들어온것 같습니다.
그냥 쭉 피시방 1위고 워3 중국애들 좋아하는 것처럼 세계에서도 꽤 인기는 있는 게임인가 보네 했는데 엄청 온도차가 나나보네요 ㅠㅠ

그리고 선수 개인적으론 팀게임인데 혼자 빛나보일 정도로 게임을 잡고 있나보네요 흐흐
설명충등판
17/08/10 20:31
수정 아이콘
베이브 루스랑 메시 비교하는 느낌이라...

저 둘이 같은 구기스포츠라고 안 엮이듯이 개인적으로는 e스포츠라고 해도 완전 다른 종목이라 엮일 필요 있나 싶은 느낌입니다.
개념테란
17/08/10 20:32
수정 아이콘
영향력이라는 하나의 단어로 퉁치니까 혼란스러운건데, 두 선수의 영향력은 결이 좀 다르죠. 페이커는 세계 최고 인기 게임의 스타플레이어고 임요환의 영향력이라는건 e스포츠 대중화를 이끈 선구자로서의 영향력이니까요. 성격이 다르기 때문에 누가 더 영향력이 크다고 딱 잘라말하기는 힘들다고 봅니다.
17/08/10 20:38
수정 아이콘
스타는 스포츠로 따지면 야구 정도 (일부 나라에서만 짱짱) 위상의 종목이라면
롤은 스포츠로 따지면 축구의 위상에 해당하는 종목이죠.. 전세계를 정복한..

종목의 위상이 다르기 때문에.. 어쩔수 없습니다 -.-;

대만 대표팀이 롤드컵 출전할때.. 대만 총리가 직접 공항까지 마중나와서 사진찍고..
브라질 MSI에서 결승전 시상을 호나우두가 직접 나와서 하고..
이번 롤드컵은 베이징 올림픽 주경기장에서 개최되는 수준인데...
17/08/10 20:44
수정 아이콘
롤챔스 커리어 : 3위 - 우승 - 전승우승 - 8강 - 8강 - 우승 - 우승 - 우승 - 3위 - 우승

롤드컵 커리어 : 우승 - 진출실패 - 우승 - 우승

MSI 커리어 : 준우승 - 우승 - 우승

페이커 데뷔 이후 롤챔스(한국리그) 10번중 6번 우승
페이커 데뷔 이후 롤드컵 4번중 3번 우승
페이커 데뷔 이후 MSI 3번중 2번 우승, 1번 준우승..

롤챔스, 롤드컵, MSI MVP도 모두 보유한 유일한 선수.

커리어도 비교할 선수가 없습니다.. 그나마 영혼의 파트너였던 뱅기가 근접한 상태긴 합니다만..
17/08/10 20:48
수정 아이콘
이걸 보니까 정말 엄청나긴 하네요
어우..;
작은 아무무
17/08/10 20:50
수정 아이콘
벵기는 코치로 다시 SKT 돌아오지 않는 이상 힘든 걸 감안한다면....
현재 원탑 그리고 저런 커리어를 다시 쌓을 선수가 나올 가능성을 생각한다면 앞으로도 원탑일...그리고 더 무서운 지금도 현재진행형이죠...
17/08/10 20:49
수정 아이콘
조선시대 왕으로 비교하면 임요환은 태조 이성계이고 페이커는 세종대왕이죠.
둘 다 대단하지만 세종대왕을 아무래도 더 쳐주는...
열씨미
17/08/10 21:03
수정 아이콘
임요환선수가 전성기시절 단지 잘하고 이기기만했던게아니라 보는이를 깜짝놀라고 감탄하게만드는 참신한 전략과 화려함까지 갖췄던것처럼 페이커선수도 정말 중요한 경기에서 누구도 예상못한 픽을 꺼내들고 화려한 장면을 많이 연출하고 그만큼 챔피언폭도 넓다는게 스타성에서도 비슷한거같아요
17/08/10 21:11
수정 아이콘
답변들 감사합니다 좋은 밤 되세요~!
17/08/10 21:15
수정 아이콘
아무래도 (세계기준으로) 스타와 롤의 마켓 차이도 좀 나서요.
StayAway
17/08/10 22:43
수정 아이콘
가치 추정의 관점에서만 살펴보면 추정 연봉만 30억에 작정하고 개인 방송 등의 수익활동에만 올인하면 연간 100억도 가능하다는게 중론이죠.
E-sports를 통해서 어지간한 프로스포츠보다 돈을 더 잘벌 수 있다는게 현재 롤판의 흥행 규모를 짐작하게 합니다.
물론 임요환이 이뤄낸 성과도 100억이 넘긴 하겠지만, 현역 버프나 진행형인 점을 감안하면 아무래도 페이커 쪽에 손을 들게되죠.
Dreamlike
17/08/10 22:43
수정 아이콘
해외에서 젊은 남자들이 한국에서 왔다그러면 페이커 아냐고 하더라구요...
17/08/10 23:16
수정 아이콘
김광현이 오히려 사인 받으면서 굽신굽신이엇죠
이블린
17/08/11 00:47
수정 아이콘
거의 7년만엔가 시구지도까지 했죠
7년전도 그냥 짬이 안되서 했었던거 같고
탑 연예인이 와도 안하던걸 크크
래쉬가드
17/08/11 00:20
수정 아이콘
선수의 위상을 질문하셨는데
사실 롤의 위상이 초월적이에요
이제껏 그 어떤게임도 전세계적으로 롤의 위상을 가진 게임이 없어요
그러기에 그런 롤이라는 게임에서 세계최고의 슈퍼스타인 페이커라는 게이머의 위상이라는게 전무후무할수밖에요

