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12/03/11 01:04:46
Name 라울
Subject LOL 리그 흥행의 부정적 요소를 생각해 봤는데요.
제가 생각하는 LOL 리그 흥행의 가장 부정적 요소는 바로 돈이네요.
가장 흥했던 게임리그인 스타리그와 비교해봐도 동일 상금을 지급해도 개개인에게 떨어지는 금액은 최소 1/5일수밖에 없습니다.
선수들에게 현격히 수입이 적죠. 팀 게임이니만큼 예비 인원까지 확충하게 될 경우는 더 떨어집니다.
방송사에서 따로 리그라도 개최할 경우 토너먼트 진행방식에 따른 파이트머니도 마찬가지겠죠.
그렇다고 스타리그 시절보다 5배씩을 지급할수 있는 만큼 현재 LOL 시장의 규모가 되며 앞으로 그만큼 커질것이냐.. 하면 글쎄요..

팀 운영에 따른 스폰서 구조는 어떻게 돌아가는지 자세히는 모르겠지만 이와 마찬가지겠죠.
개개인 모두에게 연봉을 지급해야 할 테고요.
스타리그에서도 한팀에 선수 여러명 키우지 않았느냐 하실수도 있겠지만
LOL은 한 팀으로밖에 경기에 참가가 안되지만 스타의 경우 개개인이 모두 다른경기를 한다고 생각하면 말이 다릅니다.
LOL 프로팀이 국내에 4개 있다고 치면 말그대로 그들만의 리그밖에 안됩니다. 4개 팀만 그냥 죽자사자 서로 싸우는 거죠.
스타 팀 한개에 5명의 선수만 있다 쳐도 경기조합이 수십가지가 나오죠.

게다가 팀 게임의 특성상 개인 게임보다 갑툭튀하는 실력자는 더욱 나오기 힘들고요. 합숙하면서 호흡맞추는 프로팀을
개인의 영역에서는 이기기가 사실상 힘듭니다. 지금도 나오죠. 국내 프로팀인 나진, MIG 하고 그 아래하고는 좀 실력의 갭이 있죠.
이렇게 되면 결국 시청자들이 쉽게 질리게 되겠죠. 맨날 그놈이 그놈끼리 싸우고 이겼다 졌다할테니..

오늘 ISM인가 결승전 하는데 1등상금이 5만달러인가 하더라구요. 5천만원정도 되긴 한데..

그냥 문득 생각나서 써봤는데요 혹시 제가 알고있는 틀린 사실이나 부족한 사실이 있으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마빠이
12/03/11 01:19
수정 아이콘
제가 알기론 올해 온겜넷 대회만 정규리그 4회+세계대회1회
이렇게 총 5회 대회 기획에 대회상금만 약 10억 걸린걸로 알고 있어요

게다가 5월부터 엔비디아에서 lol리그를 크게 열거 같고, 나겜리그,
자잘한 인터넷리그 이런거까지 한다면 수입은 걱정이 없을거 같습니다.

1인리그와 다른점이라면 우승, 준우승자 두어명에 상금이 몰리느냐와
골고르 퍼지느냐 차이 뿐이라 생각합니다.

게다가 상금헌터 시스템에서는 a급 선수들이 아니라면 이런 팀원이
동등하게 나누는 시스템이 더 좋을수도 있고요

그리고 이미 나진 선수들은 연봉까지 받고 있으니 창단팀이 더 늘어난다면,
선수들은 더욱더 안정적인 환경에서 게임을 할수 있을거에요~
12/03/11 01:21
수정 아이콘
저도 이거에 대해선 잘 모르지만,
프나틱처럼 카운터 스트라이크 세계적으로 유명한 팀이 떠오르는데 카스 같은 경우도 5인 이상이 한팀아닌가요?
FPS를 한판도 한적은 없지만 상당히 인기를 끌었던것을 생각해보면 LOL이 상금이 적다는것은 너무 개인전 중심인 스타리그와 비교한게 아닐까 싶습니다.
비슷한 류인 CCB도 안본지 꽤 됐지만, 최강팀은 몇번 바뀌었던것 같고요.
12/03/11 01:29
수정 아이콘
음 게임사에서 상금을 부담하는 구조인걸 몰랐군요.. 이 글은 아무 의미가 없네요. 답변주신분들 감사드립니다.
낭만토스
12/03/11 01:39
수정 아이콘
온겜이 상금을 대진 않죠.

또 그놈이 그놈이라는 스페인 프로축구를 봐도 레알마드리드 VS 바르셀로나고
EPL이나 세리에 등등도 마찬가지죠.
테니스도 매번 나달이니 페더러니 그러고
골프도 매번 타이거우즈가 해먹고(뭐 요즘은 바뀌었지만)

LOL에서 지금 우승한 M5도 예전부터 있던 팀은 아니고 최근 갑툭튀한 팀이죠.
12/03/11 01:56
수정 아이콘
이런 장르의 게임은 조합이 다양하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하다못해 맨날 같은 팀끼리 붙는다고 해도 서로 다른 조합과 전략을 들고 나오게 되지요.
12/03/11 02:03
수정 아이콘
그리고 신인의 스타성이 부족하다는 말은 '잭스패로우' 한 명으로 대체할 수 있지 않을까요?

