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7/16 16:34
역대 / 사상이 모두 역사에서 비롯된 단어이므로, 역사상 최고는 아니지만 등재될만한 수준이라는 의미의 신조어로 받아들이면 됩니다.
다만 역대 최고 같은 형태로 활용되던 단어가 역대급 최고 같이 잘못 쓰이는 경우가 많아서 문제가 되는거였죠. 역대급 최고 같이 잘못 쓰이는게 아니면 아무 문제 없습니다. 모든 신조어가 국어 파괴는 아닌것처럼, 역대급 같은 단어는 충분히 용납될 수 있다고 보네요.
22/07/16 17:03
윗분 말씀대로 네이버 사전에서 검색해보셨다는 거 출처가 '우리말샘'으로 적혀있는 거 말씀하시는 거라면, 그거 그냥 사용자들이 맘대로 입력하는 겁니다.
아무 근거도 안되고 권위도 없습니다.
22/07/16 18:09
얼추 '역대 최고를 다툴만한 수준'정도의 의미인데, 용법이 맞지 않는 말이므로 굳이 따지자면 국어파괴가 맞다 생각합니다. '역대 최고'라 단언해버리면 그에 대한 책임이 따라오기에 발전한 어휘라고 생각해서, '~같아요'로 말을 끝내는 습관과 궤를 같이 한다고 생각하고요.
언론에서 사용하는 건 요즘 언론들의 수준 + 트렌드를 빠르게 녹여내야 하는 세태의 영향이므로 근거가 될 순 없다 생각합니다. 당장 대인배라는 어휘만 해도 언론에서 줄기차게 사용중이죠. 다만 겹말이 그랬고 다른 신조어들이 그랬듯이 틀린 말임에도 불구하고 언어의 일부로 자연스레 굳혀지겠죠. 특히나 역대급이라는 말은 써놓고 봤을 때 위화감 없이 그럴싸하기 때문에 더더욱 오래갈 것 같네요.
22/07/16 20:55
구글링의 발달과 함께 등장한 낱말이라고 기억합니다.
과거 자료나 사료에 대한 접근성이 올라가면서 각분야에서 통사적으로 대상을 평가하는 일이 늘어났고 역대 최고, 역대 최대 같은 것에 대해 고증이 활발해지면서 자연스럽게 역대'급'이라는 표현이 나왔죠. 쉽게 말해 구글 이전엔 역대를 논하기가 어려웠음. 비슷하게 서구권에서도 All time이나 GOAT 같은 표현이 구글링과 함께 나왔고요. 그 전엔 GOAT라고 안 했죠. 조던도 현역 때는 GOAT 소리 들은 적 없습니다. THE GREATEST EVER라고 했죠.
22/07/17 01:16
근거 있는 소리인가요?
歴代級으로 검색해보면 죄다 한국에서 유행하는 말이라는 포스트만 나오는데요. 일본어 유행어에서 저런 비슷한 표현 들어본 적도 없는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