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선거 기간동안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5/05/23 09:39:02
Name 전기쥐
File #1 1.jpg (260.5 KB), Download : 0
Subject [일반] 여론조사로 가늠해볼 수 있는 김문수-이준석 단일화 효과


https://n.news.naver.com/mnews/ranking/article/654/0000122724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654/0000122723?sid=100

이재명, 김문수, 이준석 등 다자구도일 경우 이재명 46%, 김문수 34%, 이준석 11%로 나오는 반면,
이재명-김문수 양자대결의 경우 51%, 41%로 나오고,
이재명-이준석 양자대결의 경우 50%, 38%로 나옵니다.

강원도민일보 등 전국 29개 지역 대표신문이 소속된 대한민국지방신문협의회가 20-21일 이틀간 여론조사 기관 한국갤럽에 의뢰해 전국 거주 만 18세 이상 남녀 1007명 대상으로 전화면접 방식으로 차기 대통령 후보 지지도를 조사한 결과입니다. 표본오차 ±3.1%p·95% 신뢰수준입니다. 자세한 사항은 대한민국지방신문협의회(강원도민일보 등 29개 사) 홈페이지, 지면 및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여기에서 알 수 있는 점은, 김문수와 이준석이 단일화한다고 김문수+이준석 표가 되지 않고 이재명으로 상당수 표가 이탈한다는 점이네요. 50:50으로 나뉘는 건 아니고 그래도 김문수(혹은 이준석) 쪽으로 표가 더 가긴 합니다만.. 아무래도 이준석이 "제3지대"로서 누리는 플러스된 표가 있는데 이 표가 단일화한다고 그대로 따라간다는 보장이 없는 거죠.

