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2/16 21:24
식단 조절하고도 요산수치 떨어지지 않으면 약(페브릭) 처방 받아 먹는 게 맘 편합니다.
20대 중반에 6개월 주기 급성이 3번 있었고, 그뒤로 페브릭 하루 한정 먹은 지 10년 가까이 됐는데 아픈 적 없고 먹고싶은 것 맘놓고 먹고 있습니다...
22/02/16 21:34
최신지견은 모르겠고....대략 10년 쯤 전에 논문 본거 같은데,
결론은 약먹는게 최고 !! 였습니다. 철저한 식이 제한한 대조군보다 걍 대충 먹고 약먹은 쪽이 예후가 훨씬 좋은 걸로 기억합니다. 물론 약도 먹고 식이도 잘지키면 베스트긴 한데, 약만 잘챙겨 먹어도 크게 문제는 없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22/02/16 21:41
20대 초반에 통풍 왔는데 솔직히 술만 안 먹고 물 많이 먹고 소변 자주 누시면 잘 안 옵니다 식이 조절이 제일 중요하고 조심 해야 할 건 단백질 과다 섭취입니다. 이 정도만 조심하셔도 안 오는거 같더라구요. 지금은 먹고 싶은 거 먹고 안온지 십년은 넘은거 같습니다.
22/02/16 22:18
(다른 것도 마찬가지지만) 통풍에 대해서는 인터넷에서 얻는 정보 중에 틀린 정보가 꽤 있습니다. 민간요법 믿지 마시고 전문가들의 최신정보를 보세요.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3060300005 여기 가서 중간에 보시면 [비밀노트] 라는 버튼 누르시면 좋은 정보를 보실 수 있습니다.
음식은 너무 가려 먹으면 오히려 스트레스만 받고 실질적으로 요산 감소효과는 그에 비해 적기 때문에 증상이 있는 시기에는 퓨린함량이 높은 음식(등푸른 생선, 동물 내장류, 갑각류, 어패류 등)만 피하면서 금주하시고 당분과 지방섭취 가능한 줄이세요.
22/02/16 22:24
통풍은 류마티스내과 전문입니다. 정형외과 말고 류마티스 내과가서 상담 받아보세요.
통풍이 무서운 이유는 통풍 그 자체도 있지만 신장에 이상을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약은 안 드시더라도 꾸준히 병원에서 검사받으시면서 관리받으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가장 좋은 것은 꾸준한 약 복용 + 식단관리(크게 하실 것은 없고 퓨린이 함유된 음식을 과다 섭취하지 말기) + 금주(특히 맥주는 몸 속의 요산 배출을 막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금지) 까지 함께 해주시는 것입니다. 이 중 금주(특히 맥주)는 필수이고 약과 식단관리 둘 중 하나만 선택한다면 약 복용이 훨씬 효과가 있습니다. 식단관리는 큰 요산 수치를 낮추는데 드라마틱한 효과는 없습니다. 증상이 없다고 나몰라라 했다가는 신장에 이상이 올 수 있으니 꼭 류마티스내과 가셔서 꾸준히 추적검사 하시길 추천드립니다.
22/02/17 00:01
걍 무조건 약먹으세요.
약먹으면서 '금주'만 하면 됩니다. 나머지 식단관리는 크게 신경쓸 필요 없는듯. 당뇨처럼 평생 먹는다 생각하는 게 편해요. 제가 요즘들어 느끼는 건데, 약이 있는 병은 오히려 양반입니다. 약조차 없이 오로지 몸관리로 해결해야 하는 병이 진짜 골치아프지. 통풍은 그런 면에서 약만 꾸준히 먹으면 별 탈 없으니 페브릭 먹고 이상 없으면 그냥 계속 드시면 됩니다. 이걸 약 안먹고 식단관리로 해결하려고 하면 먹을 게 없어요. '이렇게 살아서 뭐하나' 수준으로 극단적으로 제한해도 효과가 그렇게 크지 않습니다. 약이 짱임. 아마 페브릭 꾸준히 복용하면 어지간해선 급성 발작은 안 올텐데, 혹시나 문제 생길 때를 대비하여 콜히친(급성 발작 낌새 보이면 한 이삼일 먹으면 발작 오기 전에 바로 가라앉습니다.) 1주일분 정도만 따로 처방해놓고요. 그정도만 하면 됩니다.
22/02/17 00:11
약의 중요성은 윗분들이 잘 설명해주셨고, 기왕이면 한 번 처방 받을 때 왕창 받는게 편하더군요.
저도 처음엔 30일치 받았다가 이제는 3~4달치 달라고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