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10/26 14:52
누구라고는 말 못하지만, 어떤 대학교 경제대학원 교수님은 미국은 앞으로 10년은 투자하지 말고 한국에 투자하라고 하는데.. 이게 무슨 말도 안되는 소리인가 했었습니다. 근데 우선 전 그냥 일개 투자자에 불과하니까 반론할만한 근거도 몰라서.. 여쭙게 되었어요 ㅠㅠ 감사합니다!
22/10/26 14:55
아마 삼전 등 국내 주식에 한참 물렸거나 정부쪽 관련 일을 하다보니 그런식으로 말하는게 아닌가 싶...네요.
10년후에 우리나라 인구가 어떻게 되더라...
22/10/27 14:07
2000년대 IT버블 후 미장이 10년간 횡보한 시기가 있긴 합니다.
그 당시 우리나라는 중국꿀 빨면서 올라갔죠. 그런데, 미장은 그렇다하더라도 우리가 꿀빨데가 사라져서 미장이 횡보할수록 더 힘들겁니다.
22/10/26 14:53
현재 1순위 문제는 인플레이션을 잡는겁니다. 그래서 금리인상을 하고 있어요. 인플레이션을 잡으려면 실업률이 올라가야합니다. 경기둔화나 침체가 어느정도 필요합니다. 하지만 지금 실업률이 견고해서 인플레이션을 못잡고 있습니다. 그래서 금리인상을 더 하려고 있어요. 금리가 올라가면 증시는 하락하게 됩니다.
22/10/26 14:58
그리고 금리가 상승하면서 강달러 현상이 생겨서 각 나라의 환율이 박살 났습니다. 결국 달러를 팔아서 환율을 방어해야하는데, 달러를 팔기위해 미국채를 팔기 시작합니다. 연준도 미국채를 팔고, 전 세계가 미국채를 팔아서 미국채 금리가 또 상승을 합니다. 채권가격이 하락하면서 채권시장에 패닉이 오고 있습니다. 채권과 주식이 동시에 하락하는 기현상이 발생중이죠. 채권시장의 안정을 위해 금리인상을 덜 할수도 있다는 여론이 형성되었는데, 그럼 또 인플레이션이 문제에요. 그래서 어디 하나가 터지지 않을까 하는 우려속에 다들 조심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22/10/26 18:43
실업률이낮고, 노동시장이 탄탄한거라면.. 중장기적으로 봤을때
건전한 국가에 내 자산이 들어가있기 때문에 오히려 더 안심해야하는거 아닐까? 맞죠 [금리만 안올린다면요] 지금은 DJ파월이 금리올릴 구실만 찾고있으니 기존에 긍정적인 시그널도 다 부정적인 해석으로 바뀐것일뿐..
22/10/26 18:56
지금 미국투자하기엔 환율이 문제죠
평소보다 원 기준으로 30%이상 비싸게 사는꼴이니.. 몇년후 환율이 1100원대로 돌아오게되면 손해가 막심해질수 있어요
22/10/27 13:39
글로벌 경기 호황이 오거나 적어도 지금보다 나빠지지 않으면
지금과는 반대로 달러가 약해지고 미국자산 수익율은 상대적으로 떨어질겁니다. 2020년 하반기가 그랬고 2000년~2008년이 그랬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