이러한 경향은 여론조사 꽃에서도 나타나지만 귀찮아서 여기에 인용하지는 않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알바척결
+ 25/05/23 09:44
수정 아이콘
이 조사 전화면접이지만 RDD 입니다. 참고하십시요.
수메르인
+ 25/05/23 09:47
수정 아이콘
단일화가 전가의 보도가 아니라는 건 이전 선거들 거쳐오면서 충분히 증명이 된 부분이지요. 특히나 민주-진보 정당 지지자라면 너무나도 잘 알겁니다.
전기쥐
+ 25/05/23 09:49
수정 아이콘
단일화하는 두 후보의 지지층이 서로 동류라면 그대로 1+1=2이겠지만, 이준석이 지금 갖고 있는 지지율에는 "제3지대"로서 누리고 있는 구도의 힘에 따른 표가 있기 때문에 그들은 꼭 단일화 결과를 따라간다고 할 수 없죠.
카이바라 신
+ 25/05/23 09:49
수정 아이콘
이준석이 단일화로 뭘 원하냐인데 서울시장 후보를 원하는거 같다는 소리가 많네요.이게 당권보다 좋은가?
cruithne
+ 25/05/23 09:52
수정 아이콘
(당선된다면) 서울시장 자리는 친윤이 지들맘대로 못 짜르니까 더 낫지 않을까요
당권이야 이미 한번 털려봣는데 또 받으면 그건....
덴드로븀
+ 25/05/23 09:52
수정 아이콘
동탄 국회의원보단 할수있는게 훨씬 많긴 하죠. 정말 원하는게 맞는가가 문제겠지만요.
전기쥐
+ 25/05/23 09:52
수정 아이콘
그리고 그렇게 약속을 하더라도 국힘이 그 약속을 대선 이후에도 지킬지는 또 다른 문제라 그것도 고민되긴 할거에요.
+ 25/05/23 11:08
수정 아이콘
음 서울시장후보가 확정만 된다면 당권보단 좋을거같습니다 크크
당권은 또 윤리위 딸깍 할거같아서
전기쥐
+ 25/05/23 14:29
수정 아이콘
실패는 했지만 경선을 통과한 확정된 대선 후보도 교체하려고 했던 당이긴 합니다.
사조참치
+ 25/05/23 09:50
수정 아이콘
오늘 꽃 나왔던데 양자 하면 결국 김문수 후보로 몰리고 이준석 후보는 더 떨어지는건 비슷하더군요...
전기쥐
+ 25/05/23 09:52
수정 아이콘
네 여조 꽃도 비슷한 결과 나오더군요. 3자대결과 양자대결 결과를 비교해보면..
카레맛똥
+ 25/05/23 09:51
수정 아이콘
국힘도 정말 단일화로 이길수 있다고 생각하는건 아닐테고 선거 패배에 대한 책임 프레이밍 작업에 가깝다고 봅니다. 이준석이 단일화 안받아서 진거라는..
혹여나 이준석이 기어 들어오면 그거도 남는 장사구요. 어차피 또 팽하면 그만이니
전기쥐
+ 25/05/23 09:54
수정 아이콘
국힘 내부에서는 벌써 대선 이후를 생각하고 있다고 하죠. 책임 떠넘길 생각이나 하는..
카이바라 신
+ 25/05/23 09:54
수정 아이콘
서울의 소리에서 보도한거 보면..이준석이 단일화 할거 같다는 뉘앙스를 풍기긴 했습니다.근데 이리 밝혀졌는데 할수가 있나?
로즈엘
+ 25/05/23 10:29
수정 아이콘
저도 비슷한 생각입니다. 이준석과 단일화하려는 목적은 큰 거 같지 않아요. 그걸 실제로 원했더라면 지금처럼 언론플레이보단 안철수와 같이 행동하는 인원이 더 있어야되지 않나라고 봅니다.
호러아니
+ 25/05/23 09:52
수정 아이콘
오잉. 양자에서 이준석이 김문수보다 낮나요?
전기쥐
+ 25/05/23 09:54
수정 아이콘
여러 여론조사에서 그렇게 나오네요.
카레맛똥
+ 25/05/23 09:56
수정 아이콘
그럴수밖에 없는게 이준석 지지의 상당수는 중도+연성 민주나 연성 국힘 지지층 중에 기존 정당에 실망해서 떨어져나온 표들이라 김문수와 단일화 하면 지지철회하고 본진에 돌아갈 표가 상당할 겁니다.
도도갓
+ 25/05/23 10:04
수정 아이콘
거의 모든 여조에서 그렇게 나와요
+ 25/05/23 10:05
수정 아이콘
양자를 가정했을때의 표차이가 국힘도 싫고 민주당도 싫은 사람의 비율이라 보시면 될거같네요
사조참치
+ 25/05/23 10:10
수정 아이콘
여기서도 가끔 이야기 나오는 이준석 후보 비호감도 1위만 생각해봐도 알 수 있습니다.
보통 지지율 비례해서 같이 높아지는 게 비호감도인데, 이준석 후보의 비호감도는 조사만 했다 하면 70퍼센트는 넘는 경우가 많은 건 보수-진보 양측 모두 싫어한단 소리라;;
그래도 보수로 단일화할 경우는 '선택지가 없으니까' 찍어주지만, 아예 보수유권자 측에서 포기해 버리는 경우도 많죠...
덴드로븀
+ 25/05/23 10:15
수정 아이콘
아래 댓글도 달았지만 이준석 후보에 대한 지지는 2030에서만 높지 50대 이상으로 가면 처참하게 낮아집니다.
무조건 반이재명인 사람도 그래도 이준석은 좀... 할수밖에 없다는거죠.
빼사스
+ 25/05/23 09:56
수정 아이콘
오늘 꽃 4000명 면접 보니까 뭐 여론 바뀐 게 별로 없어 보이는데, 왜 언론에서 여론조사 바뀌었다고 난리인가 싶기도 하고.
전기쥐
+ 25/05/23 09:58
수정 아이콘
다자대결 2천 표본 + 양자대결 2천 표본이더군요. 말씀대로 여론상 유의미한 변화는 찾아볼 수 없었습니다.
하늘하늘
+ 25/05/23 10:15
수정 아이콘
보수 과표집이 심한 조사가 많아요.
여조하는데 여러 기술이 사용되는 것 같더라구요.
특히 여조 시간대 조절이 많이 쓰이는 기술이라고..
알바척결
+ 25/05/23 11:29
수정 아이콘
그만큼 지난번 대선에서 여론조사 가스라이팅의 효과는 대단했다는 반증 아닐까요...
안되는 집구석에서 할 수 있는거라고는 지난 번에 썼던 방법 중에 효과 좋았던 것을 반복하는 것일 뿐 일테니까요
도롱롱롱롱롱이
+ 25/05/23 10:04
수정 아이콘
어차피 단일화를 통해 대선을 노리는게 아닌지라..
단일화를 하던 안하던 패배고 그 이후를 노리는거 아니겠습니까.
전기쥐
+ 25/05/23 10:07
수정 아이콘
국힘, 이준석 모두 대선 이후를 보고 뛰고 있죠.
덴드로븀
+ 25/05/23 10:13
수정 아이콘
https://www.gallup.co.kr/gallupdb/reportContent.asp?seqNo=1559
[갤럽 데일리 오피니언 제623호(2025년 5월 4주)] 조사일 : 2025/05/22
[정당 지지도] 더불어민주당 42%, 국민의힘 36%, 개혁신당 6%... 무당(無黨)층 13%
[대선 후보 지지도] 이재명 45%, 김문수 36%, 이준석 10%, 유보 8%

