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JUNG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09/28 21:52:40
Name Its_all_light
Subject [일반] [역사] 에디슨이 최초가 아니라고? / 전기조명의 역사
1. 너무 뜨겁고 비쌌던 최초의 전기 조명

험프리 데이비의 아크등
[험프리 데이비의 아크등]

19세기 초 알렌산드로 볼타가 최초의 현대식 배터리인 '파일'을 개발한 지 얼마 되지 않아 험프리 데이비가 1802년 최초의 전깃불인 아크등을 만들었어요. 아크등은 전극 사이에 전류를 흘러주면 전극이 가열돼 열전자를 방출하는 아크방전의 원리로 빛을 내는데요. 1844년 파리의 콩코드 광장에 처음 사용되었고, 이후 유럽 전역으로 퍼졌죠. 하지만 너무 밝은 밝기와 열 그리고 가격 때문에 제한적으로만 사용되었죠.



2. 백열전구의 발명가는 에디슨이 아니었습니다!

린제이의 전구
[제임스 보우먼 린제이의 전구]

흔히들 토마스 에디슨이 백열전구를 발명했다고 알고 있지만, 에디슨의 전구가 등장하기 45년 전 이미 제임스 보우먼 린제이가 1835년 백열전구를 고안했죠. 1875년엔 조지프 윌슨 스완이 개량된 백열전구를 특허 신청하기도 했고요.

당시까지 백열전구는 탄소, 백금-이리듐 합금, 석면으로 필라멘트를 만들고 질소를 주입하거나 진공 상태로 필라멘트를 폐쇄하여 만들었는데요. 탄소는 바스러지고 백금은 발광 상태에서 녹아내리는 문제가 있고 값도 비쌌어요. 이를 개선한 것이 바로 토머스 에디슨 인거죠. 에디슨은 1879년 대나무를 탄화시킨 필라멘트를 이용해 전구를 개량했어요. 그리고 1910년에는 쿨리지가 우리가 흔히 아는 텅스텐 필라멘트를 발명해, 전구가 더 밝고 수명이 길어지게 되었죠.



3. 백열전구를 뛰어넘은 할로겐등

백열전구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시도는 계속되었는데요. 에디슨이 설립한 회사 ‘제너럴 일렉트릭’에서 1959년 개발한 할로겐등도 그 노력의 일환이죠. 할로겐등은 진공 상태의 전구 안에 아르곤, 질소와 같은 비활성 기체와 브롬, 염소와 같은 할로겐 화합물이 첨가된 구조로 되어 있는데요. 이러한 구조로 텅스텐의 증발을 억제할 수 있고, 백열전구보다 더 높은 온도에도 필라멘트가 견딜 수 있죠. 결과적으로 백열전구보다 2~3배의 수명을 가지고 있고, 높은 발광 효율을 낼 수 있어요.



4. 곧 역사속으로 사라질 형광등의 짧은 역사

가이슬러관
[가이슬러관]

한편 아크방전의 원리로 빛을 내는 아크등, 백열전구 외에도 양이온 충돌로 빛을 내는 조명기기도 발명되었어요. 이를 글로방전이라고 하는데요. 이러한 원리는 마이클 패러데이에 의해 처음 관측되었죠. 패러데이는 진공 유리관 양쪽에 금속 필라멘트로 된 전극을 연결하고 고압을 흘려주었는데요, 음극과 양극 양쪽에서 빛이 났죠.

1856년에는 플뤼커와 요한 하인리히 빌헬름 가이슬러가 더 강력한 진공관을 제작하여 패러데이의 실험을 재현했는데, 유리관 전체에서 빛이 나는 것을 발견했어요. 이는 가이슬러관이라고 불리며 1880년대 무렵 장식용 도구로 판매되었죠.

글로방전을 이용해 최초로 상용화한 조명은 네온램프입니다. 네온은 1898년 윌리엄 램지와 모리스 트래버스가 당시 새롭게 발견된 아르곤과 헬륨의 성질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발견했어요. 이후 1902년 프랑스의 '에어 리퀴드' 사에서 네온을 공기에서 분리하여 판매하였고, 1910년에는 네온램프를, 1912년에는 네온사인을 판매하기 시작했죠.

당시 네온의 문제점은 일반 가정이나 직장에서 사용하는 백색광을 만들지 못한다는 점이었는데요. 1926년 에드먼드 저머에 의해 백색 형광등이 등장하게 되죠. 백색 형광등은 유리관 내벽에 형광물질을 바르고, 수은과 아르곤 가스를 넣어 전류를 흘려보내는 구조로 되어있는데요. 1938년 '제너럴 일렉트릭' 사에 의해서 상용화되죠. 형광등은 백열전구보다 부피도 크고 안정기도 필요했지만, 경제적으로 더 효율적이었기 때문에 1990년대 중반까지 널리 쓰였죠.



5. 전기조명계의 타노스 LED

LED의 원리
[LED의 원리]


형광등은 수은을 포함하기 때문에 환경문제를 일으키는데요. 그 때문에 형광등은 고발광다이오드(LED)로 대체되고 있죠. 형광등뿐만 아니라 백열전구, 할로겐등도 에너지 효율을 문제로 퇴출당하고 LED로 바뀌고 있죠.

LED는 반도체의 PN 접합으로 전자가 가지는 에너지가 직접 빛으로 변환되는 구조로, 1962년 닉 홀로이악이 개발한 적색 발광 다이오드(GsAsP형)가 최초의 가시광선 LED이에요. 1960년대에는 가격이 높았으나 구조가 간단하고, 재료의 발전으로 점차 저렴해졌죠.



