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2/11 21:41
지역할당제의 지역은 졸업한 대학이 소재한 지역을 말하기 때문에 서울에서 나고자란 사람이 부산대 나오면 부산지역 인재가 됩니다
그래서 말씀하신 고졸지역전문사원은 일반적인 지역할당제에는 해당이 없고 그 회사의 지침에 따라 다릅니다
22/02/11 21:56
음 보통 고졸전형이 있는 회사는 고졸티오자체가 일단 대졸보다 매우 적고 또 단순히 대학졸업장이 없는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게 아니라 고등학교 졸업예정자나 졸업후 n년이내인 사람으로 한정해서 뽑는 경우도 있습니다.(사바사)
지역인재는 지방에 본사를 둔 회사의 경우는 비지역인재보다 조금 많이 유리하고.. 대졸지역인재>>비지역대졸>=고졸 정도로 생각합니다.
22/02/12 16:18
네 이것도 회사마다 다른데 보통 전형자체가 '고졸전형'이거나 지원자격요건이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가 아닌 다른 일반채용의 경우 다 대졸채용으로 봅니다.
22/02/12 11:45
회사마다 다를텐데 제가 입사했던 3년여전 기준으로, 지역할당이란 해당 티오를 정해놓고 그 지역 사람만 뽑는게 아니라 대졸일반과 같이 경쟁하되 그 지역 인재가 일정비율 미만이면 추가채용 하는 방식이 주류였습니다. 합격권에 근접할 정도의기본 실력은 갖추어야 한다는거고 0.몇점 차이로 합불이 갈리기도 하니 유리하긴 합니다.
저희 회사 기준으로는, 대졸자가 고졸전형으로 하향해서 지원하는 건 불가능하고 대학 졸업은 하지 않은 재학생이 합격해서 최종 졸업을 포기 하거나 하는 경우는 있더군요. (자세한건 모릅니다만) 저희 회사 기준으로는 고졸전형이 깡패입니다. 입사난이도는 대졸에 비해 많이 낮은데 호봉 4개 차이 밖에 안 나고 혜택이란 혜택은 다 동일하게 적용 받습니다. 아이러니하게도 한직에 배치 받는 경우도 더 많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