[세대별 지지율, 이재명 / 김문수 / 이준석]
2O대 : 31% / 18% / 29%
3O대 : 47% / 23% / 17%
4O대 : 62% / 26% / 6%
5O대 : 59% / 31% / 6%
6O대 : 39% / 55% / 5%
7O대 : 26% / 63% / 2%

갤럽도 이준석 후보 10% 찍혔네요.

1주일전 수치
[대선 후보 지지도] 이재명 51%, 김문수 29%, 이준석 8%
전기쥐
+ 25/05/23 10:16
수정 아이콘
본문에 인용된 조사도 갤럽 조사이긴 합니다 다만 대한민국지방신문협의회 의뢰이고, 이 댓글에 인용된 조사는 갤럽 자체의 정기적인 매주 조사네요.
덴드로븀
+ 25/05/23 10:22
수정 아이콘
<지방신문협회>
20~21일 / 무선RDD면접
합계 42809
접촉률 (I+R)/(I+R+eU) 23.0%
응답률 (I/(I+R)) 15.8%

<갤럽 자체 조사>
20~22일 / 무선전화번호&휴대전화 가상번호 면접
합계 14513
접촉률 (I+R)/(I+R+eU) 40.4%
응답률 (I/(I+R)) 17.8%

방법이나 기간 등이 살짝 달라서 갤럽 자체 정기 조사만 꾸준히 따라가는게 편하긴 하죠.
전기쥐
+ 25/05/23 10:25
수정 아이콘
다만 이번 회차 갤럽 자체 조사는 양자대결 항목은 없어서 그게 아쉽긴 합니다 흐흐
도롱롱롱롱롱이
+ 25/05/23 10:19
수정 아이콘
이번 조사는 보수349 진보234 로 너무 표집차이가 커서 의미가 있나 모르겠어요. 의뢰 조사여서 급했던건지..
덴드로븀
+ 25/05/23 10:27
수정 아이콘
<갤럽 자체 조사 기준>
지난주 - 보수 300 / 중도 295 / 진보 295
이번주 - 보수 349 / 중도 327 / 진보 234

응답한 사람들의 성향이 좀 바뀌었다 정도로 해석해야지 과표집이라는 단어로 결과가 틀어졌다는 느낌을 가질 필요는 없죠.

