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5/17 19:16
제 생각에도 그냥 맞춰서 구입하는게 좋아보입니다. 커넥터가 고사양 제품들부터 조금씩 바뀌고 있더라구요. 그리고 개인적인 경험으로 00대비해서 먼저 사놨다~ 이 굴레는 끝이 없다는 걸 알기에..
몇년전에 00출시 대비해서 2060 미리 사놔야지로 시작했던 제 컴 맞추기가 5800x과 삼성980pro 1tb m2 ssd 구입을 끝으로 잠정 마무리 되었던걸 생각하면..
22/05/17 21:07
크크 이거 정말 맞습니다. 파워 업글하고 4000시리즈 끼워놓고 나면 그 다음엔 분명 다른 낡은 부품들이 상대적으로 초라해 보이기 시작하는데... 크크
22/05/17 21:10
제가 고사양 게임을 거의 안해서 (F1 시리즈 정도?) 4070 정도만 되어도 충분하긴 하지만, 가성비는 못참죠. 답변 감사드립니다.
22/05/17 23:09
출시되는 4000번대 PCIe gen에 따라 전원핀 규격이 결정될 것이기 때문에 자세한 내용이 밝혀질 때까지 미루심이 좋겠습니다. 만약 5.0 버전으로 출시되면 16(12+4)핀 단일로 600w까지 출력해주는 단자가 필요하고, 기존 4.0 버전으로 출시되면 현재 시중에 유통되는 물건으로 사셔도 무방하겠죠. 하지만 지금 5.0 버전 지원하는 파워들이 제대로 출시는 됐는지 모르겠습니다.(MSI나, FSP에서 만들었다는 이야기는 있습니다.) 참고로 모듈러라 하여 8핀+8핀=16핀 모양만 맞으면 되겠구나 생각하시면 곤란합니다.
22/05/18 10:01
워.. 그래픽카드 단독으로 600w를 먹으면 거의 난방기구네요. 저렇게 전기를 많이먹는 글카를 사진 않을것 같지만, 유동적인 부분이 많은 것 같으니 기다려 봐야겠네요. 상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22/05/18 10:18
(수정됨) 단자의 최대스펙이 그렇고 실제로는 가변클럭이나 전력설계에 따라서 훨씬 유동적으로 흐르겠죠. 현행 PCIe 4.0 이하처럼 핀열별 12v/8a 형식이면 새로 출시하는 경우도 있겠으나, 기존 모듈러 제품들이라면 뇌피셜로 상상해볼 때 모양만 바꿔주기 보다는 퓨즈나 제어칩이 들어간 별도의 특수 커넥터를 내주지 않을까... 생각도 해봤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