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5/02 12:06
생각해보니 그렇네요 크크... 저는 일단 '전기가 제값에 잘 팔리고 있는지' 본다는 개념으로 영업이익을 봤습니다. 전기자체가 제값에 못팔리고 있다는 주장이 맞다면, 당장 영업이익부터 망가져야 하니까요
22/05/02 00:37
거버넌스는 모르겠고 현재같은 전기요금 체계면 얼마 안가 자본잠식되고 망합니다.
물론 공기업이니 세금으로 살리겠죠. 주요 선진국중에 한국이 전기요금 제일 쌉니다.
22/05/02 00:39
https://www.e2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25147
["한전 실적은 탈원전이 아니라 국제유가가 좌우"] 2020.08.13 이기사에 과거 그래프가 잘 나와있네요.
22/05/02 07:46
연료비 연동제 도입은 했는데, 정부가 못올리게 하는게 크죠. 한번도 제대로 올린적이 없습니다.
정권 끝날때쯤 되니 폭탄 넘기기 식으로 전력량요금 슬쩍 올리기도했고.
22/05/02 10:10
5년마다 주가 차트 방향이 달라집니다..
그만큼 정부 기조가 중요하죠.. 박근혜 정부때는 공기업의 정상화가 캐치프라이즈여서, 한전이 실적과 주가 모두 좋았고..
22/05/02 11:19
변동폭이 저정도로만 움직이면서 손실, 이익 폭을 흡수하면 좋은데, 최근 21년 4분기 22년 1분기를 보면 그 폭을 크게 벗어난 것을 알 수 있고, 적자 폭은 계속 크다는 것이 문제죠.
저도 적자 때문에 한전의 구조를 바꿔야 되냐에 대해서는 회의적이지만 요금을 올리지 못하면 좋지 않은 상황이 올 수 있는 상황은 맞습니다.
22/05/02 12:08
저도 전기요금이 기형적으로 적자를 양산하고 있다면 정상화 찬성입니다. 또한 그 전기료 부담이 [공정]하게 분배되는지 그 과정을 충분하게 설명하고, 비가역적인 국민 권익의 침해가 일어나지 않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22/05/02 13:17
공기업 경영이 정부기조 따라가기 때문에 18년도 부터본다면 좋다고 느껴지진 않네요. 20년도는 순수 영업으로 흑자냈는지도 따져봐야 할거같고
22/05/04 09:23
나라마다 사정이 다 다른데 당연히 비슷한 나라와 비교해야죠.
더 싼나라가 많아서 잘못된 정보라는 얘기는 논리의 비약으로밖에 안읽히는데요. 주장하시기싶은 바가 뭔가요?
22/05/12 11:07
산업용 전기료 올리는 근거가 없다는 거죠
전기료 싸서 데이터센터가 들어온다는 거는 더 싼 나라들이 많은데 거기는 왜 안가냐라는 반론이 당연한거 아닌가요
22/05/02 18:53
산업용이 아니라 주택용전기요금을 올려야 되요. 주택용이 원가회수율이 더 낮습니다.
산업용 전기 싸다는 얘기는 15년전 얘기고 그동안 많이 올려서 거의 원가정도는 받고 팝니다. 주택용은 당연히 적자보면서 파는중이고요.
22/05/02 22:04
MB시절인 2011년 영업이익이 -1조원, 2012년 -8천억원 문정부 기간인 2019년 영업이익이 -1.2조원, 2021년 -5.2조원, 2022년 예상치 -15.4조원 문정부 기간의 영업손실 적자가 뚜렷히 나타납니다.