의미없는 여론조사는 듣보잡 여론조사회사가 교묘한 문구로 ARS 돌리는거에 해당하는거구요.
도롱롱롱롱롱이
+ 25/05/23 10:37
수정 아이콘
그렇다면 일반적으로 응답자 성향이 어느 정도나 차이가 날 때 결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판단할 수 있을까요?
덴드로븀
+ 25/05/23 10:49
수정 아이콘
과표집이 얼마나 됐냐보단 그 상태가 얼마나 지속되는가를 봐야한다고 봅니다.

갤럽 조사에서 1주일만에 저정도로 바뀌었다면
그만큼 사회 분위기나 응답자들이 느끼는 위기감 같은게 바뀌었다는거지
여론조사업체가 마사지 들어갔다는식으로 판단하는건 안된다는겁니다.

<보수 과표집 해석>
보수 - 위기감을 느끼니 바쁜 시간 쪼개서 전화 잘받음
진보 - 위기감이 없음
도롱롱롱롱롱이
+ 25/05/23 10:56
수정 아이콘
여론조사 업체의 마사지를 말하고 싶은 것이 아니라, 표집 성향이 달라졌을 때 그것이 결과에 미치는 영향이 궁금한 거였습니다.

https://www.etoday.co.kr/news/view/2439523
처럼 특정 지지자들의 응답율이 높았을 때 결국 그 결과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이게 어느 정도 수준 차이부터 유의미하게 결과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 어느정도 선 까지는 기계적 보정으로 대응이 되는지가 궁금한 거였습니다
덴드로븀
+ 25/05/23 11:15
수정 아이콘
전문가가 아니라 그런것까진 모르겠습니다.

어차피 아무리 과표집이라고 해봐야 전체 조사인원의 3~10% 정도의 성향이 달라지는거고,
거기서 갑자기 특정 선택지에 대해 10% 이상 결과값 차이가 발생하진 않으니까요.
여론조사의 오차범위는 넓게 생각해야합니다. ±5% 정도로요.

또한 이런식으로 보수과표집이 됐다면 그만큼 진보쪽 선택지에 마음속 플러스 보정을 해주면 그만입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인구구조상 보수과표집이 훨씬 쉽게 이루어지기도 하구요.
도롱롱롱롱롱이
+ 25/05/23 11:17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드립니다!
사조참치
+ 25/05/23 11:06
수정 아이콘
(수정됨) 보수 300 -> 349, 진보 295 -> 234면 이번 조사를 과표집 아니라고 하기는 어렵다고 봅니다;
그리고 이건 딱히 갤럽을 비롯한 여조기관의 잘못이라기보다는 여조 자체의 자연스러운 특성 또는 어쩔 수 없는 한계라고 해야겠죠.
'과표집'이란 표현이 세력별 기싸움으로 번져서 오인될 수 있지만, 유권자 기본 성향이라면 모를까 특정 집단군이 더 많이 표집되어 있으면 안 쓸 수는 없다고 봐요.
덴드로븀
+ 25/05/23 11:17
수정 아이콘
과표집이라는 표현을 쓰는건 상관없는데

