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12/03/28 15:10:31
Name 샨티
Subject 영어를 초등학교 입학 전부터 아이들한테 가르칠 이유가 있나요?
요즘 젊은 엄마들 보면 아이들의 영어교육에 정말 많은 투자를 합니다.
유치원 들어가기 전부터 영어를 가르치는 게 다반사더라고요.

요즘 아이들에게 비하면 저는 영어를 정말 늦게 시작한 편입니다.
초등학교 5학년까지는 알파벳밖에 몰랐으니까요.
아버님 일 때문에 6학년 때 외국에 나가서 국제학교에 다녔습니다. 10학년 까지요.

부끄럽지만 제 발음은 영어권 사람들이 들었을 때 자신들과 차이가 없다고 말합니다.
다 미국 교포인 줄 알아요. 보통 처음 만났을 때 어느 나라가 아니라 미국 어느 주에서 왔느냐고들 물어보니까요.
토익은 파트가 몇 개 있는지도 모르는 상태에서 봐서 990점 받았고 토스도 어느 날 신청하고 봤더니 8 나오더군요.

회화할 때 제가 말하고 싶은 걸 나타내는 데는 아무 문제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표현을 모르면 돌려서 말하거나 풀어 말하면 되니까요.
개인적으로 어휘력은 약하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이런 개인적인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저는 우리나라에서 영어를 직업으로 삼을 게 아니라면 이 정도로도 넘치게 충분하다고 생각하거든요.

질문의 요지는 그냥 의사소통을 위한 영어를 위해서라면 초등학교 6학년 이전에만 시작해도 충분하다고 생각하는데요
영어를 초등학교 들어가기 전에 가르치려는 이유는 뭐죠?
두 개의 언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의미에서의 bilingual이라는 게 가능한가요?
어차피 bilingual이라는 게 불가능하다면 모국어가 자리 잡은 후에 영어를 배우는 게 낫지 않나요?

------- 추가

아...제 질문은 영어를 늦게 배워도 충분한데 왜 일찍 배워야 하나요가 아니라
너무 일찍 배우면 한국어와 영어가 헷갈리지 않을까요 라는 질문이었습니다.
미취학 아동에게 사과와 apple을 동시에 알려주면 한국어가 자리 잡히는데도 방해가 되지는 않을까 생각되서요.
저도 늦게 영어를 시작했지만 영어를 할 때 한국어를 통하고 그러지는 않거든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브라이언용
12/03/28 15:14
수정 아이콘
작성자분은 외국에서 몇년 살다 오셨자나요....
보통 그런 상황이 몇이나 되겠습니까.
언어라는게 어릴수록 받아들이는게 틀립니다. 그냥 자연스럽게 엄마, 아빠 하듯이 습득을 해버립니다.
물론 교육방식에 따라 틀리지요. 그걸 공부로 인식되는 순간! 영어와 담 쌓게 될수도 있지요....
12/03/28 15:20
수정 아이콘
어릴때 배워서 좋은 공부의 대표가 언어니까요..

다른건 나이 어릴때 10, 나이 먹어서도 10으로 할수 있다면
언어는 어릴땐 10인데.. 나이가 들면 100으로 해야 됩니다.

근데 그 100으로 해도.. 어릴때 10보다 좋다는 보장은 없어요..


외국에서 5년이나 살다오신 작성자분이.. 국내에 늘 지내는 사람하고 비교할 수 있는건 아닌거 같네요....
12/03/28 15:33
수정 아이콘
혹시 결혼해서 아이를 키우시는 분인지 모르겠습니다만 이런 논리로 애 엄마들을 설득할 수 있을거라 생각하신다면 오산입니다.
제 생각은 언어는 타고난 능력에 따라 크게 좌지우지 된다고 봅니다. 샨티님은 어학능력이 뛰어난 경우일거고 늦게 시작한 만큼 배경지식이 많은 상태에서 언어를 시작했기 때문에 습득 속도 역시 빨랐을 겁니다. 현재 영어를 구사하실 때 빠르게 한국어를 번역해서 영어로 대화하시는지 바로 영어로 생각하시는지는 모르겠으나 대체로 조기 교육한 애들은 영어 자체로 구사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샨티님 아버지나 어머니는 어떠신가요? 외국생활하시면서 영어가 많이 발전하시던가요.