6. 국내 최초의 전등

전기시등도
[전기시등도  ©전기박물관]

1883년 고종 때 미국에 파견된 사절단인 보빙사는 에디슨의 회사에 방문했어요. 이들은 귀국 후 고종에게 전등을 도입하는 것을 건의했는데요. 임오군란을 겪은 고종은 궁궐을 환하게 밝히는 데 동의했죠.

이후 경복궁내 향정원 연못에 당시 아시아 최고의 증기기관식 화력발전기를 설치했고, 1887년 3월 왕과 왕비의 처소였던 건청궁을 중심으로 700여 개의 전구에서 불이 켜졌죠. 당시 사용했던 전등은 아크등으로 많은 전력을 소모했고, 발전기의 소음도 심했어요. 그래서 얼마 가지 않아 전등을 잘 켜지 않게 되었다고 하네요.



참고문헌
제인 브록스. (2013). 인간이 만든 빛의 세계사. 을유문화사.
F.A. Furfari. (2001). A different kind of chemistry: a history of tungsten halogen lamps. IEEE
민병근. (2015). 우리나라의 전기 발상지 최초의 전등소, 경복궁 복원발굴로 찾아내다. Journal of the Electric World



<이전글>
[역사] 돈까스는 사실 프랑스에서 온거거든요
[역사] 사람보다 사자가 먼저 탑승한 엘리베이터
[역사] 자주 보는데 이름 모르는 '그것'들
[역사] 내가 신고있는 운동화, 나름 역사와 전통이 있다구! / 스니커즈의 역사
[역사] 첫 보행자 사망사고 낸 자동차는 시속 6km / 자동차 사고의 역사
[역사] 가라오케는 왜 한국에서만 노래방이라고 부를까? / 노래방의 역사[역사] 최초의 마스크는 동물 방광 / 마스크의 역사
[역사] 김치는 정말 중국에서 유래했을까? / 김치의 역사
[역사] 에어컨 만든 사람 노벨평화상 줘라 / 에어컨의 역사
[역사] 치킨 복음 / 국내 치킨의 역사

마속 나무위키 문서 2.3. 가정의 패전 인용

"그런데 여기서 마속은 제갈량의 명령을 무시하고 길목에 세워야 할 방어진지를 산 꼭대기에 세우는, 전쟁사상 다시 없을 바보짓을 한다.
부장 왕평이 필사적으로 말렸지만 이마저도 무시해버린다."
단비아빠
21/09/28 21:58
수정 아이콘
에디슨이 만든 전구도 수명이 고작 40시간이었다고 하는데...
하루에 2시간씩 아껴서 켜도 20일 밖에 못버티는군요..
어마어마한 사치품이었겠는데요...
코세워다크
21/09/28 22:05
수정 아이콘
40시간은 무명실로 만든 필라멘트로 알고있고 상용화한 대나무 필라멘트는 1200시간 지속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28] jjohny=쿠마 25/03/16 16781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6] 오호 20/12/30 301369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55677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58393 4
104137 [일반] <썬더볼츠*> - 부연설명 없이도 괜찮은. (노스포) [17] aDayInTheLife1562 25/04/30 1562 4
104136 [일반] 못생길수록 게임 더 많이 한다?…英·中 공동연구 결과 [52] 如是我聞3870 25/04/30 3870 3
104135 [일반] 루리웹에서 '아동 성학대 이미지' 예시가 공개되었습니다. [68] 리부트정상화6985 25/04/30 6985 3
104133 [일반] 이번 SKT 해킹 사건으로 가장 떨고 있을 사람들에 대하여 [37] 깐부9121 25/04/30 9121 0
104132 [일반] eSIM 가입하려다가 망할뻔함. [53] 사업드래군9873 25/04/29 9873 9
104131 [일반] LLM 활용에 대한 간단한 팁과 의견 [7] 번개맞은씨앗5228 25/04/29 5228 5
104130 [일반] 새롭게 알게된 신선한 유튜브 채널 추천 [12] VictoryFood10849 25/04/29 10849 7
104129 [일반] 나의 세상은 타인의 세상과 다르다는 걸 [28] 글곰8505 25/04/28 8505 46
104127 [일반] PGR21 대표 덕후들의 모임☆ 덕질방 정모 후기 (움짤있음) [37] 요하네스버그7860 25/04/28 7860 45
104126 [일반] SK텔 해킹 사태에 대응한 보안 강화 요령 [42] 밥과글11429 25/04/28 11429 19
104125 [일반] 종말을 마주하며 살아가기 [38] 잠봉뷔르8323 25/04/28 8323 19
104124 [일반] 역대 최악의 SK텔레콤 유심 정보 유출 사고 [71] 나미르11011 25/04/28 11011 8
104123 [일반] 광무제를 낳은 용릉후 가문 (3) - 미완의 꿈, 제무왕 유연 2 [3] 계층방정2318 25/04/27 2318 5
104122 [일반] 심히 유치하지만 AI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11] Love.of.Tears.4826 25/04/27 4826 1
104121 [일반] [팝송] 알레시아 카라 새 앨범 "Love & Hyperbole" 김치찌개3407 25/04/27 3407 0
104120 [일반] [독서 에세이] 정치의 종이 되는 생각 없는 과학 (『20세기 소년』) [5] 두괴즐4068 25/04/26 4068 8
104119 [일반] 일본 정부부채는 정말 심각할까? [53] 기다리다10607 25/04/26 10607 8
104118 [일반] 최근 chatGPT와 함께 놀다가 마지막에 나눈 대화 [35] Quantum2110237 25/04/25 10237 6
104117 [일반] 미 공군의 A-10 썬더볼트 II는 올해 한국에서 철수합니다 [58] Regentag10354 25/04/25 1035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