그리고, 한전의 경영실적은 영업손익외에 금융비용과 영업외비용도 고려해야 하는데, 2017년말 총부채 109조에서 2021년말 총부채는 37조원이 증가하여 146조원이 되었습니다. (연결재무제표 기준) 매년 3조원의 금융비용이 발생하여 왔는데, 부채 증가와 금리인상을 고려하면 금년부터 연간 4조원대 금융비용이 예상됩니다. 결론적으로 말씀드리면, 1. 발전원가의 고비용화(원전, 석탄비중 축소) 2.전기요금 인상의 제한 3.유가 등 에너지 원가상승 등으로 영업손익 악화 4. 부채 증가로 인한 금융비용의 증가 5. 신재생에너지 투자, 한전공대 설립비용 등 불요불급한 비용투자 로 적자가 누적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윤정부가 들어서도, 2번 전기요금 인상 외에는 뚜렷히 정책을 낼 것이 없습니다. 1번의 경우, 과거(석탄 사용)로 회귀할 수는 없고, 3번은 세계 에너지가격에 좌우되는 것이고. 4번 증가된 부채와 금리인상도 정부가 해결할 수 없고, 5번 이미 계획된 신재생에너지 투자안의 전면 재검토 및 한전공대 설립 재검토를 해야 할텐데 쉽지 않은 부분이죠. 아시겠지만, 신재생에너지발전업자로 선정된 분들은 최소 15년동안 정부보장의 안정적 수입을 얻을 수 있고, 한전공대를 유치한 지역과 입학한 학생은 취업의 혜택을 보겠죠. 이를 위해서 법제화시켜 놓았고, 새로 입법을 하지 않는 한 변경하기 어렵죠. 향후 일자리와 수입원을 알차게 확보한 민주당의 입법으로 당사자들은 좋을 수 있으나, 이를 감당해야 하는 한전의 비용은 앞으로도 계속 증가하게 되어 있고, 그 부담은 국민에게 돌아올 겁니다.
22/05/02 22:58
정성스러운 댓글 감사합니다.
발전 믹스 변경 및 이어지는 원가 상승을 가장 앞서 꼽으셨는데, 이는 발전원가가 상승하므로 영업이익 선에서 큰 타격으로 나타나야 할 것 같습니다. 하지만 영업이익선에서는 제가 위의 대댓에서 적었듯이 심각한 적자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말씀하신 MB집권기 고유가 기간에 영업이익 적자가 투명하게 나타나 있는 것으로 압니다. 이를 가장 앞서 심각한 적자 원인으로 꼽을 수 있을까요? 제가 읽을 수 있는 기본 지표와 맞지 않으니 저만이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엇비슷한 고민을 하고 있을 것 같습니다. 세부적인 지표 설명이 가능하시다면 부탁드리겠습니다.
22/05/03 15:43
MB시절인 2011년 영업이익이 -1조원, 2012년 -8천억원 문정부 기간인 2019년 영업이익이 -1.2조원, 2021년 -5.2조원, 2022년 예상치 -15.4조원 문정부 기간의 영업손실 적자가 뚜렷히 나타납니다.
그리고, 한전의 경영실적은 영업손익외에 금융비용과 영업외비용도 고려해야 하는데, 2017년말 총부채 109조에서 2021년말 총부채는 37조원이 증가하여 146조원이 되었습니다. (연결재무제표 기준) 매년 3조원의 금융비용이 발생하여 왔는데, 부채 증가와 금리인상을 고려하면 금년부터 연간 4조원대 금융비용이 예상됩니다. 결론적으로 말씀드리면, 1. 발전원가의 고비용화(원전, 석탄비중 축소) 2.전기요금 인상의 제한 3.유가 등 에너지 원가상승 등으로 영업손익 악화 4. 부채 증가로 인한 금융비용의 증가 5. 신재생에너지 투자, 한전공대 설립비용 등 불요불급한 비용투자 로 적자가 누적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윤정부가 들어서도, 2번 전기요금 인상 외에는 뚜렷히 정책을 낼 것이 없습니다. 1번도 과거로 회귀할 수는 없고, 3번은 세계 에너지가격에 좌우되는 것이고. 4번 증가된 부채와 금리인상도 정부가 해결할 수 없고, 5번 이미 계획된 신재생에너지 투자안의 전면 재검토 및 한전공대 설립 재검토를 해야 할텐데 쉽지 않은 부분이죠. 아시겠지만, 신재생에너지발전업자로 선정된 분들은 최소 15년동안 정부보장의 안정적 수입을 얻을 수 있고, 한전공대를 유치한 지역과 입학한 학생은 취업의 혜택을 보겠죠. 이를 위해서 법제화시켜 놓았고, 새로 입법을 하지 않는 한 변경하기 어렵죠. 향후 일자리와 수입원을 알차게 확보한 민주당의 입법으로 당사자들은 좋을 수 있으나, 이를 감당해야 하는 한전의 비용은 앞으로도 계속 증가하게 되어 있고, 그 부담은 국민에게 돌아올 겁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