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5/10 12:20
외제차는 보험이 아무래도 좀 비싸서 유지비가 더 들죠.
수리비도 마찬가지구요. 수리기간도 국산보다 길게 걸립니다. 그리고 외제차 중고 값은 국산보다 안 좋을 겁니다. 제 생각에는 애마로 오래오래 타실 예정이거나 수입이 계속 증가할 전망이면 외제차로 가셔도 무방할 거 같습니다. 그게 아니면 국산차를 선택하는 게 더 나을 거 같아요.
12/05/10 12:37
두분 합쳐서 월 1000정도 버신다면 크게 무리는 아닌것 같은데요..
제 누나가 결혼하면서 벤츠 c200을 중고로 구매하였는데, 생각보다 좋진 않더군요. 차는 묵직한데 승차감이 좀 생각보다 별로. a4는 아는 형이 개업하며서 리스로 마련해서 타봤는데.. 이건 정말 좋더군요. 제가 가격은 잘 모르니 가격을 무시하고 c200탈래 a4탈래 하면 a4를 택하겠습니다. 그런데 차를 두대 사용하는데, 두대 모두 매일같이 탄다면 유지비는 만만치 않을 겁니다. 제 누나의 경우 누나는 걸어서 출퇴근, 형은 대중교통으로 출퇴근, 주말에 어디 갈때만 차량을 이용합니다. 가계수입은 작성자분과 비슷한 수준으로 알고 있습니다. 만약, 두 차를 매일같이 사용하신다면 꽤나 부담이 되실지도 모르겠네요.
12/05/10 12:41
과거 제가 했던 고민과 유사한 고민을 하고 계시는군요. 저는 스포츠카를 먼저 사고 세단을 나중에 샀지만 말이지요.
스포츠카(아우디)와 세단(TG)을 가지고 있는데요. 올해 부담하는 스포츠카 보험료가 약 460만 원(할증이 큰 이유이지요), 세단 보험료가 120만 원 정도였습니다(30세가 넘어서 좀 깎였고, 그 전에는 좀 더 나왔습니다). 최근 스포츠카 정기점검을 받았더니 오일교체 공임 기타 비용이 약 29만 원 나오더군요(신차면 3년간 쿠폰 쓰시면 됩니다). 교체비용을 생각해 보니 재작년에 경미한(?) 추돌사고로 범퍼교환을 할 때 비용이 약 300만 원 좀 넘게 나왔습니다. 유지비는 뭐 쓰시기 나름이겠지만, 각자 출퇴근에 이용하신다면 유류비가 한 달에 2~30만 원 정도 소요되실 것이고 작년에 제가 두 차량 관리에 쓴 비용(보험료, 유류비, 수리비, 톨비 세차비 기타..)이 한 1,500만 원 정도 되지 않나 싶습니다. 참고가 되었으면 합니다.
12/05/10 12:43
차량 가격 뿐 아니라 유지비도 수입차가 넘사벽으로 비쌉니다.
보증기간 3년 지나고 나면 차가 잡아먹는 돈 때문에 깜짝 놀라실 거예요. 더구나 그 정도 수입은 가정을 꾸리고 아이가 생길 때까지 생각하면 수입차 유지하시기에 모자랍니다... 나중에 후회하지 마시고 그냥 국산차 구입하세요.
12/05/10 13:02
월1000(그것도 실수령)정도 된다면 수입세단 괜찮을 것 같은데요..
유지비 생각하신다면 수입 디젤 세단 고려해보심이. 기름값으로 유지비 상당부분 커버가능할 것 같아요. 디젤 세단 쪽은 아무래도 bm추천 드리구요.(연비,성능, 운전재미) (친구 c클 220cdi 타보고, bm 320d 새로나온것 시승해봤는데 여자분 타기엔 벤츠가 좀 더 낫긴 하겠더군요 승차감이 좀 더 부드럽기도 하고, bm보단 디자인도 조금 더 이쁜 느낌이라..) 5년 10만km까진 크게 유지비 걱정없이 탈수 있습니다. 인터넷 조금 검색해보심 아시겠지만, 안전성은 국산차 대비 넘사벽이라고 생각하구요 물론 국산차 구입시 보다 유지비 더 들겠지만 큰 차이는 아닐 것으로 생각합니다. (왠지 현기차 사는 건 호구 되는 기분이라..)
12/05/10 13:27
이번에 새로 들어온 시트로앵 DS3 추천드립니다.
SO Chic(가솔린) : 2,990만원 (VAT포함) Chic(디젤) : 2,890만원(2,950만원 알로이휠) 연비는 DS3 e-HDi Chic 모델이 25.7km/L이고 1.6 VTi So Chic 모델은 13.8km/L입니다. 구입시 내야하는 세금을 고려해도 3,500 안에서 해결됩니다. 시승기는 http://www.global-autonews.com/content/content_view.php3?menu_id=97&writer=&id=35750 보시면 됩니다. (글로벌 오토뉴스의 채영석 국장님이 우리나라에서는 제일 시승을 많이 해본 분이시고 해외에서 올해의 차 선정할 때도 한국에 투표할 수 있는 2분 중 한분이시니 믿으셔도 됩니다) 보험료는 이번에 가입하신 경력이 없으시다면 첫해에 120~150만원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다이렉트가 당연히 저렴) 기름값은 출퇴근 거리와 위에 말씀드린 연비 고려하셔서 계산하시면 됩니다. 보통 3년은 소모품 무상 서비스이기 때문에 그 안에서는 수입차라 하더라도 유지비 차원에서 국산차랑 그다지 차이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3년을 넘기면 그 때부터가 고민이 되는데 아이가 생기면 혼다 CR-V 같은 차량으로 바꾸시면 될 것 같습니다.
12/05/10 13:54
소득이 높다고 굳이 비싼차를 탈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출퇴근용으로 쓰신다면 기름 덜 먹고 유지시 수월한 아반떼나 i30도 좋다고 봅니다.굳이 좋은 차를 타면서 엔돌핀이 많이 돌지 않으신다면, 그냥 운송 수단으로 적절한 차가 낫지 않을까요? 일단 큰차(쏘렌토)가 있으시니 세컨카 개념으로 사시는게 어떨까 합니다. 두분이 결혼을 앞두고 계시니, 태어날 2세를 고려 하셔야 할 것도 같구요. 은근히 차가 돈 쏠쏠찮게 많이 잡아 먹습니다. ^^ 유지비 잘 고려해서 현명한 결정 하시길... 단, 정말 사고 싶은 차가 있음 그걸 사시는게 맘이 편합니다. 꼭 갖고 싶은차 안사고 딴거 사면 두고 두고 불만이 쌓이더라구요...
12/05/10 15:04
중산층이시네요..
연봉의 얼마 이런건 의미없다고 생각합니다. 막 살자는 의미가 아니가 외제차 사고 싶고 능력이 충분한건 아니라도 어느정도 되면 사고 싶은 외제차 사는게 정답입니다. 뭐 대출 받아서 차 사는것도 아닌데 같이 가셔서 기분좋게 사는걸 추천드립니다. 한번 사는 인생인데 굳이 절제할 필요가 있나 싶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