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3/06 22:21
정역학은 혼자 할 수 있습니다.
결론은 sigma F=0 이것만 알고 가시면 됩니다. 그런데 정역학보다는 재료역학, 동역학, 열역학이 훨씬 어렵답니다.
12/03/06 22:24
다시 공부하시는 방법 밖에 없는 것 같아요. 기계공학과는 5대역학을 다 배우는게 다른 과목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니까요..
사실 정역학은 일반물리내용이랑 겹치는게 많아서 그래도 할만한데.. 열역학 유체역학 가면 레알 토나옵니다. 그 대신 포기하는 사람이 많아서 성적은 좀 잘나오긴 하더라구요.
12/03/06 22:32
정역학은 그냥 ∑F=0, ∑M=0 이정도 계산하실 정도만 하실 줄 알면 4대역학 듣는데 큰 지장은 없을 겁니다.
근데 동, 고체(재료), 열, 유체역학의 압박은 장난 없습니다. 동역학 : 처음에 그냥 고등학교 수준 물리하니까 아... 쉽네~ 이러다가 어느순간 좌표계가 바뀌고 왓더헬 고체역학 : 처음엔 오 이런게 응력이구만 하다가 복합응력 개념부터 왓더헬 열역학 : 컨트롤 볼륨? 어? 뭐지? 어? 왓더헬 유체역학 : WTF
12/03/06 23:08
질문 내용과 관계 없는것 같지만.. 전공 공부 진짜 열심히 하세요.
저도 기계과 나오고 열역학 배우고 힘들어서 전공 최소한으로 듣고 교양으로 학점 따고 그랬는데, 졸업하고 올해 취직하고나니 열역학 유체역학 막 필요해요... 물론 전공 안쓰는 부서 가면 되지만, 부서 배치 받는게 마음대로 되는게 아니라서요. 저도 제가 지원한 부서 못가고 지금 부서 갔더니 정말 죽겠네요... 기계과 나와서 전공 기초도 모른다고 그러기 쪽팔리고.. 이번주말에도 학교 도서관 가서 다시 공부하려구요 ㅠㅠ
12/03/07 02:11
저는 정역학과 동역학은 독학해도 큰 무리가 없다고 봅니다.
고등학교 물리2의 연장&심화 같은 개념이었고, 수2+대학미적분학 수준의 수학으로도 이해할수 있었으니까요. 그런데 열역학과 유체역학은 역학을 대하는 태도가 이전과목들과 완전히 다르게 느껴졌었습니다. 수학도 공학수학을 제대로 배워야하고요. 유체역학같은 경우는 유체역학을 듣고, 공기역학, 압축성유체역학, 점성유체역학을 듣고 나니 겨우 맨처음 배운 유체역학에 대한 감이 살포시 오더군요. 암튼 기본서 하나 붙잡고 파고들면 정역학 가능합니다. 전역후 복학빨로 베이스에서 에이스가 되는 사람들을 심심찮게봤습니다. 건투를 빕니다.
12/03/07 09:47
저희 학교 같은 경우에는 아예 정역학 과목이 없습니다. 고체역학 할 때 한 시간 정도 배우고는 지나가는 식이에요.
그정도로 어렵지는 않은 과목이라는 말이죠. 열+유체와 고체+동 중 어느 게 더 쉬울지는 연아님 성향에 달려 있습니다. 저는 열유체 쪽이라 동역학이 그리 어렵더라고요. 뭐 나중 가니 유체역학에서 동역학을 쓰는 게 나오기도 하고 그렇지만... 근데 2학년때 배우는 역학이 그렇게 어렵지만은 않습니다. 동역학과 열역학은 이미 고등학교와 1학년때 배운 내용이 좀 있고, 고체/유체는 뭐....아 어렵군요.죄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