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3/28 22:13
미국 근로자들의 '일부'가 피해를 '입을 수도 있다'.
라고 수정해야 할 듯 합니다. 왜냐하면 노동시장은 실제로 상당히 분화되어있습니다. 미국에서 군인, 경찰등의 공무원과 고소득 직군 ( 교수, 연구원, 변호사, 의사 ) 등은 거의 영향을 안 받지 않을까요? 야구와 미식축구와 같은 스포츠 계열도 크게 다르지 않을겁니다.
12/03/28 22:16
다른 직종에서 일하는 근로자는 중국의 주력상품으로 인해 소비상품의 가격이 하락하니 오히려 살림살이가 나아지겠지요.
하지만 비슷한 동종업계에서 일하는 근로자들은 타격을 받을거라고 봅니다. 생산성이 아무리 뛰어나도 두배이상 차이날까 싶기도 하고 완전히 동질적인 상품은 사실상 존재하지 않으므로 차별화된 상품도 한계가 있을것입니다. 10배의 임금차이라면 동종업계가 박살나기 딱 좋은 차이라고 봅니다. 특히나 제품의 세세한 질에 민감하지 않은 상품일수록 심하겠지요. 대신 다른 업계종사자들은 값싼 노동력으로 생산한 상품을 구입할수 있으니 살림살이좀 나아지겠지요.
12/03/28 22:20
당연히 그렇죠. 다만 설정하는 모델에서 예를 들어 핵셔올린모형의 경우 무역상대국의 생산함수를 동일하다고 가정하는데 그럴 경우 해당되는 말일 뿐입니다. 경제학적으로 노동자들이 받는 임금은 한계생산성만큼인데 임금이 큰다는건 주어진 상황에서 노동의 한계생산성이 .아마 차이가 난다는 말이죠. 아마 설정 모델로 인해 나온 말이거나 지엽적인 사실만을 이야기하는 거겠죠. 경제학이 세상과 전혀 동떨어진 이야기를 학문은 아니니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