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8/30 10:16
노르웨이의 경우에는 독일과 정치 경제적으로 엮인게 많아서
그랬는데 캐나다가 독일과 정치경제적으로 교류를 많이 하고 있다면 들러리일 가능성이 높겠지요
25/08/30 10:32
기술 적합성(캐나다 임무 프로파일 상) 등 :
- 지속성/원양 전개/확장성: KSS-III 우위. - 은밀성/나토 체계/혈통: 212CD 우위. - 산업(가중평가): 양측 모두 경쟁적 패키지 가능. 다만 한국은 배터리·전자·조선 결합 ITB로 규모의 경제를 제시하기 용이. 산업적 포트폴리오는 물론이고 지상방산도 있어 다양함. - 일정·납기(공백 회피): 한국의 KSS-III가 상대적으로 유리, 독일의 212CD는 납기 늦는 것이 상수. - 운용 실적: KSS-III는 현물 실함 운용 데이터 누적, 212CD는 ‘신규’. 독일 리스크 : KSS-III(3,700톤) 보다 작은(2,500톤) 체적으로 북극 얼음을 극복해야하는 작전에 불리. 납기 준수(메누리도 모르는 납기), 212CD는 완성 모델이 없고 초도함 제작 중, 212CD는 북극 운영 경험 없음, 티센크루프 사업부 분할. 정치권이 나토 정서에 정치적으로 매달리는 핵심 이유 : 조선업 기술적 우위 유지 의지 부족에 ThyssenKrupp의 전략적 포기. 조선 핵심 사업부 매각 시도했으나 매각 실패. 아무도 안삼. 그래도 사업부 분할은 진행. 핵심은 캐나다가 “실용성(Pragmatism)”을 선택할 것인가, 아니면 “동맹이란 정치적 상징(Alliance politics)”을 우선할 것인가라는 문제가 서로 상충됨. 개인적으로 가능성 51%로 봄. 왜냐하면 캐나다는 스마트 하니까.
25/08/30 13:28
러우전쟁이라는 특이한 상황때문에 러시아랑 육지로 연결된 지역들이 당장 무기가 급해서 납기가 빠른 한국이 이득을 크게 본거죠. 그거 아니었으면 폴란드에 지금처럼 대량수출은 어림도 없었을테니
25/08/30 13:13
독일과 폴란드는 한일 관계 아닌가요? 원래 가까우면 친구 아님 원수라서 오히려 한국제가 경쟁 열위가 아니었을듯
잠수함은 원조맛집이 독일이니 조선강국인것과 별개로 쉽지 않아 보이네요
25/08/30 13:23
한국제가 경쟁 열위죠. 독일이 EU에 돈을 넣고 EU가 폴란드에 예산 지원을 해주는 상황에서 폴란드가 무기를 사는건데요.
한일관계라는 생각도 잘못된거고요. 가까우면 원수가 아니라 지금은 EU내 파트너로서 친구관계라 봐야죠.
+ 25/08/30 15:06
잠수함사업정도 되면 5년쯤 늦어지는게 그렇게 큰 리스크가 아닌가보죠
폴란드가 전차사는 정도의 다급함이 있어야 한국산을 구매한다 이건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