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5/19 00:15
질문에 대한 명확한 답은 아닙니다만, 저는 안구건조증 및 각막 상처가 심한 편이라 왠만하면 안경을 착용합니다.
그러나 특별한 상황에서는 렌즈를 착용하는데 16년이 넘어가니 하드건 소프트건 눈이 피로하긴 매 한가지인지라, 원데이 제품을 씁니다. 하루 쓰시고 버리면 되구요, 얇고 산소투과율이 좋아 확실히 눈에 부담이 덜합니다. 가까운 안과에서 시력 및 눈건강에 대한 검사를 받아보세요. 그리고 렌즈를 선택하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12/05/19 00:22
저보다 잘 아시는 분도 계시겠지만, 제가 아는 한에서 말씀드리겠습니다. (틀린 정보가 있으면 다른 분이 고쳐주세요.)
하드렌즈는 소위 RGP 렌즈(산소투과성 렌즈)라고 불리는 것입니다. 사이즈가 소프트렌즈보다 작고, 재질이 조금 다릅니다. 그리고 렌즈와 눈알 사이에 산소가 투과되기 때문에 눈이 상대적으로 덜 피로하다고 합니다. 사용해 본 결과 산소가 투과되는지는 모르겠으나, 눈의 건조함은 확실히 덜합니다. 반면 두께가 조금 두껍습니다. 그래서 적응을 하는데 시간이 짧게는 몇 시간에서 길게는 몇 주일이 걸리는 분들도 계십니다. 그리고 초기 투자비용이 조금 비쌉니다. 제가 사용하는 건 한쪽에 20만원씩 해서 40만원 짜리입니다.(렌즈 세척하다가 하수구에라도 빠뜨리면 정말.....ㅠㅠ) 하지만 시력이 바뀌지 않고 잃어버리지 않는다는 가정 하에 제가 다니는 안과 의사 선생님 말씀으로는 3년 가량 사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제 여자친구는 하드렌즈로 바꾸고 난 후 소프트렌즈에 비해 정말 훨씬 좋다고 합니다. (전 안구 건조가 있어서 하드를 쓰더라도 아주 편하다. 뭐 이런 느낌은 아닙니다만.) 또 한 가지 큰 단점은, 눈에 뭐가 들어갔을 때 소프트렌즈에 비해서 훨씬. 정말 눈이 빠지는 것처럼 아플 때가 있습니다. 하드렌즈는 소프트렌즈처럼 눈의 모양에 맞게 변형이 되지 않습니다. 꼭 안과에 가셔서 의사선생님과 상의하시고, 눈 굴곡률 맞춰서 구입하시는 걸 권해드립니다.
12/05/19 01:30
소프트렌즈는 눈의 넓은 부위를 덮지만 하드렌즈는 더 좁은 부위를 덮습니다. 그래서 눈을 상하좌우로 돌릴때 불편할수도 있어요.
그리고 소프트렌즈는 각막에 손상을 줄 확률이 하드렌즈보다 훨씬 높기 때문에 가능하면 하드렌즈를 사용하는게 좋다고 합니다.
12/05/19 09:06
세 분 모두 답변 감사드립니다~
지금 외국에 있어서 잘 설명할 수 있을 지는 모르겠지만.. 일단 안과에 가봐야하겠네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