세 아이를 키우는데(고등학생부터 초등학생) 셋 다 조기교육시켰으나 결과물은 천차만별입니다. 한국에서 지낸시간이 거의 없는 큰 애는 중학교 때 이미 토플/텝스만점 수준이었으나, 막네는 회화의 경우 또레 원어민 수준으로 구사하지만 해리포터 정도의 소설도 버거워합니다.

저의 경우도 외국에서 태어나 한국에 처음 들어왔을 때 한국어를 영어로 생각한 이후 말해야되는 상황이라 답답했는데 몇년 지나니 한국어가 술술 나오더군요. 지금은 영어를 말할때 오히려 한국어를 영어로 번역하여 말합니다. 개인적으로 bilingual은 특별한 재능이 있지 않고는 어렵지 않나 생각합니다.

한가지 더, 80년대초에 중학교를 다녔는데 그 당시는 알파벳을 중학교때 배웠습니다. 제 주변에서 외국생활하거나 영문과 출신이 아닌이상 영어회화 제대로 하는 친구는 거의 없습니다. 발음 역시 표준 콩글리시구요. 중학교 때 This is mrs.Baker 이런 문장 아래에 "디씨즈 미씨즈 베이커"라고 마킹해 놓은 애들이 거의 대부분이었으니까요... 어학은 확실히 조기교육의 메리트가 있어 보입니다.

무엇보다도 보편적인 엄마들의 생각은 이유 그딴거 필요없습니다. 옆에서 하면 다 해야 되는거죠. 옆집애가 영어로 샬라샬라 하는데 우리애가 한마디도 못한다고 생각하면 엄마들은 잠 못 이룹니다.
12/03/28 15:48
수정 아이콘
한국에서 평생 살더라도 영어 잘하면 굉장히 좋다고 생각합니다. 접근할 수 있는 정보에서도 굉장히 많은 차이가 있고, 외국인과 자유롭게 의사소통 가능하다는 건 직업 수준이나 생활에도 큰 변화를 줄 수 있어요. 그리고 대한민국에서 초등학교 6학년에 영어 시작해서는 '유창한' 수준을 가지기가 굉장히 힘든게 사실입니다. 5년 살으셨으면 당연히 잘 하실 수 있는거지만, 한국에 살면서 하루에 영어 몇 마디나 쓸까요? 한국 땅 10년 20년 살면 한국어는 배우지 말라고 해도 무조건 늘게 되어 있습니다.
12/03/28 15:49
수정 아이콘
영어능력이 어느 정도까지 필요한가에 따라 답이 달라지겠습니다만은 원어민 수준의 영어 구사 능력을 갖출려면 당연히 조기 교육이 수십배 유리합니다. 이건 과학으로도 입증된 걸로 아는데요. 뇌에서 언어 능력을 담당하는 부분의 성장은 만 5세 정도 수준에서 멈춘다고 하더군요. 그래서 어렸을 때 하면 할 수록 더 유리하다네요.

더욱이 모국어가 이미 확고하게 자리잡은 상황이면 영어를 한국어로 번역해서 이해하고 표현해야 하게 되죠. 물론 다년간의 생활과 학습을 통해서 극복할 수 있는 문제이지만 그렇다고 그게 더 효율적인 것은 아니니까요. 물론 어설픈 bilingual보다 모국어라도 확실한 게 단순히 의사소통을 넘어서 사고 능력과 고등 학문을 이해에 있어서는 더 좋다고는 생각합니다.

추가 질문에 대해서는 당연히 헷갈리겠죠. 보통의 사람은 하나의 언어체계를 이용하는데 두가지 언어 체계를 사용하는 거니까요.
12/03/28 16:05
수정 아이콘
뭐 저라도 중간에 한 5-6년 정도 외국 나가서 영어만 쓰게 할 수 있으면 애들 조기교육이고 뭐고 신경 안 쓰긴 할 거 같네요.
그렇게 못할 걸 뻔히 아니까 이른 시절부터 시키는거죠.
그렇게 해도 24시간 영어만 쓸 수 있는 환경 속에서 사는 사람보다 영어를 접하는 절대량은 터무니없이 떨어집니다.

