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8/07 01:27:12
Name 설사왕
File #1 관세_규정.webp (37.4 KB), Download : 250
Subject [정치] 일본의 대미 수출 관세는 15프로가 아닌 기존+15프로네요.
트럼프의 관세 정책때문에 요즘 참 시끄럽습니다.
수출로 먹고 사는 우리나라도 그거 때문에 참 말이 많았죠.
여하튼 우여곡절 끝에 우리나라는 관세 15프로로 협상을 마무리 지었습니다.
쌀이니 소고기 등에서는 서로 다른 얘기가 좀 나오고 있긴 합니다만..

그런데 우리보다 앞서 미국과 관세 협상을 체결한 일본 입장에서는 날벼락같은 일이 벌어졌습니다.
일본 역시 미국과 15프로의 상호관세 체결을 한 걸로 알고 있었는데요,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6083053?sid=101

응. 아닌데.
일본은 기존 관세 + 15프로입니다.

"기존세율과 상호관세율을 합산해 세율을 최대 15%로 정하는 특례대상으로서는 EU만 명시됐다." 입니다.
즉, 관세 15프로는 특례대상인 EU만 해당되는 거구요, 나머지 국가들은 기존 관세 + 추과 관세입니다.
예를 들어 EU는 기존 15프로 이하인 제품은 15프로 관세 적용을 받고 그보다 관세가 높은 제품은 기존에 해당하는 관세 적용을 받습니다.

잉? 그러면 우리도 기존 관세 + 15프로 아닌가?
맞습니다.
하지만 우린 미국과 과거 FTA를 체결했습니다.
즉, (FTA 0프로 또는 품목별 과세) + 15프로를 내게 되는거죠.
반면 일본은 (기본관세 or 품목별 관세) + 15프로를 내야 하구요.

당연히 자신들이 알고 있었던 거와 다르다는걸 안 일본 정부에서는 초비상 사태라고 합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8/0002759883?sid=104

무슨 고등학교 반장 선거도 아니고 이런 중요한 협상에서 왜 이런 기본적인 커뮤니케이션 오류가 났을까요?
전 당연히 트럼프 정부의 땡깡질이구나 하고 생각했는데요, 지금 나오는 정보로는 일본 정보의 잘못 같습니다.
이건 좀 더 두고 봐야겠지만요.

