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4/29 23:21
50이 넘은 부부사이에 권태기로 불화가 오는경우는 사실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그리고 권태기로는 불화가 잘 생기지도 않습니다. 권태기라는게 상대에 대한 불만이나 이런 감정보다는 날좀 내버려 두었슴 혼자 가만히 있게 해주었슴 하는 기분이 강해 일종의 무관심 비슷한 것이고 이게 기복도 심해 들었다 금방 없어졌다 합니다. 수십년을 함께하며 자식이 다 장성한 부부간의 불화는 사실 그동안 부부간에 쌓였던 앙금이 드러난 경우거나 금전적인 문제 그리고 아주 드물지만 배우자의 외도 정도입니다. 이중 가장 큰것은 자식과 체면 주변의 시선으로 참아왔던 불만의 앙금이 그동안 이를 눌러왔던 의무감에서 해방된후 표출되는 겁니다. 이게 특히 자식에 대한 의무감 부모로서의 책임감이나 자식에 대한 애정이 별로 없는 사람 특히 여자같은 경우는 자식이 크건 말건 아예 생길때부터 드러내는 경향이 있고 남자는 조금은 참는 편인데 문제는 이런경우는 거의 부부관계가 다시 회복되기 어렵습니다. 부부관계의 악화는 나이가 들면 들수록 풀어지기 어렵습니다. 30대 40대초 정도의 부부가 서로 화해하고 다시 관계를 회복하는 경우는 봤지만 40중반만 넘어도 회복하는 부부를 솔직히 본적이 없습니다. 왜냐하면 이정도 되면 더이상 자식얼굴 생각지 않습니다. 아주 나이가 들어 60이상 70가까이 되면 오히려 포기하는 분은 봤는데 40대 50대에 악화된 부부사이는 왜그런지 실재 잘 회복이 안되더군요 다만 이혼까지는 안가고 서로간에 가정이라는 한계선은 지키는 쪽으로 절충하는경우도 있더군요 20대 중후반에 부모와 오랫동안 떨어져 살았다면 자신이 가족해체라는 극단적 상황까지는 가지 않도록 노력해야 되는데 이것도 케바케입니다. 부모가 자식의 의견에 귀기울여주는 타입이면 괜찮은데 자식의 말따위는 아예 가치조차 주지 않는 부모가 의외로 좀 있습니다. 매정한 말이지만 Ibiza님의 부모가 후자타입이라면 먼저 부모의 일로 자신의 가슴에 상처가 생기지 않는길로 나갈것을 권합니다. 우리 가족문화에서 너무도 소외시되고 이상하게 관심도 안가지는 일로 취급되는데 가족해체로 해서 가장 심각한 상처와 타격을 받는것은 이혼당사자가 아니라 그 자식입니다. 가족해체시 자식은 부모로 부터도 버림받은 걸로 취급하는 우리문화때문 아닌가하는데 부모가 없는 아이는 동정이라도 받지만 부모가 버린 아이는 동정도 못받는 다는 이치로 해서 장성했건 아니건 자식은 심한 상처와 후유증을 겪습니다. 이걸 최소화 하고 피해갈수 있는것은 본인의 선택입니다. 이 선택으로 인한 결과에 대해 그냥 하나 더 적자면 가족해체를 막으려고 노력하면 노력할수록 오히려 상처도 후유증도 크다근 겁니다. 괜히 패륜아,문제아가 나오는게 아닙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