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2/27 12:28
1문은 f(x)를 y로 둔 후, x와 y를 바꿔서 다시 y에 대해 정리하시면 됩니다.
원함수의 치역은 2차함수니까, 최솟값 -5 이상에서 나오겠죠. 역함수는 정의역이 루트 안에서 결정되고, 함수의 형태에서 치역이 결정됩니다. 2문은 x절편과 y절편을 그래프 상에 찍어보세요...
12/02/27 12:29
x=4(3y-4)^2-5
x+5=4(3y-4)^2 [4(X+5)]^1/2=3y-4 여기서부터는 하실수있으실거라믿고.. 정의역은 X가 -5보다 크거나같은 실수/치역 y가 4/3보다 크거나 같은 실수 아래꺼는 테이블이나 포인트가 뭔지 모르겠지만 (1,3)을 지나고 y절편은 3^1/2이네요
12/02/27 12:33
1. 일단 역함수는 1:1대응에서만 성립합니다. 정의역을 설정하시고 하셔야합니다. x>= 4/3 or x<= 4/3 이렇게 두고 푸시면 됩니다. 치역은 같구요. 역함수를 취하게 되면 원함수의 정의역이 역함수의 치역이 되고, 원함수의 치역이 역함수의 정의역이 됩니다. 따라서 그래프를 그리게 되면 두 가지 형태로 나옵니다.
2. a root b(x+c) +d의 그래프는 a>0이면 위로, a<0이면 아래로, b>0이면 오른쪽으로, b<0이면 왼쪽으로 뻗어갑니다. 꼭짓점은 -c, d가 되니 거기서 출발하시면 됩니다. 해당 그래프는 (- 1/2.0)에서 오른쪽 위로 그리시면 되구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