집중이나 이런 거 다 제껴놓더라도 단순히 절대량으로만 생각해보세요. 극성부려서 하루 한 두시간씩 영어를 접하게
한다고쳐도, 접하는 시간부터가 외국 거주하는 사람과 이미 10배 이상 차이납니다. 이게 10일 100일 단위로 쌓이면 그 차이는 엄청난거죠.
윤선사랑
12/03/28 17:43
수정 아이콘
늦게 시작해도 외국에서 살다 오셨잖아요.

국내에서는 6학년 이전에 시작해서는 글쓰신 분처럼 되기는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비교가 한참 잘 못됐네요.
김판타
12/03/28 22:09
수정 아이콘
결정적 시기 가설이라는...말이 있긴 있습니다.
가설이긴 하지만 참고해보실만 하실 것 같습니다.
또 어릴 때 배우는 가장 큰 이유로는 정의적 여과 장치라고 하는 필터링 장치가 있는데요.
쉽게 말해 정서적으로 부끄러움이나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어릴수록 적기 때문입니다.

가설이다 보니 예외가 존재하지만, 어릴 때 외국어 학습이 더 잘되는 이유로 L2 acquisition에서 많이 나오는 이야기입니다.
도라귀염
12/03/29 10:20
수정 아이콘
어렸을때 배우는 영어는 개개인의 학습능력에 덜 좌우되지만 나이 들어서 배우는 영어는 개개인의 학습능력에 많이 좌우된다고 생각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0605 다이어트 중 - 건강보조제 추천 부탁 [1] 허저비2774 12/03/28 2774
130604 [lol]탑에서 밀린 상황에 상대방이 라인관리를 잘하고 있다면? [17] 주전자2299 12/03/28 2299
130603 10년 후에 무슨일을 하고있을것 같아요? [3] 사케행열차6275 12/03/28 6275
130602 스쿠터 등록 관련 질문입니다 [1] 12김현수0.3622734 12/03/28 2734
130601 [lol] 모르가나로 봇 혼자 버티기 힘들까요? [14] 아크2409 12/03/28 2409
130599 NBA 최고의 센터는 누굴까요? [22] 웃으며안녕3271 12/03/28 3271
130598 사랑니 발치 후 질문입니다. [10] 카네다 갱신했다1849 12/03/28 1849
130597 현재 lol 포지션별 탑플레이어는 누구누구인가요? (+경기추천) [8] 韓信2550 12/03/28 2550
130595 강남 술집 추천 부탁드립니다 [1] 一切唯心造1536 12/03/28 1536
130594 원하지 않는 프로그램을 깔면 어디서 지워야하나요? [2] 무제1587 12/03/28 1587
130593 차량용 블랙박스로 차에 해코지하는 걸 확인할 수 있나요?? [1] 블랙라벨1663 12/03/28 1663
130592 운동으로 잠을 줄일수 있을까요? [7] 1761 12/03/28 1761
130591 1달여 뒤 결혼을 하는데... 축가가 문제입니다. [9] 내 안의 폐허2131 12/03/28 2131
130588 폰트 질문입니다. DeathMage1644 12/03/28 1644
130587 영어 기초 질문입니당... [4] 유안1243 12/03/28 1243
130586 SLR 클럽 점수는 어떻게 해야 오르나요? [4] DEICIDE4026 12/03/28 4026
130585 영어를 초등학교 입학 전부터 아이들한테 가르칠 이유가 있나요? [11] 샨티1574 12/03/28 1574
130584 소머리국밥 자주먹으면 안좋을까요? [2] 오프라인표시2135 12/03/28 2135
130582 컴맹이 게시판 활용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캐리어가모함한다1321 12/03/28 1321
130580 스타1 1:1맵 추천부탁드립니다. [6] 라니안1823 12/03/28 1823
130579 스타1 베넷에서.. 자리 있나고 질문 하는 사람.. 무슨 심리인가요? [7] 안녕하세요2079 12/03/28 2079
130578 [lol] 탑솔.정글 챔피언 추천? [14] 힘띠2576 12/03/28 2576
130577 에그를 사려고 합니다 [5] 올래1567 12/03/28 156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