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1/03 17:59
보증 끝난 외제차 몰고있는데 문제된적 한번도 없습니다. 요즘은 독3사 정도면 부품도 구하기 쉬워서 수리가격도 예전에 비하면 꽤 낮아진 편이고.. (물론 현기보단 높습니다.)
그리고 뭐 버시는 돈 정도면 충분히 몰고다니실만 한데요 크크
22/01/03 17:59
고장이 많이 나냐고 물어본다면 외제차로고 해서 국산차보다 더 고장나는거 같지는 않습니다.
다만 문제가 생겼을 때, 훨씬 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됩니다. 현기차에 비해서 공식이나 사설 수리업체가 부족하고, 비용도 당연히 더 많이 듭니다. 미혼에 수입이 그정도면 BMW 3 시리즈 운행에 문제는 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22/01/03 17:59
몇몇 외제차는 확실히 그런 부분이 좀 있는걸로 알고 있는데..
흔히 말하는 독삼사 정도되면 국산차와 유의미한 차이는 없을겁니다. 그리고 차량선택은 본인가치관이나 차에대한 애정가지고 선택 하는거지 연봉에 맞는 차 이런건 없습니다.
22/01/03 17:59
인수 후에 BMW 공식 딜러에 점검 요청해서 정식 검사 결과서 받고 수리할 부분 있으면 하신 후에, 워런티 추가로 구매하시면 몇 년간 큰 돈 들어갈 일은 별로 없습니다. 그 정도 수입이면 운용에 문제 없습니다.
22/01/03 18:02
그 정도 수입이면 신차로 뽑으셔 타셔도 되겠네요.
그리고 [외제차]로 퉁치기엔 카테고리가 크군요. 보통 일제 차들이 그나마 잔고장이 많이 없습니다. 토요타(렉서스), 혼다는 국내에 직영서비스센터도 운영중이구요, 하지만 독일3사는.. 고장나는지 안나는지 복불복이라지만..
22/01/03 18:16
고장은 어차피 복불복이고 케바케입니다.
고장이 잘나느냐 보다 [부품값 + 공임비] 가 국산차 대비 최소 2배 이상 비싸다는걸 알고있어야합니다.
22/01/03 18:29
무료 혹은 싸게 인수 받으시고... 벌이가 그 정도 되시면 전혀 부담이 안되실꺼 같은데요?
그리고 듣기로는 bmw 가 한국에 부품점도 있어서 제일 낫다고 하던데요
22/01/03 18:33
어차피 무료or싸게 받는다고 치면 그 차액만큼 고장나면 고쳐탄다고 생각하면 되죠. 그리고 BMW가 외제차 중에 그나마 부품값이 싼편이구요
22/01/03 18:43
직접 보증 없는 외제차 수리 상담 받으러 가보시면 예상을 웃도는 가격에 놀라실 겁니다.
옛날에 비해 괜찮아졌다뿐이지 여전히 [많이] 비싸요. 보증기간이 지나거나 임박한 외제차들 중고차 가격이 왜 폭락하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죠.
22/01/03 18:59
미혼에 그정도 수입이면 BMW 3시리즈 탈만 합니다. 그리고 가솔린차는 디젤차에 비하면 문제도 별로 안생기고 정비비도 덜 들어가는 편입니다. 저라면 콜~
22/01/03 19:03
별 차이 없다라고 해도 확실히 수입차량이 고장 나면 수리비가 장난 아니긴 하더라구요.
작년 초 쯤에 BMW 차량 DSC모듈? 이 나가서 한 2주 걸려서 BMW 서비스센터에서 수리 받았는데 견적이 400 정도 나오는거 보구 읭? 했습니다; 다행히 워런티 기간이어서 무상으로 수리 하긴 했는데 후덜덜한 수리비 때문에 기존에는 워런티 연장 할 생각이 없었었는데 수리비 나오는거 보니 워런티 연장은 필수라고 생각 되더라구요.
22/01/03 19:09
고질병이 있는 몇몇 모델을 제외하면 특별히 고장이 잘 나는건 아닙니다.
다만 한번 터지면 비용이 국산차에 비해 엄청 크다는 것만 알고 계시면 됩니다.
22/01/03 20:45
15년씩 520d 타고있습니다
잔고장 거의없습니다 보통 타는사람들보다 안타는 사람들이 그거 잔고장 많은거아니냐? 라는 말을 더많이하더라구요.. 수리비 크기 차이 모르겠어요
22/01/04 03:52
이런 건 주변에 물어보셔도 알 수가 없는 게, 아무리 장안의 화제급 불량이 나도 막상 불량률은 1프로도 한참 안됩니다. 예를 들면 폭탄 소리 듣는 노트7 배터리 터질 확률이 얼마나 되었을까요. 불타는 엔진의 BMW도 그렇고요. 길거리에는 서비스 센터에 들어가고 나오는 차밖에 없다는 레인지로버도 고장이란 걸 모른다는 분들 쌔고 쌨습니다.
불량이 났을 때 비용 부담이나 수리의 편리성으로 접근하는 게 맞는 거 같고요, 비용은 확실히 많이 들고 되려 더욱 걸리는 게 접근/편리성인데 수도권이나 광역시급이면 괜찮지만, 그 외 지역이면 영 불편합니다.
22/01/04 09:55
국산, 외제 불문하여 중고차 인수 후에는 아래의 작업을 하는 게 좋습니다.
초반에 소모품 및 오일 교체 : 엔진오일, 브레이크오일, 미션오일, 디퍼런셜오일, 에어컨필터, 타이어 등 누유나 누수 그리고 고질병(BMW카페에서 확인 가능) 등의 수리 : 이미 수리가 완료됐으면 좋겠지만, 아닌 경우도 많으니 확인하는 게 좋음 이 2단계를 처리하는데 비용이 제법 들 겁니다. 국산의 2~3배 정도라고 보면 되고요.(타이어 자체 비용은 국산과 차이 없고, 공임비에서 차이 남) 그 다음부터는 제가 볼 땐 오일류만 제 때 교체하면, 10년간 큰 고장없이 탈 수 있을 것 같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