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8/05 01:00:44
Name Purple
Subject [일반] 경주월드 롤러코스터 체험 후기
저는 사실 이런 테마파크의 어트랙션을 그리 즐기는 편은 아닌데요.
지금 와서 돌아보자면 같이 다닐 사람이 없어서 그랬던 것이 맞을 겁니다.

어릴적 '롤러코스터 타이쿤'도 꽤나 좋아했으며, 가속도를 즐기는 다른 취미(자동차, 겨울 스포츠)를 하는지라
사실 롤러코스터를 타는 것도 무조건 좋아 할 거라는 생각을 많이 했었거든요.

이번에 한번 각 잡고 타보기로 하고 지인과 같이 롤러코스터로 유명한 경주월드를 가 보았습니다.

경주월드의 롤러코스터를 다 합치면 5개인가 되는데 그 중에서 스릴 쪽으로 알아주는 롤러코스터는 크게 3개가 있습니다.

파에톤, 드라켄, 스콜앤하티인데요.
일단 이 3개의 탑승 후기를 각각 적어보겠습니다.

파에톤



(동영상은 ジェットコースター男™【公式】 / Roller Coaster Man라는 일본 유투브 채널 것을 가져왔는데 
이분 영상만큼 1인칭을 잘 찍은 영상이 없더라구요. 공식 영상도 엄청 흔들립니다....)

레일이 머리 위에 있는 특이한 형태의 롤러 코스터입니다.

드라켄이 다이브에 특화되어 있는 코스터고 스콜앤하티도 수직 하강 시 스릴이 상당 한지라
결국 셋 중에 비교를 해보면 횡적인 가속도에 특화되어 있다는 느낌을 받습니다.

특히 마지막에 가속하면서 원선회하는 지점이 정말 재밌습니다.

가장 큰 단점은 뒷자리 타면 너무 시야가 많이 가리고+ 이 코스터의 특성 상 뒷자리의 이점을 별로 못 받는 것 같습니다.
앞자리 측면을 가장 추천 드립니다.

드라켄



여러 방송에서도 많이 나오고 국내 여러가지 기록도 가진 유명한 코스터 입니다.
일단 밖에서 첫 다이브 지점을 보면 시각적인 압박감이 엄청납니다.

시각적인 압박감에 비하면 '무서움'은 그 정도는 아닙니다. 자극의 대부분이 2번의 다이브에 집중되어 있으며
특히 첫 다이브 직전에 잠깐 멈추는게 진짜 킥이긴 한데 이것도 한번 알고 나면 익숙해집니다.
다이브에만 적응되면 무서움보다는 재미(?) 있어집니다.


스콜앤하티



규모도 작고 오픈 한지 얼마 안된(2024년 11월) 코스터라 인터넷에서는 별 이야기가 없는데
이게 진짜입니다.

실제 하강 시간은 딱 30초 정도인데 그 30초가 꽉 채워져 있고
제가 타본 코스터 중에서 가장 감각적인 느낌이 좋습니다.

낙하시 스릴은 물론이고, 기차의 속도가 줄지 않고 다양한 자극을 받을 수 있으며,
(특히 첫 낙하 후 커브 돌고 S자에서 튕겨 나갈 거 같은 느낌이 정말로 훌륭함)
잡 진동이 안 느껴지는 승차감 까지...

제가 타본 코스터 중에서는 이게 최고인 것 같습니다.

종합

이 외에 다른 어트렉션도 좋은게 많습니다. 드라켄 근처에 있는 '크라크' 라던가...(스윙 하는 형태의 어트렉션 인데 360도 돌기도 합니다.)
섬머린 스플래쉬 라는 물이 엄청 튀는 보트 어트랙션도 있습니다.
최근 오픈한 '타임 라이더' 라는 움직이는 관람차도 있는데 이거는 제가 별 감흥을 못 받았습니다.(그냥 멀미 생성기 라는 느낌이 강했음...)

개인적인 생각으로 하루에 3만 얼마(제휴카드가 없어서 네이버 페이로 결재)넣고 이 정도로 다양한 스릴 어트렉션을 여러 개 돌릴 수 있다면
할일 없는 날에는 그냥 혼자서 경주월드를 가도 되지 않을까 싶은 생각까지 들 정도였습니다..

앞으로는 취미에 롤러코스터도 추가되지 않을까 싶을 정도의 경험이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及時雨
25/08/05 01:10
수정 아이콘
파에톤류의 매달려 타는건 너무 어지러운거 같아요.
일본 유니버설에서 쥬라기 공원 탔을 때랑 비슷한 느낌으로 토나왔습니다...
아엠포유
25/08/05 01:41
수정 아이콘
놀이기구 좋아하면 경주월드 꼭 가보세요!!!!! 저도 강력 추천합니다 크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 선거게시판 오픈 안내 [29] jjohny=쿠마 25/03/16 29249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6] 오호 20/12/30 308914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62500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66922 4
104681 [일반] 경주월드 롤러코스터 체험 후기 [2] Purple844 25/08/05 844 1
104680 [정치] 주식시장 세제 개편에 대한 실망감 [26] 양현종2341 25/08/04 2341 0
104679 [정치] 대통령에게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이라고 비난 받은 포스코이앤씨 시공현장에서 또 사고가... [59] 매번같은5604 25/08/04 5604 0
104678 [일반] 중진국 함정 탈출의 어려움, 자체 자동차 브랜드 실패 사례를 중심으로 [29] 깃털달린뱀4459 25/08/04 4459 23
104677 [정치] 자본주의 책을 읽고 든 생각 [17] 네?!2992 25/08/04 2992 0
104676 [일반] 자본주의에 대하여 [5] 번개맞은씨앗3111 25/08/04 3111 1
104675 [일반] [강력스포] 좀비딸과 예수님 [4] 부대찌개2716 25/08/04 2716 1
104674 [일반] [노스포] 좀비딸 감상평 - 아빠라면 당연히 그렇게 한다 [27] 헤세드5420 25/08/03 5420 4
104673 [일반] 흥행 실패로 가고 있는 전지적 독자 시점 + 감상평 + 잡설 [84] 불쌍한오빠10628 25/08/03 10628 1
104672 [일반] 언어의 자유 [10] 번개맞은씨앗3509 25/08/03 3509 1
104671 [일반] 20년전 조롱받던 한국드라마 같아진 한국영화 [83] 깐부13049 25/08/03 13049 8
104670 [일반] 머스크 vs 이재용, 시가총액 1000조 원 차이의 이면 [10] 스폰지뚱7390 25/08/03 7390 11
104669 [일반] [팝송] 케샤 새 앨범 "." 김치찌개2483 25/08/03 2483 1
104668 [일반] 『편안함의 습격』- 절대반지의 운반자는 왜 호빗이어야 했는가 [16] Kaestro3635 25/08/02 3635 13
104667 [일반] 원화 스테이블 코인은 무슨 의미가 있을까? [32] 깃털달린뱀5475 25/08/02 5475 1
104666 [일반] 선발 vs 계투 [7] 無欲則剛3147 25/08/02 3147 7
104665 [정치] 현재의 보수 지지층의 분류에 관해 [24] 두개의 나선5422 25/08/02 5422 0
104664 [일반] 최근 구입하고 만족스러웠던 물건들 [9] visco4977 25/08/02 4977 1
104662 [정치] 윤석열 이후, 보수 유권자는 어떻게 나뉘었나 [99] 딕시9064 25/08/02 906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