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12/05/30 13:55:24
Name Wizard_Slayer
Subject 공무원 시험
7급공무원과 9급공무원은 경쟁율이 어떻게 되나요?
몇년정도 준비하면 될까요?
공무원시험준비는 정말 안되면 낙동강 오리알 인가요?
9급공무원할바에 차라리 중소기업 취업이 나으려나요?

한심해보이겠지만..진지합니다 ㅜ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열정적으로
12/05/30 13:56
수정 아이콘
경쟁률은 의미가없구요 안되면 낙동강오리알맞구요 중소기업이랑 비교는 9급의굴욕 [m]
열정적으로
12/05/30 13:59
수정 아이콘
제가 준비중인데요 보통 2~3년 사이에 합격하드라구요 근데 사실 공무원공부시작하면 합격만해도 다행이라는게 수험생들의 공통된 생각입니다 [m]
피렌체
12/05/30 14:12
수정 아이콘
이쪽으로는 아예 관심이 없는 저로써 묻어가는 질문을 하자면

기초도 안되어 있는 공고 졸업생이 공무원시험을 봐서 합격할 수 있을까요?
(군대도 다녀와 중소기업에서 일하던 20대중반)
공무원시험이라 함은 어떤 시험을 어떻게 보는지도 궁금하네요...

제 친구놈이 이쪽을 생각하고 있는데 어떤지 궁금합니다;
12/05/30 14:13
수정 아이콘
대학생 때 하면 모를까 졸업해서 안되면 망이죠.
나중에 기업 면접에서도 비는 기간에 공무원 공부했다고 하면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는 얘기도 있고.... -_-;;;;
물론 국어나 국사를 공부하니까 공무원 안된다고 하더라도 한자, 한국사능력시험이라거나 KBS 한국어 능력시험 같은 건 딸 수 있겠죠.

사기업에 비해 업무강도가 확연히 낮고 수당 이것저것 끌어모으면 먹고 살 정도는 되고,
무엇보다 정년보장이 되는데다 갈수록 봉급이 늘어나기 때문에 중소기업과 비교할 수야 없지만 반대로 대기업과 비교할 수도 없죠.
40대 중반 정도에 잘린다고 쳐도 그 동안 받는 봉급이 공무원 정년때까지의 봉급보다 많으니까요. -_-;
Wizard_Slayer
12/05/30 14:17
수정 아이콘
대기업 문턱까지 갔다가 이래 방황하는 저로썬 씁쓸하네요 그래도 취업못하고 어영부영 자기비하하다가 ; 그 죽을각오로 한번 열심히 해볼랍니다.
Paul Peel
12/05/30 14:16
수정 아이콘
쓸데없는 관심이지만, 대학원 준비하지 않으셨나요...? 질게에서 한 번 본것 같은데 다른 사정이 생겼나 보군요..

제가 준비를 하지는 않지만 준비하고 있는 친한 친구가 있어서 대략적인 것만 말씀드리겠습니다.
더 자세한 정보는 다음이나 네이버 공무원 준비 카페에 가입하셔서 찾아보세요..

1. 경쟁율
일단 공무원 경쟁율은 직렬별로 다르고 난이도도 다릅니다. 여기서 난이도란 실제 수험생이 얼마나 되느냐는 것이죠..
따라서 본인이 준비하고 싶은 직렬을 말씀하셔야 거기에 대한 답도 나옵니다..
교행이나.. 그 중에서도 국가직은 매년 경쟁이 장난 아니게 높고 반대로 교정직이나 군무원은 좀 나은 편이죠..
본인이 무엇이든 합격하고 싶다인지 아니면 하고 싶은게 있는지를 먼저 정해야 합니다.

2. 난이도
유게에서 9급 공무원 영어시험 문제를 보셨겠지만..
요즘 공무원 시험에 뛰에드는 사람들의 실력이 점점 올라가서 떨어뜨리기 위한 문제를 많이 출제 합니다.
그래서 합격권에 들더라도 그 날의 운이 매우 크게 작용하는 것이 공무원 시험이라 생각합니다.
7급은 시험 난이도가 오히려 낮은 과목도 있지만 일단 과목이 9급보다 많아서 시간이 부족하기에
합격 점수가 9급보다 10점 이상 낮습니다.

