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8/19 10:33
(수정됨) 무조건 해야합니다
정부에서 개인이 노후준비 하게끔 한국/미국 지수추종 ETF도 매매 가능하도록 시스템 개편했고 세제해택도 큰데 왜 안하세요? 제가 장담하는데 지금 와이프분 말씀 안듣고 안넣으면 20년 뒤에 100% 후회하고 평생 와이프 분에게 바가지 뜯기면서 사실 껍니다 대신 연금저축, IRP는 퇴직 전까지 뺄 수 없는 금액이라서 안뺴도 될 정도로 여유분만 매월 납입하시고 지수추종 ETF 등을 구입하세요 이쪽에 대해서 잘 모르시면 책 [마법의 연금 굴리기]를 보시면 잘 나와있으니 와이프님과 같이 정독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p.s. 40대에 넣지 말라고 하는건 기대수익이 30대보다 적기 때문입니다 복리효과를 누릴 때 10년, 20년, 30년 기대수익 차이가 꽤 벌어지거든요 그런데 아예 안넣으면 그마저도 없어집니다
21/08/19 11:26
(수정됨) 아 제가 연금'보험'이라는 글자를 못봤네요
연금'보험'은 무조건 비추입니다 제가 말한 연금저축의 풀네임은 연금'저축펀드'인데 흔히 연금저축으로 많이 씁니다
21/08/19 11:27
이렇게 명쾌하게 꼭 해야 된다 말씀해주시니 근심이 없어지는 기분이네요. 감사합니다.
제가 상품이름도 제대로 잘 몰랐나봐요. 책 사서 공부 한 번 해보겠습니다.
21/08/19 11:33
(수정됨) 요즘 시대는 저축만 하면 가지고 있는 돈이 실질적으로 마이너스가 되는 시대라서 개인이 스스로 이런저런 투자를 할 수 밖에 없는 시대입니다
그런 점에서 IRP/연금저축은 매우 안정적으로 돈을 불릴 수 있는 좋은 투자 수단이지요 와이프님과 같이 미래 계획 잘 세워 보세요 :) 추가로 유튜브 '박곰희 TV'를 검색한 후 거기서 IRP/연금저축 동영상을 보시면 좀 더 이해가 쉽게 되실껍니다
21/08/19 12:56
네. 지방민인데도 이번 집값 상승 사태에 굉장한 허탈감이 느껴지네요. 개미처럼 일만 해서는 안 되는 세상인가봐요.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21/08/19 10:39
(수정됨) 연금저축보험을 굳이 들어야 하나요? 연금저축이면 모르겠는데, 연금저축보험 수수료가 높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 저라면 연금저축보험을 안들꺼 같습니다. 차리라 연금저축펀드 쪽을 고를꺼 같은데, 지금 현재까지 따로 투자를 하신적이 없으니 추천하기 애매하네요
21/08/19 10:40
납부시점 세액공제 혜택을 말씀하시는 걸 보니 '연금저축' 상품을 말씀하시는 듯 합니다.
'연금보험'은 납부시점 세금 혜택 없구요. 연금 수령 시점에 혜택 있습니다. '연금저축'은 업권 별로 연금저축신탁, 연금저축보험, 연금저축펀드가 있구요. 납부가 끊길 일 없다고 하신 점과 투자 니즈가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연금저축펀드가 가장 나은 선택이 아닐까 싶습니다. 펀드 슈퍼마켓 등 이용하시면 낮은 수수료로 가입 가능하시니 윗분이 말씀해주신 것처럼 지수추종 상품 등으로 시작해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21/08/19 12:57
연금저축보험이 있고 연금보험이 있는거네요;;? 와이프가 말한 건 연금저축보험이었나봅니다.
너무 무식한게 티가나서;;; 댓글 참고해서 공부 좀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1/08/19 10:59
세액공제 혜택있는건 연금보험(세제비적격)이 아니라 연금저축(세제적격) 상품이고 3종 있는데 이중에서 연금저축펀드 추천합니다. 마법의연금굴리기 책 읽으시고 etf 직접 거래 하세요.
55세 지급시점까지 돈이 묶이는게 단점이지만 40대 부부 정도면 결혼, 주거지 마련 정도의 목돈 드는 퀘스트는 깨신 상태일테니 단점도 적고요.
21/08/19 13:00
네 검색 한 번 해보겠습니다. 연금보험도 있고 연금저축보험/펀드도 있는데 그 중에 최악이 연금보험인가봐요-_-...
위쪽에서 추천하신 책 한 번 사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1/08/19 13:01
내가 넣은 연금으로 또 투자를 할 수 있는 게 연금펀드군요.
연금을 주식에 투자한다는 게 목적에 안 맞는게 아닌가 하고 와이프하고 이야기했었는데 다들 펀드 추천하시니 한 번 알아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1/08/19 12:28
글쓴이의 성향에는 보험이 맞기는한데,
[아무 신경 안쓰고싶으신분] 아무 신경 안쓰면 등쳐먹는 금융상품이 너무 많죠… 보험은 사업비라는 명목으로 왕창 뜯어가니 그 부분을 고려하셔야합니다.
21/08/19 12:59
이미 친척한테 변액 한 번 당해서.. 투자하는 보험상품은 거들떠도 안 본다고 다짐했었는데 시간이 지나서 까먹었었나봐요. 또 눈탱이 맞을뻔 함...
감사합니다.
21/08/19 13:05
보험은 순수 보험용도로 쓰고, 저축은 금융상품으로 하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펀드 수수료 1%도 높다고 생각하는데 보험상품 사업비 떼는거 보면... 윗 분들이 말씀하셨듯 연금저축펀드 개설을 추천드립니다.
21/08/19 13:08
보험투자상품은 이렇게 다들 비추하시는데 계속 출시되는 이유가 있나요? 걍 호구들 등쳐먹는다고 하기엔 보험회사들 너무 많지 않나 싶어서요. 딱 보험이 맞는 분들이 있으신건지..
21/08/19 13:25
금융어린이 등쳐먹는데가 맞습니다. 우리나라는 금융공부를 너무 안시켜서 문제죠.
극도로 안전위주시면 IRP에서 예금으로 들어도 됩니다.(금리도 상당히 괜찮게 나와요.) 일단 연말정산+과세지연 효과는 받으니까요.
21/08/19 14:25
신입사원이 하면 안되는 것이 2개 있습니다.
1. 변액보험 가입 2. 연금보험 가입 소득이 올라서 세율이 높아진 시점부터는 연금저축 / IRP (두개가 거의 같지만 약간 다릅니다. 금융지식이 있으시면 연금저축이 더 우월합니다.) 가입할 만 하다고 생각합니다. (세금혜택이 엄청납니다.)
21/08/22 14:57
연금저축 이 네글자가 들어가 있는게 흔히 말하는 세액공제연금상품입니다.
나머지는 거의 보험상품이고요. 증권사 연금저축상품으로 가입해서 세액공제 13.2~16.5% 받고 미국ETF 같은거 장투해서 연 7% 정도? 나오면 땡큐라고 생각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