과표집이라서 의미가 있냐없냐는 식으로 확장해서 생각하는걸 경계하자는겁니다.
사조참치
+ 25/05/23 11:24
수정 아이콘
예, 그 취지는 동감합니다. 제가 첫 댓글의 맥락을 배제하고 댓을 달았네요.
전기쥐
+ 25/05/23 10:31
수정 아이콘
댓글의 조사는 의뢰 조사가 아니라 갤럽 자체 조사입니다. 본문의 조사가 대한민국지방신문협의회 의뢰한 갤럽 조사이고요.
내우편함안에
+ 25/05/23 10:14
수정 아이콘
확실히 면접표본에서 여조는 꽃이 넘사벽이라 꽃이외에는 신뢰도가
확 떨어져 버리는 군요
전기쥐
+ 25/05/23 10:16
수정 아이콘
하우스 이펙트라는 것이 있기 때문에 꽃이 표본수가 많아도 다른 여론조사도 봐야 합니다
내우편함안에
+ 25/05/23 10:22
수정 아이콘
보수349 중도327 진보234
저갤럽 표본조사 수치입니다
이러니 신뢰도가 바닥인겁니다
보수 이따위로 과표집시키고도 저수치인데 이걸 믿는다는
넌센스일뿐이예요
전기쥐
+ 25/05/23 10:23
수정 아이콘
그렇다고 갤럽이 항상 중립이라는 건 아니고 두루두루 보자는 거죠.
덴드로븀
+ 25/05/23 10:28
수정 아이콘
갤럽 자체 조사를 믿니안믿니하고 넌센스 취급하면 곤란합니다.
치킨너겟은사랑
+ 25/05/23 10:32
수정 아이콘
표집으로 장난치는건 1월에 많이 겪어봤자나요
치킨너겟은사랑
+ 25/05/23 10:30
수정 아이콘
원래 갤럽이 저런 표집으로 장난 많이 치죠. 깜빡이 들어가기전에 이런 조사 나올줄 알았는데 거침없네요 역시
+ 25/05/23 10:23
수정 아이콘
맞긴 한데 여론조사 꽃의 조사 방식에 좀 더 심혈을 기울여서 그런지 튀는 여론조사가 잘 안 나온다는 장점이 있어 보입니다.
그리고 선거 막바지로 갈수록 대부분의 조사가 여론조사 꽃의 수치로 수렴되는 경우가 많아서 그런 점에서는 훨씬 안정적인 조사결과를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긴 합니다.
도롱롱롱롱롱이
+ 25/05/23 10:26
수정 아이콘
저번 대선에서 모든 여조가 다 5% 이상 틀리지 않았나요?
출구조사 마져도 사전투표 율이 올라감에 따라 애매해져 버렸고요.
그냥 그때그때 마음이 편해지는 여조를 선택하는 걸로...
+ 25/05/23 10:31
수정 아이콘
그건 여론조사의 한계와 비슷한거라... 대부분의 여론조사가 5% 이상 틀렸다면 그정도는 못 잡아내는 한계라고 봐야하지 싶습니다.
물론 그런 한게로 인해 여론조사 꽃의 설립배경이 되었다고 봐도 무방한지라...
더군다나 1% 미만의 차이라 갈린 대선을 미리 맞춘다는 건 불가능에 가깝다고 보긴 합니다.
사실 여론조사 꽃은 그 이후에 설립된거라 이번에 얼마나 비슷하게 나올지는 가늠해봐야겠죠.
전기쥐
+ 25/05/23 10:27
수정 아이콘
같은 꽃 조사라도 언제는 면접으로 언제는 ARS로 조사해서.. 대충 제 머릿속에서 그 결과들을 평균 내서 생각하고 있긴 합니다.
치킨너겟은사랑
+ 25/05/23 10:37
수정 아이콘
하우스 이팩트라는것도 표집수를 늘려버리면 의미가 없어지죠
카레맛똥
+ 25/05/23 10:21
수정 아이콘
대신 꽃은 김어준 조사라는 바이어스도 감안하고 봐야합니다. 전 그냥 여조는 갤럽,리얼미터 말고는 추세 참고용으로만 생각해요.
빼사스
+ 25/05/23 10:23
수정 아이콘
갤럽, 리얼미터도 추세만 보는 게 좋을 거 같긴 합니다. 차라리 여론조사 M을 확인하는 편이 나을 거 같기도 하고요. 다만 대선 10일 정도 남은 상황에서 이 정도 격차를 뒤집는 건 역사상 전례가 없어서 과연 어찌될지...
카이바라 신
+ 25/05/23 10:25
수정 아이콘
뒤집으면 난리 나는거 아닌가요?
+ 25/05/23 10:25
수정 아이콘
바이어스가 없다고는 생각하진 않는데 결국 세부 내용을 봤을때 어떻게 조사했느냐를 봐서 신뢰도를 줘야 한다고 생각하긴 합니다.
+ 25/05/23 10:26
수정 아이콘
이준석 지지층에는 정도의 차이가 있겠지만

