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5/24 15:21
일단...부럽네요 ㅠㅠ 그리고 잘 몰르때 최고는 복리 예금입니다...그리고 주식은 저돈의 1%로 일단 시작하시길..굳이 말씀드리면 아예 시작을 안하셨으면 좋겠네요.
12/05/24 15:39
"묶어놓는건 돈을 불리는게 아니라 까먹는다는 느낌이 강해서"
Welcome! 주식을 하게 되시면 까먹는 재미를 10배는 더 느끼실 겁니다 근데 5천만원씩 저축은행에 분산적금 하신건가요? 근데 요즘 저축은행들이 믿음이 도통 가질 않고 이율도 예전처럼 확 차이가 있는 것도 아니여서 이건 비추입니다 진짜 10% 안정적으로 나오는 상품 없나요? 이런 거 있으면 일 안하고 살 수 있을텐데
12/05/24 17:01
장기투자로서 최고의 재테크 상품은 국민연금입니다.....
중간에 돈을 빼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예금으로서의 이율과 정부보증능력을 고려하면 최강의 상품입니다. 요즘은 왠만한 예금상품의 금리가 물가상승률보다 낮아서 실질적인 저축효과가 마이너스입니다. 하지만 현금으로 들고 있는것보다는 예금이 낫죠. 예금만으로 불만이시라면 요새 유행하는 물가연동채권도 고려해볼만합니다. 며칠전에 물가연동채권에 대한 원금초과수익에 대해서 과세를 하네마네 하는 얘기가 있었는데 과세를 함에도 불과하고 물가상승률과 연동한 수익률을 보장해주기 때문에 적어도 마이너스 금리 효과는 없습니다. 주식은 비추하며 이유를 대라면 100가지도 댈 수 있습니다. 정말 주식을 해야겠다면 삼성그룹주 ETF를 권해드립니다. 최고의 재테크는 돈을 잃지 않고 매월 들어오는 잉여금(월급이든 사업이익이든)을 따박따박 적립하는 것입니다. 물가상승률보다 높은 수익률을 얻는것이 힘드시겠지만 그에 약간 못미치는 수익률만 얻으셔도 성공적인 재테크라는걸 잊지 마세요.
12/05/24 17:02
나이도 젊으신데 큰 돈이군요.
재태크는 빨리 할 수록 좋습니다. 저같으면 90% 이상 주식에 넣겠습니다만... 님에게 권하는 것은 좀 더 안전빵인 20% 채권펀드,75% 주식펀드, 5% 예금을 추천합니다. 너무너무 불안해서 정말정말 안전빵으로 하고 싶다면 30% 채권펀드, 60%주식펀드, 10%예금 추천합니다.
12/05/24 17:41
제생각엔 수령받으신 보험금같은데... 그냥 지금처럼 은행을 계속 이용하세요... 그정도 금액이면 은행pb한테 상담도 충분히 받으실수 있습니다.
젊은나이에 목돈 특히나 억단위가지고있으면 객기를 부릴 가능성도 있고 경험이 부족해서 손실을 볼 가능성이 높습니다. 추천은 은행에서 PB한테 충분히 상담받고 정보취득, 메이저증권사 pb센터에서 cfa한테 충분히 상담받고 정보취득을 하시고 각 금융사들이 제공한 추천상품을 간추려서 검색을 통해 알아보시고 위험요인들을 충분히 인지하시는게 먼저일것 같습니다. 저한테 이런분 상담받으러 오시면 리스크에대해서 먼저 이야기드립니다.
12/05/24 19:58
현직 FC로서 본문을 보자면, 참 많은 도움을 드리고 싶다는 생각이 듭니다.
아직 젊으시고 수입은 없으신 상태에 목돈을 가지고 계시지만, 금융 지식이 전무하시다고 보여서 안타깝습니다. 우선 최소한 1년은 안정적인 정기 예금에 맡겨두시는 것이 좋을 듯 싶습니다. 그리고, 1년간 금융 지식을 충분히 얻으셔야 할 것 같습니다. 최소한의 지식을 갖추지 않으시면, 아무리 좋은 정보를 가진 이가 옆에서 조언을 해도 받아들이기가 쉽지 않습니다. 반대로, 사기꾼들에게 사기를 당하기는 쉽습니다. 보험 설계사, 은행 직원, 증권사 직원, 부동산 중개업자 등 대부분은 사기꾼이라고 여기시는 편이 낫습니다. (보험 설계사.가 이런 말씀을 드리는 이유는 모두가 그렇지도 않지만, 극소수에만 해당되는 내용도 아니기 때문입니다.) 본문에 충실한 답변 조금 더 첨언하자면. 증권 거래의 경우에는 HTS로 집에서 직접 하시는 것이 수수료도 저렴하고 편리하지만, 충분한 지식없이 직접 투자를 권장하지는 않습니다. 세상에는 좋은 금융 상품이 너무도 많습니다. 주식, 펀드, 채권, ELS, 예금, 저축보험, 연금 등은 모두 좋은 금융 상품입니다. 부동산 투자나 임대 사업도 좋은 방법입니다. 다만, 개인의 선호도와 재무 목표에 적합하느냐가 중요한 것입니다. 온라인 상에서 아무리 무엇이 더 좋다는 사람이 대다수가 되더라도, 본인에게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부디 너무 늦지 않게 좋은 투자처를 찾으시길 진심으로 바랍니다. ps. 지금은 거치식으로 펀드에 들어가시거나, 주식에 자금 대부분을 투자하기에 좋은 시기는 확실히 아닙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