3. 합격기간
주변에 공무원이 좀 많은데.. 빠른 친구는 4개월 걸렸고 긴 친구는 아직도(5년 이상)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4~6개월 만에 합격한 친구들은 모두 2000년대 후반에 시험을 본 친구들이고 이제는 최소 1~2년은 사법고시 정도로
준비를 해야 합격권에 오릅니다. 단지 내년부터 새로 추가된 과목(과학이나 수학 등)들은 충분히 변수가 되겠네요..

제가 드리고 싶은 말은.. 본인이 고시생의 삶을 잘 버틸 수 있는지에 대해 잘 생각해 보셔야 한다는 것입니다.
수백대 1의 경쟁도 존재하는 공무원 시험입니다. 만약 준비 기간이 3년 이상으로 길어지다 보면 취업도 힘들어지고
본인의 성격, 인간관계, 돈....모두 잃을 수도 있습니다.
Wizard_Slayer
12/05/30 14:17
수정 아이콘
아 기억하시는분 없길바랬는데 있네요.......아..................................부끄럽다.........................
대학원은 6월 1일 면접인데 아마 붙을것 같은데 하아..흠..

장난으로 생각하는것은 아닙니다.
여러 정보 감사합니다.
12/05/30 14:18
수정 아이콘
합격한 사람들 통계를 보면 보통 3년차때 제일 많이 합격하는거 같더라고요.
1년차때 시행착오 기본이론정리
2년차때 아깝게 탈락혹은 운좋게 합격
3년차때 합격...
이게 합격자들의 패턴인듯한데... 문제는 전체 공무원 준비인원의 1%정도만 합격한다는게 문제죠.
경쟁률은 평균100:1정도인데... 아마 공부도 어느정도되고... 각 기본서 한 3회독 정도 한사람들만 따지면 실경쟁률은 10:1 정도일거예요.
주말에는 조금 쉬더라도 주중은 기본 10시간정도는 2년 3년 공부하면 최소 합격권근처에서는 놀 수 있는거 같더라고요.(매일 10시간씩 공부하는거 정말 힘들다고 하더라고요)
한 며칠 쉬다 공부하고 하루 2시간 3시간만 하고 이러면 10년해도 안되는듯하고...
짧은기간에 얼마나 꾸준히 하루동안 오랜시간 공부하느냐 싸움
서울 중상위권대학사람들도 할거 다하면서 하면 못붙고 지방하위권대학도 공부만 매달리면 붙고 그런시험인듯... 7급은 문제자체도 우리나라에서는 사시 담으로 객관식 셤중에서는 어려워서 좀 더 머리도 있어야 하지만...9급은 성실함 싸움(20문제에서 과목당 3문제이상 틀리면 안되니깐 무조건 놓치는거 없이 많이보면 되는듯... )
12/05/30 14:19
수정 아이콘
경쟁률은 의미가없어요.
실제로 시험장 가면 출석률이 반정도. 나머지반중에서도 경험삼아보는사람과 심심해서보는사람 많아요.
Wizard_Slayer
12/05/30 14:20
수정 아이콘
ㅜㅜ
절대 만만하게 보는건아닙니다 오해는 마세요..
12/05/30 14:23
수정 아이콘
그리고 지방직은 의외로 높지 않습니다. 낮은 곳은 30-40:1 정도 되고 그나마 실제 응시자 70% 정도 잡으면 20:1 정도 나오는 곳도 있죠.
Wizard_Slayer
12/05/30 14:35
수정 아이콘
답변 모두 감사합니다. !!
대보름
12/05/30 14:36
수정 아이콘
7급은 거의 행시수준으로 보시면 됩니다.
9급행정은 경쟁률,난이도 모두 높구요, 경찰,교정이 좀 낮은 편입니다.

