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9/25 21:27
색감하고 글레어 여부는 관계 없습니다.
색이 이상한 것은 캘리브레이션이 잘못되어 있어서 그런 거고요... 어떤 모니터든 사서 처음에 화면 켜보면 노래보이든지 파래보이든지 둘 중 하나입니다. 정확하게 내가 원하는 색온도, 색조에 맞춰져서 나오는 것은 거의 없고 전문가용 모니터도 일단 사서 캘리브레이션 해야 됩니다. 일부 오래된 LCD 모니터 같은 경우 오래 쓰면 영구적으로 누래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21/09/25 21:34
안티글레어, 글레어비교글 보면 공통적으로 나오는 말이던데, 옛날기기나 동일제품군 타블렛 비교글이라 그런가요? 사실 모니터자체는 제 글레어제품이 더 오래된ㅜ 너무바꾸고 싶은데 물빠진 색감이 너무싫어서ㅜ
21/09/25 21:42
1. 못 찾겠네요. 다나와에 UHD, 커브드 모니터 찍어보니 삼성 모니터는 안티글레어라고 써있지는 않는데 글레어인지 확인은 안되네요.
(후기들보면 안티 글레어인것 같은 느낌입니다.) 2. 정확한 느낌은 모르겠지만 일단 안티글레어와 글레어의 차이를 정확히 확인하셔야할 것 같습니다. 글래어 안티글래어의 차이는 외부 빛의 반사를 산란시켜주느냐 마느냐의 차이입니다. 글레어는 외부 빛을 그대로 반사시켜 주기 때문에, 주변 조명 등에 인한 방해를 많이 받을 수 있어 보통 논글레어로 많이 출시되는 편입니다. 쨍한 느낌과는 관련이 있을 수 있으나, 누런 색감과는 크게 관련이 없습니다. 쨍한 느낌은 잘 몰라서 말씀은 못 드리겠지만, 선명함이라는 것은 안티 글레어의 유무보다는 해상도가 더 중요할 것 같습니다. 3. UHD 사용하기다가 WQHD로 넘어가시면 차이를 크게 느끼실 것이고 (역체감) 처음부터 WQHD면 크게 문제는 없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21/09/25 21:55
감사합니다
검색결과 커브드에 uhd는 거의 없고 한성 이제품이 qhd이면서도 39인치라 끌리는데 한성모니터 브랜드는 혹 문제가 많은편인가요? http://m.emart.ssg.com/item/itemView.ssg?itemId=1000146525696&siteNo=6001&ckwhere=danawa&service_id=estimatedn
21/09/25 22:03
일단 저는 크게 예민한 편은 아닙니다.
현재 집에서 사용하는 모니터(한성모니터 아님)에 청소하다가 눌러서 생긴 불량화소가 몇개 보입니다만 그냥 불만없이 사용하고 있는 정도 입니다. 현재까지 한성 모니터는 2번 사용해봤습니다. 사무실에서 한성모니터 32:9짜리와, 21:9 짜리 2개를 사용하고, 두가지 모두 2년이상 된 것 같은데 큰 문제는 없습니다. 근데 AS 받을 일이 생기면 좀 귀찮다고 한 후기를 본 적이 있어서 구매에 고민을 하긴 했었습니다. 마지막으로 마운트 활용하실 경우 VESA홀 위치가 안쪽에 숨어있어서 거지 같았습니다.
21/09/25 21:42
(수정됨) 요샌 거의 차이없지만 그래픽카드도 색감이 다릅니다.
인텔 내장 그래픽이나 매트록스 계열이 제일 맑았(?)던 느낌. 윗님 말씀처럼 색온도 설정이나 모니터 설정 자체가 좀 문제가 있지 않을까 하네요. 밝기, 명암 선명도 블랙레벨 조절도 중요합니다. 아. 그리고 글레어 제품이 아무래도 좀더 쨍한 느낌이 있긴 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