결론적으로 제조업에서 경쟁자일 수 밖에 없는 일본에 비해 우리가 더 가격 경쟁력을 얻을 수 있게 됐네요.
오늘 코스피, 특히 현차, 기아차는 좋을 것 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8/07 01:38
수정 아이콘
당시에 자동차는 상호관세 품목이 아니기도 하고 명시적으로 12.5%+2.5% 라고 했던거 보면 상호관세만 저 추가 15%에 해당하는 게 아닐까요
설사왕
25/08/07 01:47
수정 아이콘
일단 일본 자동차도 기존 관세 2.5프로 + 상호관세 15프로 해서 17.5프로 입니다.
다만 자동차는 상호관세가 아니라 품목별 관세 부과 대상이라 추후 바뀔 가능성도 있다고 하네요.
https://www.donga.com/news/Inter/article/all/20250806/132141510/2
25/08/07 02:39
수정 아이콘
(수정됨)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57250
품목관세는 상호관세와 별도로 적용되고 중복되는 경우가 없었는데 동아에 중앙도 그렇게 쓰니 의아하긴 하네요 정말 그랬다면 당장 일본에서 총리/대신들을 급파하고 업계와 시장이 난리가 날 일인데 그런 반응 까지는 안나오는 듯 합니다.
날아라 코딱지
25/08/07 02:29
수정 아이콘
만약 이대로라면 그동안 일본보다 못하다고
현정부에 온갖 욕설을 쏟아낸 사람들은 뭐가 되는건지.....
25/08/07 02:41
수정 아이콘
어차피 부끄러움을 모르는 자들이라...
Janzisuka
+ 25/08/07 03:36
수정 아이콘
그것도 그런데 또 막상 우리나라도 저런거 있을까봐 엄청 무섭 ㅠ
25/08/07 02:42
수정 아이콘
미국이 양아치죠 그돈을 받아내고 추가라니 일본은 그먕 파기하고 보조금 주는게나을지도모르겠습니다 명문화도 안된거같은데
여우사랑
25/08/07 02:44
수정 아이콘
파기할 경우 관세 올릴 놈들입니다.
+ 25/08/07 02:51
수정 아이콘
그러겠죠 크크 손익계산 잘 해봐야할거같슴다 일본은 그런 굴욕을 받고도 이번에도 퍼준건데 그것도 농락당했으니
manymaster
+ 25/08/07 03:02
수정 아이콘
어... 이번에 잘못해서 내각 불신임 들어가면 다음 유력 총리 후보는 극우라던데...
우리에게 진짜 좋은 소식인지는 모르겠습니다...
Ashen One
+ 25/08/07 04:17
수정 아이콘
일본도 놀랐다죠.
협상 당사자들도 놀랐다면 사실상 트럼프가 말을 바꿨다고 봐야...
뿌엉이
+ 25/08/07 04:2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일본과 미국 협상팀은 15퍼로 협상을 했고 트럼프 보고 과정에서 알수 없는 이유로 변한건데
트럼프가 저걸로 또 뭔가 일을 벌일수도 있지만 저걸 정말 저렇게 한다면 웃고 떠들일이 전혀 아닙니다
미국이 대미 흑자 순위로 협상했다면 우리도 일본과 균형 맞춘다고 어떻게든 더 뜯어낼 겁니다
차라리 일본이 기존 협상안대로 15퍼로 하는게 우리에게 도움이 될것 같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 선거게시판 오픈 안내 [29] jjohny=쿠마 25/03/16 29468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6] 오호 20/12/30 309047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62645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67114 4
104696 [일반] 너 행복한 합스부르크여, 결혼하라! 식별504 25/08/07 504 2
104695 [정치] 일본의 대미 수출 관세는 15프로가 아닌 기존+15프로네요. [12] 설사왕1165 25/08/07 1165 0
104694 [일반] 강속구 vs 변화구 (上) [1] 無欲則剛670 25/08/07 670 2
104693 [정치] 작년에 돌아가신 부패방지국장 직무대리의 유서 [10] 설탕물2336 25/08/06 2336 0
104692 [일반] 삼성, LG가 노리는 히타치 백색가전 부문 [27] 어강됴리3232 25/08/06 3232 0
104690 [일반] 돈키호테와 파우스트 — 신이 악마를 보낸 이유 [28] 번개맞은씨앗2905 25/08/06 2905 0
104689 [정치] 이춘석 탈당+법사위원장 사퇴는 진짜 상황이 급하긴 급한 모양이네요. [87] petrus11769 25/08/06 11769 0
104688 [정치] "감사 ^^" 송언석 사면 요청 문자 논란 (이번엔 국힘) [30] 덴드로븀6260 25/08/06 6260 0
104687 [일반] 합스부르크 왕조의 기원을 알아보자 [4] 식별3516 25/08/06 3516 11
104686 [정치] '주식 차명 거래 의혹' 이춘석 민주당 탈당 [129] 덴드로븀10685 25/08/05 10685 0
104684 [정치] 우리나라의 Tor 사용자 수 변화 추이 (2) [7] Regentag4279 25/08/05 4279 0
104683 [일반]  자원 팔아서도 선진국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경제, 호주 [34] 깃털달린뱀5952 25/08/05 5952 17
104682 [일반] 일론 머스크가 얘기하는 6가지 [63] Categorization7822 25/08/05 7822 4
104681 [일반] 경주월드 롤러코스터 체험 후기 [27] Purple7049 25/08/05 7049 8
104680 [정치] 주식시장 세제 개편에 대한 실망감 [110] 양현종10916 25/08/04 10916 0
104679 [정치] 대통령에게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이라고 비난 받은 포스코이앤씨 시공현장에서 또 사고가... [144] 매번같은12125 25/08/04 12125 0
104678 [일반] 중진국 함정 탈출의 어려움, 자체 자동차 브랜드 실패 사례를 중심으로 [62] 깃털달린뱀7934 25/08/04 7934 29
104677 [정치] 자본주의 책을 읽고 든 생각 [17] 네?!4444 25/08/04 4444 0
104676 [일반] 자본주의에 대하여 [9] 번개맞은씨앗3640 25/08/04 3640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