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5/14 14:17
참고로 대리점에서 위약금 대납해준다고 해도 요금에 다 포함되는겁니다.
할부원금이란게 있는데 대리점에서 사면 위약금이 할부 원금으로 둔갑하지요. 요새 갤투나 노트의 할부원금이 어떤지는 모르겠으니 일단 ppomppu.co.kr가서 눈팅해보시고 (휴대폰 업체 게시판, 휴대폰 뽐뿌 게시판) 결정하세요. 할부 원금은 기기값이라고 보시면 되고 약정(2년 혹은 3년)과 요금제(44,55,66,...) 등으로 인한 요금 할인이 있습니다. 대리점에서 '00요금제 쓰시면 공짜에요' 하는것은 특정 요금제의 요금 할인 총액이 할부 원금과 같다는 것을 의미하구요.
12/05/14 14:17
1. 현금으로 얼마를 지원해주겠다는 말은 그 돈을 할부원금에 붙여 너에게 받아먹겠다는 소리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2. lte로 가실거면 통신사는 lg가 가장 무난합니다. 핸드폰 가격대도 저렴한 축에 속합니다 3. 기기는 취향이니 직접 대리점에서 만져보시는게 가장 좋겠네요. 개인적으로 노트는 너무 커서.... 4. 전국 최저가 오프라인 매장이 온라인 평균가보다 비쌀겁니다. 뽐뿌가서 눈팅좀 하시고 온라인에서 구매하시는걸 추천합니다
12/05/14 14:18
대리점에서 위약금을 대납해주는것은 그만큼 님에게 뽑아먹겠다는 거임
2년약정채우면 위약금 안내는거 빼고는 해택따위 없음 갤럭시 시리즈는 가격방어가 잘되는 편이므로 쉽사리 가격이 폭락하는일은 없음 대리점에서 구입은 비추 인터넷구매을추천함(인터넷에서 뽐뿌 검색후 휴대폰업체 게시판 일주일정도 눈팅하면 대충 감이 오심)
12/05/14 15:55
대리점 가서 이폰 얼마냐고 물어보면, '5만4천원짜리 요금제 2년(혹은 3년) 쓰시면 핸드폰은 공짜에요.' 또는 '추가 기기값 부담 없으세요' 이런식의 거짓말을 많이 하죠.
절대 속으셔선 안됩니다. 완전히 정확한개념은 아니지만 대략적으로 설명하자면, 5만4천원 짜리 요금제 안에는 통신사 먹는 통신요금(약 3만얼마정도)이 있고, 또 제조사가 먹는 단말기 기기값(할부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통신사가 먹는 통신요금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님이 핸드폰을 사실때 보셔야 할것은 단말기의 할부금(할부원금)입니다. 이 할부원금이 싸면 님이 매달 내시는 돈이 작아지고, 할부원금이 비싸면 님이 매달 내시는 돈이 많아지게 됩니다. 그리고 위약금 대납은 거짓말이니 믿지 마십시요. 위약금 대납해준다고 하면서 고객들 모르게 할부원금에 언져서 파는 수법이지요. 오프에서 사는 고객들은 할부원금이 뭔지 모르는 경우가 많으니까요. 대리점에서는 고객들이 할부원금의 개념을 잘 모르는걸 이용해서 별의별 사기를 다 치죠. 할부원금 30만짜리 폰을 60만원, 90만원에 팔면 그많큼을 대리점이 먹으니까요. 대표적으로 24개월 약정의 폰을 36개월 약정으로 파는 경우가 있습니다. 매달 얼마씩 폰의 할부금이 나가는데 그걸 2년할부에서 3년할부로 늘리면, 그만큼 할부원금이 늘어나게 되겠지요. 또한 '한달에 요금얼마쓰세요?'라고 물어보면서, 일부러 비싼 요금제를 추천하는 경우도 있지요. 비싼요금제에는 월할부금이 많이 포함되어 있으니까요. 님이 핸드폰을 사실생각이시라면 먼저 사고싶은 폰을 정하시고, 뽐뿌가서 요새 이폰이 할부원금이 얼마정도 하느냐고 물어보세요. 아니면 뽐뿌게시판에서 며칠간 눈팅을 하시던가요. 그럼 대략적인 시세와, 폰을 살때 알아야 할 주요개념등을 아시게 될거에요. 그리고 가급적 인터넷으로 사세요. 만일 꼭 오프대리점에 사시겠다면, 적어도 할부원금이 얼마인지 아시고 사세요. 폰을 사시면서 자기가 지금 얼마에 폰을 사고 있는건지는 반드시 아셔야겠죠? 만약 할부원금이 얼마지 안 아르켜주거나 이상하게 말돌리는 대리점이 있으면 절대 그곳에서는 사시지 마세요. 2년약정을 채웠을때 혜택같은건 없습니다. 단말기 할부금이라는 거는 위약금이랑은 달라서, 님이 2년약정을 다채우나, 1년만에 해지를 해나 어짜피 똑같이 내셔야 하는 돈이거든요. 다만 중간에 해지를 하면 매달 나누어서 내던 할부금을 일시불로 내셔야 하기때문에, 마치 위약금을 내는것처럼 보이고 또 그렇게 착각하시는 분도 있더라구요. 다만 kt나 lgt는 안그런데 sk같은경우는 약정위약금2라고 해서, 단말기 할부금외에 또 추가로 위약금이 5만원 또는 10만원이 붙습니다. 이럴때는 2년약정중간에 해지하는 경우 그만큼의 위약금을 더 내셔야 합니다. 이건 2g폰의 위약금이랑 똑같은 개념이라고 생각하시면 되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