반윤, 반국힘 - 비민주, 비이재명
반민주, 반이재명 - 비윤, 비이재명

이게 혼잡되어 있다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는 단일화를 하게 된다면 이재명 후보의 당선확률이 변수가 없을 정도로 더 확실해질거라 보고요

오히려 국힘에게는 3자구도가 더 가능성 높을겁니다
적어도 민주당에게 갈 일부의 표라도 붙잡으니까요
전기쥐
+ 25/05/23 10:30
수정 아이콘
다자구도이든 양자구도이든 이준석 지지층에 내란 옹호한 정당은 안 된다는 표가 상당부분 있어서 당락에는 큰 영향이 없는 거 같아요.
+ 25/05/23 10:35
수정 아이콘
지금도 이재명 후보가 당선될 확률이 99.9%지만 단일화를 한다면 저는 100%라고 봅니다. 
국힘에 남은 0.1% 가능성도 소멸할거에요
melody1020
+ 25/05/23 10:33
수정 아이콘
누구로 단일화를 하든, 안 하든 이재명이 당선 되는 결과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겠죠.
근데 의외로 단일화 했을 때 이준석 예상 득표율이 엄청 높네요.
전 이재명 vs 이준석 하면 거의 8:2 정도 나올 거라고 봤는데 말이죠.
전기쥐
+ 25/05/23 10:35
수정 아이콘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96033

님의 생각과 같이 나온 양자대결 여론조사도 있긴 합니다 크크
도롱롱롱롱롱이
+ 25/05/23 10:41
수정 아이콘
지난 대선에서

갤럽은 6프로 오차
리서치뷰는 7프로 오차
리얼미터는 3프로 오차
https://www.ipsos.com/ko-kr/bodogisa-tto-hancham-bisnagan-yeolonjosabangsong-3sa-chulgujosaneun-jeonghwaghaessda

를 냈었는데요. 그때와 비교해서 이번 대선의 여론 조사는 기법 상 뭔가 더 발전한게 있을까요?
+ 25/05/23 10:56
수정 아이콘
기법 상 발전했다기 보다는 어떻게 보정을 할 것인가가 문제겠죠. 조사 시간대 조정이라던가 콜백 시스템의 적극적인 사용이라던가 이런거죠.
전기쥐
+ 25/05/23 11:02
수정 아이콘
음 그런데 태생적으로 여론조사의 지지율로 선거의 득표율을 그대로 적용하여 예측할 수는 없긴 합니다 연령, 지역 등등 계층별로 투표율이 다 다르니까요.
짭뇨띠
+ 25/05/23 11:05
수정 아이콘
안한다 못을 박아도
국회의원들 종편 김어준등은 제발좀 해라 빌드업 만들던데
그래서 더더욱 안하겠네요.
누구좋으라고? 인데가 명징하게 드러났으니
노무현 정신으로 완주한다고 합니다.

