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2/18 18:25
마라도나를 넘었다고는 평가를 못 받을꺼 같네요.월드컵 2회 우승하고 바르셀로나가 강력함을 좀더 오래 유지하고 그 중심에 메시가 있다면 또 모르겠지만요..
크루이프는 좀 특별한 경우이긴 하지만 그래도 월드컵 우승하면 넘었다고 말은 할수 있을꺼 같고.. 호나우두는 월드컵 우승하면 넘었다고 말할수 있을꺼 같습니다. 한국에서는 워낙 호돈신 인기가 좋아서 그런말이 잘 안 나오는데 유럽쪽에서는 호돈신이 높은 평가를 못 받는 영향 때문인지 이미 좀더 높은평가를 받는걸로 압니다.
12/02/18 18:33
월드컵낀해에 발롱도르받았다는 것만으로 설명이 될법한데
굳이 월드컵 우승 타이틀 유무로 따진다면 월드컵우승따내면 펠레 마라도나 메시 이 셋 선으로 정리될듯합니다
12/02/18 18:47
펠레, 마라도나는 축구에서 전설 그 이상의 존재들이라...
메시가 커리어에 월드컵 우승을 1회 포함시켜봐야 그 분들과의 격차를 크게 줄이긴 힘들고 그냥 어느 정도 비슷하게 봐 줄 수 있을것 같아요. 만약 월드컵 2번 정도 우승하고 지금과 같은 포스를 5년 이상 더 내뿜는다면 이야기가 달라지겠지만요~ (의도치 않았는데 무슨 본좌론 검증 비슷하게 되어버렸네요.....;;)
12/02/18 18:52
솔직히 여기서 마라도나 전성기에 경기본 사람 얼마나 있을까요?
우리가 모르는 과거는 좀 높게 평가되더라구요 월드컵에서 우승하면 마라도나 동급이상 평가받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이미 메시는 역대축구선수중에 손가락에 꼽히지만요
12/02/18 18:58
펠마의 활동시기도 꽤 커서 동일선상으로 비교 하기 힘들텐데 메시도 그렇지 않을까요?
임요환과 이영호, 아니 최연성과 이영호도 시대가 너무 달랐는데 말이죠
12/02/18 19:02
과거 미화되는 게 좀 있긴 있다고 생각합니다. 월드컵 우승이 당연히 쉬운 일이 아니지만은 현대 전술과 과거 전술의 차이도
굉장히 크다고 생각하고 영양 상태로 인한 체격도 요즘 선수들이 훨씬 더 좋습니다. 그리고 예전에는 월드컵에서 우승후보로 꼽히는 나라는 커녕 그들과 경쟁이 되는 팀도 정말 얼마 없었습니다. 요즘 정도면 많이 예측불허죠. 클럽팀의 위상이 예전보다 더 올라간 것도 크고요. 이렇게 해도 마라도나 펠레가 넘버원인 건 변하지 않지만 시대가 다르긴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12/02/18 19:11
마라도나와 메시를 개인기량을 놓고 비교하면 메시가 더 나으면 나았지 꿇릴게 없다고 봐요.
마라도나 활동 시기와 비교해서 20년 이상 차이나는데, 그 당시보다 선수기량이며 전술, 기술, 훈련방식이 비교도 안될만큼 좋아졌거든요. 그래서 '개인능력치' 마라도나<메시, '당시 선수들 사이에서 얼마나 먼치킨이었냐' 마라도나>메시 라 봅니다.
12/02/18 19:25
그시대는 이미 정리가 되었는데 지금시대를 적용시키면.. 판단하기가 어렵죠.
킹덤 진육장 조삼대천 시절이 그상태로 끝나서 비교할수 없게 된거처럼요..
12/02/18 19:27
1. 월드컵을 든다.
2. 다른클럽으로 이적하여 우승 몇번 한다. (맨유, AC밀란등 우승 자주하는 팀 제외) 이 정도 하면 확실하게 마라도나 이상이라고 생각합니다. 2번은 할만할 것 같은데 1번이 문제일것 같네요.
12/02/18 20:15
스텟 바르샤 퍼포먼스론 올타임넘버원이라 불려도 무방하다 봅니다
다만 월드컵 우승을 못하는이상 월드컵 검증설이 죽을때까지 따라다니겠죠 근데 메시는 월드컵우승 못할것 같아요 개인적으론
12/02/18 20:17
저도 최소동급이라 봅니다.
마라도나 리그 약했던 팀빨은 메시가 스탯으로 퉁칠수 있을 듯하구요. 뭐 이런 활약을 서른까지하면 월컵없이도 넘어설거라 보구요.
12/02/18 20:18
월드컵 한번 들면 마라도나와 동급
월드컵 2번 들면 펠레와 동급입니다. 크루이프야 준우승만 해도 동급이구요 호나우두는 이미 메시가 뛰어 넘었거나 이미 동급이라고 생각합니다. 꾸준함은 메시>호나우두, 국대 커리어는 호나우두>메시, 클럽 커리어는 메시>호나우두인데 총체적으로 보면 메시가 조금 더 나아보입니다. 메시가 은퇴하고 나서 총 클럽 커리어가 챔스5회 우승에 월드컵 무관이라면 아무리 잘 쳐줘봐야 디스테파뇨급밖에 안될겁니다. 거의 대부분의 축구인사들이 펠레, 마라도나를 최고의 선수로 여기지 디스테파뇨를 펠레나 마라도나를 제치고 최고였다고 말하는 경우는 전자에 비해서는 드물죠. 결국 디스테파뇨가 펠레나 마라도나보다 낫다는 인상을 전세계 축구팬에게 남기지 못했듯이 메시도 월드컵 우승 못하면 그렇게 될겁니다. 더이상의 말은 필요하지 않은 것 같네요.
