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5/14 15:42
장부가치 : 장부에 기록된 금액을 말하는 거에요. 예를들어 차량을 현금 100만원에 구입했다면 (차)차랑운반구100/(대)현금100 이라고 분개하겠죠? 장부에 기록된 100만원이 장부가치입니다
(순)실현가능가치 : 컴퓨터를 생산하는 기업에서 컴퓨터를 지금 시장에 내놓았을 때 받을 수 있는 가치입니다. 신제품은 가격을 많이 받을 수 있겠고 재고자산은 오래될 수록 판매가가 떨어지겠죠? 공정가치 : 실현가능가치와 유사한 개념입니다. 현재 시장에서 거래할 수 있는 가격입니다. 첫번째의 차량운반구를 예로들어서 취득은 100만원에 했지만 사정상 팔아야 했을 때 시장에서 받을 수 있는 가격입니다. 취득원가 : 장부가치와 유사한 개념입니다. 감가상각비를 제외한 최초 취득 했을때의 가격입니다
12/05/14 16:26
너무 말이 어렵죠? 사실 저도 기억이 잘 안납니다. 회계를 놓은 지 꽤 됐어요...
FV(Fair Value, 공정가치) NRV(Net Realistic Value, 순실현가능가치) CC(Current Cost, 현행원가) BV(Book Value, 장부가치), VUE(Value in Use to the Entity, 기업체에 대한 사용가치(줄여서 사용가치) 취득원가는 다른 말로는 역사적원가 라고도 합니다. 최초 구입시 제공한 자산의 공정가치를 취득원가라고 합니다. 장부가치는 장부에 기록된 가치를 말합니다. 취득원가 그대로일 수 있지만 감가상각, 재평가, 손상 등으로 장부가가 변할 수 있습니다. 공정가치는 시장참여자 간에 정상적인 거래로 인하여 자산을 판매하고 수취하거나 부채를 이전하고 지급할 가격을 의미 합니다. 다시 말하면 공정가치는 순실현가능가치, 현행원가(부채는 이행가치라고 표현하죠), 사용가치를 아우르는 개념입니다. NRV, CC, VUE가 모두 FV가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FV의 핵심은 시장참여자 간의 정상적인 거래 라는 구절입니다. 예를 들어서 디아블로 3 한정판 정가가 99,000원이면 구매자 A의 사용가치는 230,000원, 판매자 B의 순실현가능가치(다른사람에게 팔면) 가 200,000원이라 했을 때 적당한 합의를 통하여 215,000원에 거래되었다면 FV가 215,000원인 것입니다. 쉽게 이해하려면 순실현가능가치는 지금 팔았을 때. 현행원가는 지금 샀을 때. 사용가치는 내가 사용함으로서 얻는 효용을 금액으로 환산. FV 는 이를 다 아우르는 가격이라는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