무슨 서울시장을 주네 총리를 주네 당권을 주네 같은 제안 관심도 없던데 제발 단일화 해줘 하는 꼴이 가멸차게 차서 헤어진 여친 돌아오라 징징 짜는 찌질한 사람 보는 듯해요.
사조참치
+ 25/05/23 11:29
수정 아이콘
솔직히 민주당 입장에선 대세는 큰 변화 없겠지만 단일화 안해주면 더 좋아에 가깝겠죠. 김어준의 속마음이 어떻든 민주당 지지하는 쪽으로는 좋은 전략이라 해야 할까요. 보수 인사들이야 정말 절실할 테고...
그리고 노무현 정신이라기보단 이인제 정신이라 해야겠지요.
짭뇨띠
+ 25/05/23 11:39
수정 아이콘
저렇게 꺼진 단일화 불을 지펴줄수록 이준석 지지율 오를리가 없어서 맞는전략이긴 합니다만
여러 국힘관계자들을 말중에 그나마 제일 낫다 싶었던건 장예찬의 "단일화 안하면 보수배신자로 만든다가 아니라 우리가 당신 정말 필요하니 와달라" 이것이였네요. 차라리 이게 주류 언론플레이가 되면 이준석이 매정한 놈이다는 흐름으로 될 텐데, 국힘이 감이 아예 없다 생각듭니다.
사조참치
+ 25/05/23 11:50
수정 아이콘
다시 생각해 보니 감없는게 아니라 영리한 겁니다.
선거에 올인했을 김문수 후보 말고는 이준석 후보가 단일화하든 하지 않든 꽃놀이패 가까워 보여요.
단일화하면 보수 지지율 더 오르니까 좋고, 안하면 책임론으로 국힘 바깥의 보수세력 지워버리니까 좋고..
짭뇨띠
+ 25/05/23 11:57
수정 아이콘
네 그렇긴하죠 공통적으로 느껴지는건
국힘은 정말 선거 이길생각이 없구나 같습니다.
+ 25/05/23 11:35
수정 아이콘
이인제정신 아닌가요 크크
짭뇨띠
+ 25/05/23 11:41
수정 아이콘
-3선 때부터 어제 기자회견에서 재 언급할 때까지 이준석 본인이 쭉 밀고있는 코드입니다.
알바척결
+ 25/05/23 12:01
수정 아이콘
지들이 온갖 모욕을 주면서 죽여놓고, 그 이후로도 틈만 나면 별 추잡한 방법으로 고인을 능욕까지 하면서
노무현 정신???
진짜 역겹네...
아이군
+ 25/05/23 12:23
수정 아이콘
김문수 이준석이 단일화 하면 최대 수혜자가 황교안이 되는 마법도 있더군요... 이건 좀 재미있었습니다.
+ 25/05/23 13:3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이준석과 국힘의 단일화는 절대 없을거구요

하지만 국힘은 성사 여부와 관계 없이 계속 단일화로 이준석을 감으려고 할겁니다.
그래야 프레임안에 가둬놓고 이준석 득표율을 낮출수 있으니까요
그래서 국힘은 정말 더러운 놈들입니다.