12/02/18 20:38
이런떡밥이 재밋긴한데.. 뭐본좌론같은느낌이라서 사람마다 느끼는것도 다를거구요
이미 시대가 지난 사람을 비교한다는게 어려운일이죠. 개인적인 생각으론 킹덤에서 왕기인지.. 염파인지... 가물가물하네요.. 아무튼 거기서 말하듯이 여태껏 그누구도 하지못한 천하통일을하면 두말할것 없이 최고 최강이 된다고하죠 앞선선수들이 이루지 못한 것을 해낸다면 저절로 다들 인정하지않을까요? 뭐 월드컵 3회우승쯤한다면 끝이죠.. 무조건 본좌입니다크크 농담입니다.. 크크 지금까지처럼만 계속 해나간다면 사람들이 저절로 인정하게돼겠죠.. 말그대로본좌라인에 충분히낀다고생각해요.. 게다가 팀빨이라고도하는데 팀이 메시빨은받기도하죠..크크
12/02/18 20:49
사실 '후대에 어떻게 평가 받을 것이다!''라고 예측하기는 쉽지 않지요. 그야말로 우리 후손들이 평가해줄 것이고, 그들이 어떤 기준을 놓고 평가를 할지 미지수이기 때문입니다.
월드컵 우승을 하지 못하면 누구누구 급이다! 말하는 것도 쉽지는 않습니다. 왜냐하면 이전시대보다 클럽 축구의 위상은 높아졌음은 물론 예전엔 구하기 힘든 영상기록들도 고스란히 남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메시가 월드컵 때문에 후대에 어떤 고평가, 저평가를 받을지는 모르겠습니다. 예측불가능한 것을 따지는 것도 무의미하단 생각이 들고요. 매주 바르사의 경기를 챙겨보려 노력하는 편인데, 제 짧은 식견으로 확실하게 말할 수 있는 점은 메시와 근래의 본좌라 불리는 호나우도와 지단을 비교하면 메시의 굴욕이라 느껴질 정도로 그의 현재 기량은 절대적이라는 것입니다. [m]
12/02/18 20:55
펠레는 경기를 못봐서 언급하는건 무리수고, 마라도나 경기는 풀로 자주 봤는데요,
경기 내에서 보여주는 퍼포먼스만으로 보면 사실 메시>마라도나입니다. 스페셜 동영상에서 나오는 퍼포먼스를 마라도나는 경기당 2~3번 정도 보여줬다면 메시는 훨씬 자주, 안정적으로 보여줍니다. 그렇지만, 경기 내에서 보여주는 오프더볼 무빙, 더티한 동작들, 경기를 지배하는 모습 등을 보면 마라도나>메시입니다. 마라도나는 다이빙도 자주 하고, 몰래 반칙도 하고, 그러니까 솔직히 말하면 상당히 더티한 플레이어죠. 흐.. 경기하는거 보면 승리를 위해서라면 영혼이라도 팔 기세로 경기합니다. 그러면서 불리한 흐름을 조금씩 유리하게 끌어옵니다. 피치 위의 21명을 모두 자기 뜻대로 움직이려고 하는 흑마법사같다고나 할까요. -_-; 그에 비하면 메시는 성능좋은 장기판의 장기말 같습니다. 스피드 좋고 탱킹도 되고 크리 끝내주며 광역마법으로 잡몹학살능력 쩌는 먼치킨 캐릭터 말입니다. 정말 잘합니다. 경기를 지배하며, 모든 플레이가 유기적으로 경기에 녹아들어가 결국 골을 만들어내고 승리를 이끌어내죠. 취향차이일 수도 있고, 과거미화일 수도 있겠습니다. 저는 미세하게 마라도나가 메시보다 더 낫다고 생각해요. 물론 최고는 호돈신! 으히히..
12/02/18 20:55
저 개인적으로는 아직 지단에도 미치지 못한다고 보기 때문에..
팀의 전력이 실제적으로 어떻던 간에 지단은 자기 혼자서 저물어가는 해였던 프랑스를 준우승까지 캐리했거든요. 단순 개인기를 놓고 본다면 메시가 더 나을지도 모르지만 경기 전체를 지배하는데 있어서는 아직 지단에 비할바가 아니라고 봅니다. 적어도 다른 전설적인 선수들과 같은 급에 있기 위해서는 세계 축구 트렌드를 바꿔버릴 정도의 창의성이나 혼자서 경기를 지배할 수 있을 정도로 압도적인 존재감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아직 메시는 그정도는 아니라고 봐요.
12/02/19 00:35
벌써 호나우도를 능가했다고 하기엔 이르다고 생각합니다.
일단 월드컵을 들고와야죠 클럽커리어만으로는 역대급선수라고 논할수 없습니다. 현역으로 커리어 갑이라고 할수 있는 긱스,스콜스,라울 등은 역대급선수라고 보질 않죠. 하지만 메시는 역대급선수로 갈 확률은 매우 높다고 봅니다.(월드컵을 먹는다는 전제하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