합격이 최우선이기 때문에, 본적이 지방이면 지방직 고려해보시고, 경찰,교정직, 만약 꼭 행정을 하시려면 우체국 생각해보세요.
박예쁜
12/05/30 14:37
수정 아이콘
혹시 준비하실려면 친척분들중에 공무원(특히 응시지역에 고위급이면) 필기만 붙으면 면접은 프리패스입니다

경찰직 면접에서만 3번 떨어진 친구놈을 보고있자니 안타까워서 글 올려봅니다
OneRepublic
12/05/30 14:49
수정 아이콘
경쟁률은 많이 빼세요. 기본과목이 같아서, 다른 공무원 시험 준비하는 사람들도 모의고사라 생각하고 다 봅니다.
평균점이 나오는지 모르겠는데, 전공과목이 기본과목들보다 많이 낮을거에요. 걍 찍으니까요.
라리사리켈메v
12/05/30 14:53
수정 아이콘
난이도 자체는 어려운게 아니라서 공부 습관만 들어있으면야 금방 금방 붙기는 하는데,
제 고향 친구들 보고 있으면, 할게 없어서 9급 뛰어든 애들이 좀 있거든요....
중, 고등학교 때 부터 습관이 안들어있으니 3~4년이 지나도 그냥 그냥 실력도 그냥 그냥 그러네요.

경쟁률은 아무런 의미가 없어요,
예비군 미룰 라고 신청하는 사람, 그냥그냥 심심해서 보는 사람, 등등 빠지면 경쟁률 진짜 반이상 쑤욱 내려갈껍니다.
저도 고시생이고 해서 이런 저런 것은 좀 알지만,
저처럼 긴장을 심하게 하고 이러는 타입은 한두문제 뻑나면 수습이 불가능한 9급은 좀 힘들어 보이기도 한 건 사실이예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6097 공무원 공부질문드립니다 꽃보단노인1662 12/05/30 1662
136096 장기자랑 질문이에요~ [1] 밀리언달러베1558 12/05/30 1558
136095 스2)가장 쉬운종족은 무엇인가요? [9] 바람꽃1832 12/05/30 1832
136094 pc 업그레이드 하려고 합니다.. 디아블로용으로요 [10] BlueSKY--2113 12/05/30 2113
136093 죽어버린 하드 살릴수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6] 불티나2080 12/05/30 2080
136092 지갑 좀 봐주시겠어요? [7] 꿀멀티2068 12/05/30 2068
136091 메인보드 추천좀 부탁드릴게요! [3] DEICIDE1593 12/05/30 1593
136090 공무원 시험 [32] Wizard_Slayer3191 12/05/30 3191
136089 헤어지고 있는 여자 친구의 짐들을 (한두가지가 아닌) 어떻게 해야 할까요 [16] IHG CP6494 12/05/30 6494
136088 [심심풀이] 당신이 좋아하는 먼치킨 캐릭터는? [25] Cand3089 12/05/30 3089
136086 캐나다 토론토쪽에 삽니다. 여행을 떠나고 싶은데요. [6] 임승현1741 12/05/30 1741
136085 디아3 해킹 당하신 분들은 게임방에서 접속하신 분들인가요? [3] honnysun2170 12/05/30 2170
136084 디아블로3 OTP관련 질문입니다. [5] 감모여재1572 12/05/30 1572
136083 격투기 관련 질문입니다. [3] 운체풍신1530 12/05/30 1530
136082 디아3 간단질문... [11] 다음세기2093 12/05/30 2093
136081 이 여자의 속마음은 뭘까요? [28] 유리자하드3790 12/05/30 3790
136080 갤럭시 노트 관련 질문입니다. [2] 알파로크1766 12/05/30 1766
136079 블리자드 OTP 관련 질문입니다. [2] 최군1668 12/05/30 1668
136078 남친 있는 여자와 절친이 될 수 있을까요? [28] 주환2770 12/05/30 2770
136077 스타리그 재경기도 공식경기 기록에 포함되나요? [6] Since19991517 12/05/30 1517
136076 민주주의와 진보, 보수에 대하여 의견을 묻고 싶습니다. [3] The Greatest Hits1706 12/05/30 1706
136075 요즘 스타리그 선수들 어떤가요? [4] 레알로얄1822 12/05/30 1822
136074 컴퓨터 하루 전문업체에 맡길때 하드디스크 어쩌시나요?;; [1] 정성남자1654 12/05/30 165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