만약 이준석의 입에서 단일화에 '단'자라도 나오면 이준석의 코어 지지기반과 정치생명은 박살날거고
이재명 대통령 확정입니다. 이재명도 이준석 병먹금 시전 못하고 드디어 단일화무새 시작했죠
지구 최후의 밤
+ 25/05/23 13:52
수정 아이콘
저도 예전에는 거의 비슷하게 동의했는데 요새 드는 생각은 단일화를 하더라도 이준석의 코어는 생각보다 많이 남아있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정치생명은 결국 코어따라 가는 거니 이어질수도 있구요.
이재명이 단일화에 대해서 이야기한 건 선제적인 포석이라고 생각해요.
단일화하는 경우 결국 미리 이야기해놓은대로 흘러갔음을 부각시켜 이탈표를 최대한 만들고, 단일화하지 않는 경우 보수표가 갈라졌으니 자신의 우위는 더욱 확실해지니까요.
카이바라 신
+ 25/05/23 14:26
수정 아이콘
근데 명태균과 통화가.....왜 이 민감한 시기에 명태균이랑 통화를 해서...
+ 25/05/23 14:31
수정 아이콘
오는 전화라 받은 거죠. 그게 뭐가 문젤까요.
이재명한테 오는전화 받으면 전과4범한테 오는 전화 왜받았냐고 비판할건가요
그것 가지고도 하두 난리 떨어더니 어제 부턴 아예 본인 전화기 수신 차단해 버렸다네요.
카이바라 신
+ 25/05/23 14:34
수정 아이콘
오는 전화가 아닙니다 가는 전화에요.서울의 소리 그 기자가 말한거 들어보면 이준석이 먼저 전화했고 1분아니라 2분이상.
+ 25/05/23 14:37
수정 아이콘
잘 알아보세요. 어디 찌라시 카더라 보고 읊지 마시고
이준석 본인이 전화온거 한번 받았답니다.
카이바라 신
+ 25/05/23 14:50
수정 아이콘
서울의 소리 유투브 보고 이야기 한거랍니다.아 참고로 sbs 정치쇼,한판승부,mbc 뉴스하이킥 봅니다 어제도 한판승부 보다가 서울의소리 이준석 관련한거 뜨길래 보니 녹취록도 있는듯한 이야기도 하고 제3의 정보자가 있는것처럼 이야기 하더군요,
Pelicans
+ 25/05/23 17:49
수정 아이콘
상식적으로 생각해봐도 '명태균'의 전화를 받으면 안돼죠 당연히 문제입니다.
여러차례 의혹이 제기된 입장이라면 오해를 피하기 위해서도 받으면 안되구요 아직까지 차단을 안했다는게 더 놀랍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213046
공지 [일반] [공지]2025년 대선을 앞두고 선거게시판을 오픈합니다. [4] jjohny=쿠마 25/04/04 2919
공지 [일반] 선게에 단축키가 부여되었습니다. ( 8 키) [9] jjohny=쿠마 22/01/11 37678
6794 [일반] 오늘 발표한 이준석 개헌안 생각 [184] 다크서클팬더7750 25/05/23 7750
6793 [일반] 민주주의의 관용과 상대주의 [19] 남편2272 25/05/23 2272
6792 [일반] 지귀연 "후배들 밥 사주고 주점 들러 찍은 사진... 술은 안 마셔" [79] a-ha6339 25/05/23 6339
6791 [일반] [한국갤럽] 이재명 45%, 김문수 36%, 이준석 10%, 유보 8% [57] 철판닭갈비4476 25/05/23 4476
6790 [일반] 여론조사로 가늠해볼 수 있는 김문수-이준석 단일화 효과 [85] 전기쥐3827 25/05/23 3827
6789 [일반] 김문수 지지자들 앞에서 이재명 지지선언을 한 손학규(?) [27] SaiNT4903 25/05/22 4903
6787 [일반] 정치 브로커 명태균과 어제(21일) 통화한 이준석 [133] Rio10946 25/05/22 10946
6786 [일반] [속보] 이준석 “단일화 없다... 끝까지 내 이름으로 승리할 것” [55] 사이프리드6153 25/05/22 6153
6782 [일반] 이번 대선 이재명 득표율 예상해봅니다. [44] 홍철4096 25/05/22 4096
6781 [일반] 이준석 "국회 해산권 긍정적으로 생각" [252] 전기쥐12557 25/05/22 12557
6780 [일반] 보수유권자로서 이재명 후보에게 바라는 거 딱 하나. [77] 국힙원탑뉴진스3952 25/05/22 3952
6779 [일반] [NBS] 이재명 46%, 김문수 32%, 이준석 10% [90] 철판닭갈비5969 25/05/22 5969
6778 [일반] 이재명 주춤, 김문수/이준석 상승세. [18] 아서스3353 25/05/22 3353
6777 [일반] 이재명 후보는 지난 대선에서 얻은 득표율 이상을 얻을수 있을까요? [96] 김은동3195 25/05/22 3195
6776 [일반] 이준석측 "친윤, 당권 준다며 단일화 제안" [106] 철판닭갈비6382 25/05/22 6382
6775 [일반] 현재 국민의힘 분위기 [74] a-ha8995 25/05/21 8995
6774 [일반] 유권자보고 수준 이하라는 선대위원장 [99] 체크카드8382 25/05/21 8382
6773 [일반] 호텔경제학은 달라졌으나, 언론은 달라지지 않았다 [125] meson4856 25/05/21 4856
6772 [일반] 이준석 후보"대구에서 최저임금을 안주는 건 특별히 업주의 도덕적 잘못이 아니다" [229] 크레토스10575 25/05/21 10575
6771 [일반] 호텔경제학은 8년 동안 무엇이 달라졌는가? [138] 하나5374 25/05/21 537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