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8/03 07:56
디테일한 부분에서 동의가 안 되는 부분이 많은 글이지만, 큰 틀에서는 뭐 맞말이네요. OTT가 영화의 미래가 되겠죠. 하지만 그게 극장의 몰락이지 영화의 몰락은 아닐 겁니다. 오히려 영화 제작 스튜디오에게는 호재가 될 수도 있죠.
25/08/03 08:40
볼만한 이라는 기준이 예전과 많이 달라지기도 했고 또 제작하는 입장에서 가늠하기가 어려워지기도 해서 극장과 배급사들도 골머리가 썩겠어요
25/08/03 09:14
이게 한국만애 대한 상황이면
뭐라도 해결 가능하겠지만 영화관의 몰락은 OTT 활성에 따른 전세계적인 현상입니다. 솔직한 말로 영화관이 필요없게 될지도 모릅니다. 웬만한 가정집이라면 등쩍 스매쉬 맞긴 하겠지만 100인치급 티비를 마련할 경제력은 됩니다. 아니 그렇지 않더라도가정용 프로젝터 한대 100만원짜리라도 영화관 분위기 냅니다. 영화관애서 볼만한 영화가 많이 사라졌구요. 굳이 불편함을 감수하고 영화관에 갈 필요가 없을겁니다.
25/08/03 09:21
앨범을 사서 음악을 듣는 것,
극장에 가서 영화를 보는 것, 라디오로 뉴스를 듣는 것, TV로 드라마를 보는 것 등등 모두 당시의 미디어기술에 따른 것일 뿐 절대적으로 그래야 한다는 법은 없으니
+ 25/08/03 09:46
극장이란 매체가 이젠 구식이 되어버려서... OTT에서 제공되는 시리즈물이 더 양질인 경우가 점점 많아지겠고, 자연스러운 흐름인 것 같습니다.
+ 25/08/03 10:09
한국영화의 질적 저하도 큰 문제이고.. 극장산업 자체가 사양산업이 되어가는 것도 문제이고.. 악순환의 단계에 들어선건지도 모르겠네요..
+ 25/08/03 10:23
김연아하면 그 후광에 비해, 스포츠 인프라에 의해 성장한게 아닌 가족(개인)이 리스크를 온전히 감당헸다는 점도 부각됩니다. 뜨고나서야 사화가 알아봐준 격이라는거죠.
산업적으로 신인이 성장하고 능력을 온전히 펼치며 성과를 보전할수있는 구조가 정착된곳이 얼마없습니다. 당장에 컨텐츠의 기반이 돨수있는 웹툰산업에서의 도구화된 작가들의 처우는 오래된 문제로 지적되고있습니다. 조회수만을 위한 공장형 찍어내기에 작품전개의 개성은 사라지고 구성원은 생명까지.위협받는 처지로 전락해버린거죠.. 해당산업을 기반으로 가장 탑티어가된 인물들은 지속적인 창작활동으로 평가되고 인지도를 이어가는게 아니라, 방송에서 지들끼리 신변잡기 떠들거나 여행다니고 뭐 먹는광경으로 소구대상을 소비하는 형태로 대체되버립니다. 성공의 양극화로 셀럽으로 진입하고나면 더이상 기존 창작가치는 불필요한 노동의 범주로 전락해버리는거죠. 영화산업에서도 흥행을 좌우하는 배우의 개런티가 우상향하는만큼 뒷먼에서 역할하는 구성원들의 처우역시 따라주었는지는 부정적인 상황입니다.
+ 25/08/03 10:43
역설적으로 한국 역대 최고의 드라마를 만든 이들도 영화계에 있던 황동혁 사단이죠.
자본과 인력이 OTT에 모이고 있으니, 극장 영화의 퀄리티는 점점 떨어지고 악순환의 고리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천재가 나올 수는 있어도 천재가 될 만한 신진 감독은 되도록 극장에 걸릴 영화는 안 만들려고 하겠죠. 단지 소비자가 변하니 생산자도 그렇게 변하면서 적응하는 게 아닐까 싶어요.
+ 25/08/03 11:16
영화관이 몰락하고 있다는데 전세계적으로 얼마나 몰락하고 있는지 그에 비해서 한국이 유달리 몰락하고 있는 것인지 알아야 할 것 같아요. 그래야 문제를 정확히 파악할수 있을테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