아무리 팀이라도 유독 돋보이는 한 명이 있을 수 있습니다.

카페팀의 잭선장(잭스패로우), MiG 의 매드라이프 등..
12/03/11 03:47
수정 아이콘
1. 대회상금 10억이면 갑자기 엄청난 돈은 아닙니다. 총 5개대회니까, 대회당 총상금이 2억이죠. 화제가 몰린 신규게임의 경우 돈이 더 몰리니 충분히 나올만한 수치입니다. 아직까지는 소화가능하다는 거죠.

2. 상금 시스템은 도리어 더 안정적입니다. 상금은 대체로 우승상금에 포커스가 맞춰지지만, 그걸 업으로 하는 사람들로서는 최하라운드의 상금이 얼마냐가 더 중요할 수 있죠. 그리고, 이러한 최하라운드의 상금은 거의 출연료 대신 지급하는 것에 가깝기 때문에 5명이 나눈다고해서 문제가 될 게 없습니다. 1명이 나가는 게임에 비해서 최하라운드의 상금은 5배가 될 가능성이 높으니까요.(대신, 개인대회는 16강이 최하라운드라면, 팀대회는 8강이 최하라운드가 될 가능성이 높지만요.)

3. 초기 스타리그의 경우 프로게이머들이 팀을 꾸려서, 그 중 일부가 대회에 나가 상금을 받으면 그걸로 팀 전체를 운영했습니다. 왜 팀을 운영했냐면 연습상대가 필요하기 때문에 서로 필요한 사람들끼리 뭉쳐서 서로를 보조했던 거죠. 스타의 경우 3개의 종족이 있었기 때문에 종족별로 2명씩, 총 6명이 최소 필요한 인원입니다. 5:5팀 전은 5명의 출전선수가 필요하지만, 연습상대도 5명만 있으면 되죠. 최소인원은 10명. 최소도 큰 차이가 안나지만, 여기에 몇몇의 선수의 추가필요성도 5:5팀전이 좀 더 낮죠. 결과적으로 '팀'을 운영하는 사람 수는 별 차이가 없습니다.
12/03/11 04:53
수정 아이콘
팀에서 연봉을받는다면 상금은 꽤 중요하지만 부수적인 수입이 되겟죠
프로팀이 생긴다면 연봉이 있을테니 그런건...어떻게 알아서 할듯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9110 생후 20개월정도된 아들이 자다가 머리아프다면서 엉엉 울고있어요.. [10] 현호아빠2168 12/03/11 2168
129109 LOL 리그 흥행의 부정적 요소를 생각해 봤는데요. [10] 라울1869 12/03/11 1869
129108 [슬램덩크] 전호장은 어느 정도 급의 선수가 되었을 것 같나요? [18] 자유수호애국연대4960 12/03/11 4960
129106 수분크림 질문입니다. [13] 너랑나랑1789 12/03/11 1789
129105 본격 색마 키우기 게임 더비 데이즈 하시는 분들 있으신가요? [8] Absinthe 4973 12/03/11 4973
129104 흡연자이신 분들에게 질문드립니다. [27] 오프라인표시2979 12/03/11 2979
129103 노트북 발열에 관해서 질문드립니다. [6] 꽃을든남자1875 12/03/10 1875
129102 일본에서의 뽀로로는 어느정도의 인기입니까? [4] 예인3137 12/03/10 3137
129101 마이클센델의 정의란무엇인가 하버드강의 같은 강의 동영상 추천 부탁드립니다. [1] opieo1447 12/03/10 1447
129100 음악을 들을때 따로 전용 mp3p 를 사용하시나요? [11] PokerFace1720 12/03/10 1720
129099 [lol] 도란검은 몇개까지 괜찮나요? [11] 가아든2183 12/03/10 2183
129098 로밍시 음성요금제는 어떤식으로 깎이게되나요?? [2] 엔마1841 12/03/10 1841
129097 에블린 속옷 구입처 질문입니다. [11] 사이시옷2264 12/03/10 2264
129096 영단어 암기 질문입니다... [9] 유안2765 12/03/10 2765
129095 이 가방 어떤가요? 괜찮은지 평가좀 해주세요.. [5] 아스날2073 12/03/10 2073
129093 pgr에 네임드가 뭔가요?? [17] 키나2219 12/03/10 2219
129091 운영자 분이 아무도 로그인이 안되있어서 여기다 신고 합니다. [1] 이름과 숫자2088 12/03/10 2088
129090 입시제도관련 질문입니다. [1] 64363463261520 12/03/10 1520
129089 국가장학금 농협계좌질문이요 [4] 초보교사3444 12/03/10 3444
129088 교보문고 ebook 사면 인쇄가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비상대책위원회10163 12/03/10 10163
129086 신촌 맛집 여심 질문입니다! Magicshield1821 12/03/10 1821
129085 6년 사귄 여자친구 어제 전화로 이별 통보하고 오늘 만나기로 했는데 조언 좀 부탁드립니다 [46] 삭제됨6176 12/03/10 6176
129084 화이트데이때 선배님께 선물을 드려야할까요? [5] 생마린2097 12/03/10 209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