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12/03/29 23:27:32
Name ArcanumToss
Subject 기혼자에게 묻습니다.
- 초등학생 아이 한 명이 있고
- 집이 있고
- 빚이 없는 부부가
- 노후준비까지 하며 생활할 수 있으려면
- 대강 어느 정도의 연수입이어야 한다고 생각하시나요?
- 그리고 만일 이 부부가 아이를 하나 더 낳는다면 한 달 지출이 얼마나 더 증가할 거라고 보시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올빼미
12/03/29 23:37
수정 아이콘
이건 아이의 교육에 얼마나 투자하냐에 따라 달라질문제라서..-_-
남자가 500정도월수로 있으면 외벌이가능합니다만...
12/03/30 00:00
수정 아이콘
저도 뭍어가는 질문 해보자면 세후 세전 어느쪽 말씀하시는건가요?
Monde Grano
12/03/30 00:04
수정 아이콘
집있고 빚없으면 세후 300만 받아도 그럭저럭 서울 안에서 균형재정을 유지할 수 있다고 봅니다. 여기에 노후준비를 플러스하면 되겠죠.
애가 하나 늘면 처음 2년간은 월 50~100정도 더 들어가죠. 그 뒤는 교육열에 따라..
나이스후니
12/03/30 00:07
수정 아이콘
집 있고 빚이 없으면 교육열과 생활 수준에 다라 달라지겠죠.. 월 200으로 으로 4인가족을 꾸리시는 분도 계시고, 400을 받고도 3인가족을 부양하기가 어려운 집도 있습니다. 기혼자는 아니지만 윗분 말처럼 세후 300정도면 생활하는 데에는 아무 지장없습니다. 다만, 살면서 갑작스런 사고라던지, 노후 대책을 위해서는 400이상이 안정권이라고 봅니다.
iAndroid
12/03/30 00:17
수정 아이콘
집이있고 빚이 없다면 세후 300 정도면 살아가면서 어느정도 노후준비도 병행할 수 있다고 봅니다.
아이가 하나 더 생긴다면 기본 월 +50만원의 추가지출이 생긴다고 보시면 됩니다.
ArcanumToss
12/03/30 00:43
수정 아이콘
세후 500이면 어쩌니 저쩌니 해도 괜찮다는 거군요.
근데 500을 몇 살까지 벌어야 할까요?
평생 벌 수는 없을테고.
12/03/30 09:12
수정 아이콘
서울 기준 - 집 있고 차 있고 부모님 안모신다고 가정,

초등학생 자녀교육비 : 영어학원 40, 국어 15, 수학 20, 과학 20, 기타(미술/음악/스포츠 등) 20.. 주변 기준으로 최소 이정도 하더라구요. 초등학교때가 오히려 교육비 지출이 크고, 중학생 이후로 오히려 점점 줄어듭니다.
경조사+부모님용돈 : 50
보험 : 30
관리비/통신비 등 : 60
식비 : 100
교통비+차유지비 : 70 (학원 이동경로 감안하면 교통비 제법 나갈겁니다)

이 정도만 해도 세후금액 425만원이군요. 각자 용돈 있어야 할 거고 와이프님 화장품, 옷 사야되고 각종 기념일선물까지 챙기고 외식하고 이러면 추가지출 발생되구요. 40대중반인 저를 기준으로 노후자금은 상당히 부담스럽습니다. 아이들 대학보내야하고 시집장가 보내야하고 노후자금까지 마련하려면 수백만원은 생각해야 되는데 현실은 빠듯하죠.

강남지역에서 교육열이 가장 뜨거운 동네에서 세 아이 키우고 있는데(하나는 유학보냈구요) 애가 하나 있다고 가정해도 저 금액보단 훨씬 더 많이 들어갑니다. ㅠㅠ 맞벌이 하다보니 저녁까진 어쩔 수 없이 학원을 돌려야 하기에... 무슨 학원들이 그리도 많은지
영어학원, 수학 2-3개, 과학영재학원, 역사학원, 국어논술, 스포츠, 미술, 사회체육, 부족한 과목 과외 등등
아나키
12/03/30 09:56
수정 아이콘
대충 어느정도의 연수입이어야 되는게 아니라....
지출은 다 연수입에 맞게 나가죠. 애들 교육도, 여가도, 노후대비도... 많이 벌면 많이 쓰게되고 적게 벌면 적게 쓰게되고...
12/03/30 12:07
수정 아이콘
FC로 일하면서 만나뵈면
본문처럼 살고 계시는 부부 중에서 연수입 3000미만인 분도 계시고, 1억 이상인 분들도 계십니다.
(너무나 당연히 알고 계시겠지만 ^^)

일단 아이를 키우는데 드는 돈은 천문학적인 차이가 납니다. 평균치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부모의 소신과 경제력에 따라서 매우 달라집니다.


