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3/01 17:08
주변에 보면 맞벌이해도 돈이 안모이더군요..
육아가 가장 결정적이며, 전세대출이라도 받았다면 이자도 만만치않죠.. 유흥을 그리 안즐기신다면 혼자사는게 돈은 젤 잘 모입니다.... 다들 이렇게 노총각이..
12/03/01 17:10
맞벌이 아내가 자녀 보육료(교육료 아니고요)보다 더 벌 수 있다면 이득, 아니면 손해죠...
근데 대부분 아내의 임금이 고스란히 보육료로 들어간다고 합니다... 현재 대한민국은 국가가 자녀 보육을 적극적으로 지원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죠...
12/03/01 17:19
보통월급보다 많이벌어야죠/ 헌데 걍 수도권벗어난다고 생각해보면..집값부담이 많이줄어들기는 합니다.
제가 숨만쉬고 살면 10년정도모으면 서울에서 원룸정도는 구입할수있겟더군요-_-..
12/03/01 17:53
필요한 돈을 계산해 보면 간단하게 결론이 나옵니다.
[수입] 남편의 노동 기간 중 평생 평균 예상 연수입 * 예상 노동 년수 [지출] ( 부부 하루 식대 * 365일 + 부부 한 달 교통비 * 12개월 + 부부 한 달 전기, 상하수도, 가스, 관리비 * 12개월 + 부부 한 달 통신비 * 12개월 + 부부 한 달 문화생활비 * 12개월 + 부부 한 달 의복비 * 12개월 ) * 예상 수명 년수 그런 다음 수입 - 지출을 하면 얼마가 필요한지 감이 오죠. 물론 부부 한 달 노후 자금 저축분, 부부 한 달 의료 자금 저축분, 자녀 식비, 자녀 교통비, 자녀 통신비, 자녀 문화 생활비, 자녀 의복비, 자녀 교육비, 자녀 의료비, 자녀 결혼 자금은 제외한 겁니다. 또... 집은 있다고 가정했습니다. 이것까지 계산하면 거의 정확한 정보가 나옵니다. 물론 물가 상승분을 제외했으니 각 지출 항목을 좀 넉넉하게 잡아두는 것이 좋겠죠. 아니면 물가 상승분을 곱해서 엑셀로 작업하든지요. 실제로 계산해 보면 굉장한 돈이 필요합니다. 남자가 혼자 벌어서는 답이 안 나오더군요. 제가 내린 결론은 '경제적 문제가 심하니 자녀 출산을 하지 않는 동거가 답이다'였습니다. 아니면 결혼은 하되 애는 안 낳고 둘이 맞벌이를 하면서 문화 생활 즐기며 알콩달콩 사는 게 낫죠.
12/03/02 00:39
서울,수도권 포기하면...지방 신축 아파트 가격보다가 서울가서 그 가격에 맞는 아파트보니 서울선 답이 안나오더군요. 고딩때 서울 토박이 선생님 구미로 전근오셨는데 다시는 안간다고,집에서 굴러다닐수가 있다고 할때 오바하네 싶었는데 진짜 좀 크니 공감이 되더군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