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6/10 15:00
(수정됨) USB 테더링을 정확한 절차로 동작시킬 수 있다는 전제하에 과정이 잘못되었는지 여부는 굳이 여쭤보지 않겠습니다.
새 제품을 구매하기에 앞서 유선 랜포트가 있는 허브라면 호스트가 스마트폰인 상태에서 노트북쪽에 유선랜 연결을 시도해보시고, 그래도 인식이 안되면... 차라리 호스트를 노트북으로 하시고 스마트폰을 USB포트에 연결해보십시오. 이렇게 해서 된다면 당장은 스마트폰 충전이 안되는 불편함이 있긴 한데, PD 포트에 무선 충전 패드를 연결하면 해결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22/06/10 15:21
제 목적이 폰에 키보드와 노트북을 동시에 연결하는 거라 말씀 주신 방법으로 하면 키보드 사용이 안 되서어려울것 같습니다 흐흐 시간내서 댓글주셔서 감사합니다.
22/06/10 15:37
USB 허브에서 호스트가 아닌 주변기기 연결하는 곳에 노트북을 연결하고 호스트 연결하는 곳을 스마트폰에 연결하게 되면, 구조상 노트북이 주변기기 취급이 되고 스마트폰이 호스트 취급이 됩니다. 그러나 노트북이 스마트폰의 테더링을 인식하려면 노트북이 호스트가 되어 스마트폰을 주변기기로 인식해야 하므로 인식이 안되는것이 정상입니다.
쉽게 말해, 스마트폰 테더링을 노트북에서 인식하려면 노트북에서 스마트폰을 키보드 마우스 등과 같은 주변기기로 인식해야 한다는 이야기입니다. 작성자분은 지금 USB허브의 주변기기 포트에 노트북을 연결하고 메인 부분에 키보드/마우스를 연결하신 것과 같은 상황인거죠. USB 케이블과 다르게 USB 허브는 방향성이 명확한 제품이기 때문에 반대로 연결을 하면 인식이 안되는게 정상이에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