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10/26 15:32
의학이 발달하니 당연히 좋은 약들은 나옵니다
다만 암이라는 병이 외부 전염으로 걸리는 병이 아니라 내 몸 속 내부의 문제라서 백신같은 간단한 해결책이 나올수가 없습니다 전반적인 생활습관을 좋은 생활습관을 가지도록 노력해야할테고 포괄적으로 건강유지하기 좋은 환경에서 산다면 암에 걸릴 확률을 줄일수는 있을겁니다
22/10/26 15:34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jekimpro&logNo=222905563998&proxyReferer=
매우 비싸긴 하지만 이런것도 나왔습니다
22/10/26 17:40
SF 영화에서나 볼 법한 치료법 같은데, 수 천만원이면 암보험금으로 커버가 될 정도니 생각보다 싸네요.^^
정말 미래가 다가오고 있는듯...
22/10/26 15:43
암 치료법은 발전하고 있는게 맞고
암으로 죽는게 많을수밖에 없는게 '다른 병으로 안죽게 전부 살려버리니' 결국 암으로 죽게 되는거라서...
22/10/26 15:45
기술도 발전했지만 그것과 더불어 암치료 경험이 쌓이면서, 점점 선생님들의 숙련도와 관리기법도 발전하는 것 같다는 생각은 했습니다.
저희 아버지도 식도암 4기셨는데 감사하게도 별탈없이 5년차 바라보고 계십니다. 기법 자체는 특별한것이 없었거든요.(항암제 + 방사선). 다만 진단 받기전과 그 후의 식습관/운동습관은 많이 바뀌긴 했습니다. 목구멍은 여전히 좁아져있어서 식사때 좀 불편해 하십니다.(스텐트 시술x)
22/10/26 15:49
문제는 암보다 코로나가 더 무섭다라는 말이 있는 것처럼 암 정복이 되는 미래에 또 다른 신종 바이러스가 우리를 괴롭히지 모르죠.
22/10/26 15:51
여러 약이 나오고 있지만 가야할 길이 아주 멀죠. 위치에 따른 암도 중요한데, 암종도 그 안에서 수십가지로 갈라지더라구요.
표적항암제를 쓰기 위해서는 먼저 그 암종의 표적이 일치해야하는데 여기에 해당되지 않는 환자들도 많습니다. 또 약이 잘 맞았다 하더라도 보통 1년이면 내성이 생기는데, 암이 어떤 방향으로 돌연변이가 생겼냐에 따라서 내성이 생겼을 때 약을 사용할 수 있는 분들과 아닌 분들이 나뉘어 집니다. 면역항암제가 이런 암종과 상관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나온 것인데, 잘 듣는 사람들에게는 효과가 매우 좋지만 보통 10명 중 8명에게는 맞지 않고요.
22/10/26 16:17
[암 치료법은 정말 발달하고 있는게 맞을까요?]
정말 엄청나게 발달하고 있습니다. 과거 백금기반 항암제만 있을 때와는 비교가 안 될 만큼 전혀 다르다고 보시면 되고 저 질문에 대해서는 이론의 여지가 전혀 없는데... 다만 암이라는 게 우리는 그 증상에 대해서는 00암이라고 퉁치지만 그 원인에 대해서는 수천수백수만 혹은 그 이상일 수가 있기 때문에, 치료법이 개발되고 널리 퍼진 대중적인(?) 암에 대한 치료법과 같은 기관에서 발생한 암이어도 그 원인 자체가 다른 희귀암에 대한 치료법이 완전히 다릅니다. 예를 들어 같은 폐암이어도 비소세포폐암에 대해서는 정말 다양한 표적치료제가 있고 키트루다, 옵디보 같은 면역치료제도 있고 언제나 최후의 보루인 백금기반 요법도 쓸 수 있는데, 소세포폐암에 대해서는 저 옵션 중에서 표적치료제는 전부 날아갑니다. 못 써요. 그래서 환자에게 주어진 치료옵션이 환자마다 많이 다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치료옵션이 적은 환자들은 암 치료법이 정말 발달하고 있는지에 대해 의구심을 가질 수는 있겠지요... 그렇게 신약이 많이 나왔다면서 나는 쓸 약이 없다고? 뭐 이런... 그리고 애초에 너무 늦게 발견하여 전이가 심하게 된 상태라면 역시 방법이 없다고 느낄 것이고, 또한 아직까지 암에 대해 가장 취약한 부분인 뇌, 척수 등 신경계에 전이된 상태라면 역시 치료가 좀 힘들기는 할 겁니다. 대신 사망률이 엄청 높은 췌장암이라 하더라도 1~2기에 발견만 한다면 수술 후 보조항암 등을 통해서 거의 완전관해에 가깝게 생존하실 수 있겠지요. 또한 킴리아 같은 게임체인저도 있고 신약 연구는 엄청 활발하게 잘 이루어지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하여튼 결론은 암 치료법은 일반인들은 평소에 느끼지 못하겠지만 정말 엄청나게 발달하고 있고, 우리는 주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조기에 발견만 하면 됩니다. 규칙적인 생활, 주기적인 건강검진 말고는 할 수 있는 것도 없지만요. 우리 모두 스트레스 안 받고 행복하게 건강히 잘 살아 봅시다...
22/10/26 17:45
췌장암이 조기에 발견하기 정말 어렵다고 하던데, 검진기술은 발달하고 있을까요?
매년 꽤 비싼 건강검진을 받고 있지만 그게 걱정되네요.
22/10/26 21:45
암은 조기 진단이 제일 중요한데 조기 진단 기술이 조금씩이지만 발전하고 있습니다. 위에 나온 췌장암 같은 경우가 발견이 힘든데 이런 경우 바이오마커라고 해서 암 발생시 배출되는 특정 단백질 검출과 같은 기법도 연구하고 있습니다.
22/10/26 21:47
일단 중입자 가속기를 조만간 세브란스와 서울대에서 도입 예정인데 그동안 좀 치료가 어려웠던 암들에 대해 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는 옵션이 될 수 있다고 알고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