물론 스타크래프트도 임요환도 세계적으로 대단히 성공했고 유명함에 틀림없습니다
다만 롤이 이전과는 다른 차원의 진정한 전세계적 이스포츠에 가까운 시스템을 열어젖혔죠.
거기에서 오는 위상이 사실 더 크죠. 선수 개인보다는.
유자차마시쪙
17/08/11 00:29
수정 아이콘
스타판이 야구급도 안되는데 롤판은 축구판급인건 맞아서...
안녕사랑아
17/08/11 10:24
수정 아이콘
한국인 스포츠 선수 최초로 ESPN에 단독으로 기사가 나왔습니다. 박지성 박찬호 김연아 등도 못해본 업적이죠.
이사무
17/08/11 17:17
수정 아이콘
스타크래프트1은 출시당시엔 세계적으로 인기 게임이긴 했으나 롤 정도의 위상은 아니었다고 봅니다.
게다가, 출시 이후 어느 시점에선 한국 이외의 국가에서는 인기가 급감했고요. WCG 때 계속 스1이 종목으로 있어서 말이많던 것도 그런 맥락이었죠.
워3가 유럽 중국에서 그리 인기를 끌어도, 한국에선 여전히 스1이 최고다 라고 했었고요. (워3와 부르드워의 출시 년도차이는 고작 4년 이죠)

그런 것에 비해 롤은 인기가 스1에 비해 세계적으로 훨씬 많죠. 그리고 스1과 워3에 비교하자면 스1은 한국이 세계에 비해 너무 인기가 많았고
워3는 반대였다면, 롤은 한국 + 세계 모두 인기 최고의 게임이고요.

그리고 이스포츠는 한국이 종주국이다라는 건 OGN 과 엄옹이 만든 패러다임으로 보이고
실제는 외국에서 이미 카스나 이런 대회 및 프로게이머들이 존재했죠. 그리고 임요환이 판을 키운 아이콘인 건 맞지만
임요환이 없어도 결국 이스포츠는 성장했을 겁니다.
Sid Meier
17/08/11 17:20
수정 아이콘
외국인이 한국인에게 먼저 두유노를 하게 만드는 선수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4290 [질문] 맥북프로 블루투스키보드 질문드려용!! [2] [PS4]왕컵닭1392 18/01/05 1392
113895 [질문] 해축 자주보시는분들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12] bye1925 17/12/28 1925
113079 [질문] [lol] 정화로는 말자하 w가 안지워지네요? [4] Lancer4007 17/12/10 4007
112534 [질문] 두터운 팬층의 신인/중견 유튜버 추천해주세용! [11] Runway2630 17/11/28 2630
111748 [질문] 페이커 방송 보다 잘 모르는게 나와서 질문 드립니다 [2] 솔로몬의악몽2189 17/11/12 2189
111667 [질문] 예전 페이커선수 방송때 하던게임 [5] 이야기속으로2797 17/11/10 2797
111516 [질문] 프로게이머가 솔랭위주 첼린저 아마추어보다 라인전 잘하나요? [37] 빛날배 4421 17/11/07 4421
111513 [질문] [LOL]롤드컵 결승 뱅의 플레이에 대해 분석이 내려지고 있는데 어떻게 생각하세요. [12] 라이언 덕후3028 17/11/07 3028
111376 [질문] 이번 롤드컵 통합 MVP로 누구 뽑고 싶으신가요? [28] 쎌라비2898 17/11/05 2898
111351 [질문] [스타2 관련]영어이름 질문입니다 [1] RookieKid1486 17/11/04 1486
111341 [질문] 페이커와 김연아 세계적 인지도 [128] 코난도일11572 17/11/04 11572
111042 [질문] [LOL] 슼의 이번 4강전에서 갈리오가 밴이 됐다면 [6] 솔지2418 17/10/29 2418
111026 [질문] [lol] 롤알못인데 페이커4명+일반인1명 vs 프로팀 [41] HesBlUe3802 17/10/28 3802
111017 [질문] 게임 찾는 질문입니다 [3] 체크카드1573 17/10/28 1573
110979 [질문] 롤드컵 언제하나요? [6] 스타듀밸리2262 17/10/27 2262
110400 [질문] [LOL] 롤드컵 우승 누구 예상하시나요? [45] -Aka2981 17/10/16 2981
108600 [질문] PC방에서 조그만 LOL 대회를 개최할까 하는데 필요한 룰이 있을까요? [13] 개념은?1872 17/09/09 1872
108007 [질문] 배틀그라운드 프로리그는 흥할 수 있을까요? [23] 1023154 17/08/28 3154
107348 [질문] [lol] 어제 플옵 2경기 크라운 존야에 대해서.. [25] 이선빈2742 17/08/16 2742
107294 [질문] [lol]롤 역사상 최고의 원맨캐리경기? [16] 무더니2512 17/08/15 2512
107048 [질문] 유게를 보다 놀랐는데 페이커 선수의 위상은 어느정도인가요? [26] Cand6057 17/08/10 6057
106925 [질문] 2010년 이후로 가장 영향력을 끼친 인물 [24] 치토스2897 17/08/08 2897
106018 [질문] LOL 지금 논란이 되고 있는 뱅 사건의 팩트는 뭔가요?? [16] 아크4137 17/07/20 413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