일단 세 가족이 생활하기 위해서 최소 생활비는 200만원 이상이라고 봅니다. (집도 있고 차도 있다는 가정입니다.)
기타 비용으로 100만원 정도만 더 있다면, 생활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은 없습니다. (다만, 여유로운 삶과는 거리가 있습니다.)

노후 준비라는 부분도 역시 경제력과 맞물립니다만,
아이가 초등학생이면 최소 40대이상의 부부이고, 60세 은퇴 기점으로 20년도 남지 않았기에
최소 월 50이상의 연금을 가입해야합니다.

계산하면 월 350이 최소한 필요하니 연봉 4000이하로는 실제 생활이 불가하다고 봅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디테일에 있습니다.
40대에 집과 차를 소유하고, 빚이 없는 상태라면 이미 일정 수준이상의 소득이 있었던 가족이고
이 분들이 모든 자산을 집에만 투자하지는 않았을 겁니다.
실제로 신혼부부 때부터 연 4000 정도의 수입으로 적절한 투자의 분산을 한다면 말씀하신 가정으로 조금 빠듯하게 생활이 가능하다고 봅니다.

아이들을 키우는데 들어가는 비용은 정말 천문학적인 수준의 차이가 생깁니다.
(원어민 강사가 가르치는 어린이집이 한달에 2~300정도이니)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0731 [lol]케넨 질문있습니다 [10] 요우2865 12/03/30 2865
130730 내일 리그오브레전드 용산 직관가려고 하는데 몇시쯤 가야 자리 잡을 수 있나요? [3] 감자해커2160 12/03/30 2160
130729 여러분의 첫사랑 기준은 어떠신가요??? [11] Helloween5109 12/03/30 5109
130728 제모 부작용... 병원에 어떻게 보상을 받아야 할까요? 블루레인코트2220 12/03/30 2220
130727 익스플로러 9 질문입니다. [1] 기미수2785 12/03/30 2785
130726 오늘 해피투게더 어떠셨어요? [11] 냉면과열무3635 12/03/30 3635
130725 회사 미팅시 워밍업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Siva.J2163 12/03/30 2163
130723 사진 퍼오기와 관련된 질문 KID A2102 12/03/29 2102
130722 2년 약정 스마트폰이 아작났습니다 ㅡ.ㅜ [2] 스테비아2151 12/03/29 2151
130721 기혼자에게 묻습니다. [9] ArcanumToss2592 12/03/29 2592
130720 [lol]니달리로 탑에서 케넨이나 블라디 만나면, [4] 럭스3152 12/03/29 3152
130719 c언어 while문 질문이요! [25] VersionA4401 12/03/29 4401
130718 데이트 코스 질문입니다. (서울 인사동 근처..) [5] 사랑2167 12/03/29 2167
130717 성장기 운동 [2] NaS.KiJuK2125 12/03/29 2125
130716 약사나 신경,정형외과 의사 분들께 질문드립니다. (약 성분에 대해서..) [6] 부처6278 12/03/29 6278
130715 KT 갤투 중고폰 시세가 어떻게 되죠?? [4] Love&Hate2097 12/03/29 2097
130714 해외 대학2학년생인데..PEET에 관해서 여쭙겠습니다. [5] 에버츠포드3782 12/03/29 3782
130713 혹시 JTB여행사에 대한 자료를 가지고 있으신분 계시는지요. 相変わらず 2110 12/03/29 2110
130712 영화 스카페이스가 재밌나요?? [8] 9th_Avenue2182 12/03/29 2182
130711 대한민국 역대 10 투수 [10] 다음세기2551 12/03/29 2551
130710 [lol]결과 스샷 어떻게 찍나요? [7] 가을독백2137 12/03/29 2137
130709 인터넷으로 시킬 돼지 갈비 추천해주세요. [1] 케세라세라2238 12/03/29 2238
130708 잠실 시범경기 직관 질문입니다 - 메뉴 추천 받습니다. [4] Noam Chomsky2505 12/03/29 250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