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3/01 14:35
1. 부모님이 브랜드 PC 사고 싶어함
2. 본인이 컴퓨터에 문외한 결국 AS 잘되는 삼성 가야죠 모르는거 있음 맨날 전화해서 물어봐도 다 갈켜주고 비싼거 빼고는 다좋음.. 비싸서 그렇죠 머;;
12/03/01 14:40
그럼 삼성꺼 사야죠. 가격은 총알 맞춰서 사시면 됩니다.
조립컴퓨터에 비해서 대략 1.5배 정도 비쌀겁니다. 브랜드PC라고 고장 잘 안나는건 아닐겁니다. 그냥 AS가 편하죠. 컴퓨터 안되니까 니들이 고쳐봐라 하고 던져놓고 오면 그만이니. 관리를 어떻게 하냐 + 부품로또죠. 컴퓨터 잘 모르는 분들한테 이거 설명하는게 굉장히 곤욕이긴 합니다만.
12/03/01 15:13
조립 pc를 싸게 구입한 게 문제입니다.
조립 pc를 좋은 부품을 써서 구성했어야죠. 브랜드 컴과 조립 컴의 비교 1. 초기 구입비 같은 부품을 쓴다고 가정했을 때 브랜드 PC가 조립 PC보다 1.5~2배 가량 비쌉니다. 2. 1년 무상 AS 브랜드 PC나 조립 PC나 모두 1년 무상 AS가 됩니다. 조립 PC가 무상 AS가 안 된다고 해도 초기 구입비가 싸기 때문에 동네 컴 업체에서 유상 수리를 받아도 총 비용은 훨씬 쌉니다. 3. 1년 무상 AS의 질적 차이 브랜드 PC의 경우 자체 AS에서 외주 AS로 변경되었다고 합니다(눈으로 직접 확인한 건 아니나 그렇다고 들었습니다). 근데 문제는 외주 AS로 바뀐 다음부터는 바가지가 극성이라고 하네요. 실제로 제가 아는 부동산이 램 교체와 포맷 비용으로 20만 원을 낸 사례도 있고 제가 거래하는 업체에 삼성에서 AS를 왔는데 AS 기간이 반나절에서 하루 정도 소요되고 비용은 20만 원이라고 했는데 찜찜해서 동네 업체에 의뢰를 했더니 10분만에 수리가 끝났고 3만 원 받았죠. 이 두 사례는 제가 직접 겪은 것이니 확실합니다. 3. 1년이 경과한 후의 AS 브랜드 PC가 조립 PC보다 2배 가량 AS 비용이 더 높습니다. 왜냐하면 브랜드 PC의 경우는 널리 사용하는 부품을 쓰는 것이 아니고 브랜드 가격까지 포함되어 있어서 그렇습니다. 실제로 메인보드 고장의 경우 삼성, TG의 경우 18만 원에서 20만 원 정도이지만 조립 PC의 경우 10만 원 내외입니다. 이것 역시 제가 직접 체험한 사례입니다. 4. 제품의 내구성 같은 부품을 사용하면 브랜드 PC나 조립 PC나 수명은 동일합니다. 다만 조립 PC의 경우 '싸게' 장만하려 할 경우나 조립할 때 '싸게 해주세요'라는 말 때문에 저가의 부품을 사용하기 때문에 수명이 더 짧게 되는 경우죠. 따라서 내구성을 높게 하려면 좋은 부품을 쓰면 됩니다. 특히 파워, 메인보드, 그래픽 카드 세 가지를 좋은 것으로 쓰는 것이 중요하죠. 그냥 돈을 아끼지 않고 좋은 부품을 쓰면 동일 사양의 브랜드 PC보다 훨씬 내구성이 좋습니다. 5. OS 재구매의 문제점 브랜드 PC의 경우 OS를 하드드라이브에 탑재해서 나옵니다. OS CD나 DVD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요. 따라서 컴이 고장나서 다른 브랜드 PC로 교체해도 OS를 재구매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어느 바보가 OS를 한 번 샀는데 다른 PC를 구매한다고 다시 OS를 사겠습니까만 브랜드 PC를 구입할 때는 OS를 포함한 가격을 지불해야 합니다. 낭비가 심하죠. 조립 PC는 WINDOWS XP를 한 번 구입하면 다른 PC를 구입해도 거기에 그걸 다시 설치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심지어 PC를 갖다 버려도 XP CD는 남습니다. WINDOWS 7의 경우에도 그렇고요. 막말로 조립 PC의 경우는 불법으로 OS를 설치할 수도 있죠. 6. OS 복구(포맷) 문제 브랜드 PC의 경우 복구 CD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문제는 이 복구 CD를 잃어버리는 게 문제죠. 아니면 드라이브가 고장나서 CD를 쓸 수 없는 경우가 생기기도 하고요. 그러니 차라리 HDD에 이 기능을 넣는 것이 낫습니다. 조립 PC를 살 때도 이 기능을 넣을 수 있죠. 아니면 브랜드 PC처럼 복구 CD를 만들거나요. 그것도 아니면 그냥 윈도 상태에서 더블클릭만 하면 10분 내로 복구가 되게 하는 프로그램을 설치해도 됩니다. 7. 메이커 PC에는 어떤 부품을 쓰나 예를 들어 삼성 컴퓨터 내부를 보면 삼성 부품은 거의 없습니다. 램 정도가 삼성 것이고 나머지는 모두 다른 회사 제품이죠. CPU, 메인보드, 파워, ODD, HDD, 그래픽카드 중 삼성 것을 쓰는 걸 못 봤네요. OEM으로 삼성 마크 찍은 HDD, ODD를 쓰긴 할테지만 순수하게 삼성 부품은 램 뿐입니다. 이걸 삼성에서 만든 PC라고 할 수는 없다고 봅니다. 그냥 삼성에서 조립한 PC라고 봐야죠. 즉, 삼성 PC 역시 조립 PC일 뿐입니다. 결론적으로 볼 때 모든 면에서 조립 PC가 브랜드 PC보다 낫습니다. 그래도 브랜드 PC를 쓰시겠다면 그냥 삼성 것을 쓰면 됩니다. AS는 편리한 편이니까요. 하지만 여타 브랜드 PC보다 훨씬 가격 거품이 심하죠. 차라리 TGIC나 이안컴퓨터, 늑대와 여우 같은 준메이커 조립 PC를 사서 AS를 받는 게 낫다고 봅니다. 근데 생각해 보니 늑대와 여우는 하지 마세요. 거기서 할 거면 차라리 삼성 것으로 하시는 게 낫습니다. 너무 비쌉니다. 만일 좋은 조립 컴퓨터를 원하신다면 제가 만들어 드리겠습니다. 쪽지 주세요. 하지만 수고비는 주셔야 합니다. ^^
12/03/01 20:10
대학에서 컴터 as를 하며 삼성 델 삼보 엘지 등의 브랜드피씨를 만져봤는데 최근 새피씨를 구입할때 엘지제품으로 구입했습니다. 삼성이나 엘지나 as는 다들 친절하고 좋더라고요. 그런데 가격이나 제품마감상태등이 엘지가 조금 더 낫습니다. 어차피 삼성이나 엘지나 oem으로 넘어가서 상표만 브랜드달고 나오는것뿐 조립피씨에 비해 나은점이 하나도 없습니다만 삼성피씨고장이 너무 많았어서 삼성만은 말리고 싶네요. [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