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04/18 18:21:32
Name Fig.1
Link #1 https://www.fig1.kr/history
Subject [일반] [테크 히스토리] 커피 부심이 있는 이탈리아인 아내를 두면 생기는 일 / 캡슐커피의 역사 (수정됨)
tYul5mW.jpg
[아아 먹는 이탈리아인 ©유튜브 BODA 보다 채널]

1970년대 스위스 네슬레 본사에서 일하던 에릭 파르브에게는 이탈리아인 아내가 있었습니다. 한국인에게 맵부심이 있다면 이탈리아인에게는 커피 부심이 있는데요. 에릭 파르브의 아내도 커피 부심을 부렸죠. 아내의 커피부심을 견디다 못한 에릭 파르브는 이탈리아 카페 투어를 시작합니다. 이탈리아에서 가장 맛있는 커피를 찾아 만들어내 아내의 부심을 멈추게 할 생각이었죠.

그는 이탈리아 카페 투어 중 로마에 있는 Caffe sant’Eustachio에서 진짜 맛있는 커피를 발견합니다. 그리고 곧 비결이 무엇인지 알아내는데요. 바로 압력에 있었습니다.

당시 에스프레소 기계는 펌프의 레버를 당겨 그 압력으로 추출했는데요. 대부분의 카페에서 펌프 레버를 1회만 당기는 것과 달리, 이 카페에서는 펌프질을 3~4회를 해 강한 압력으로 커피를 추출했죠.


kvCtHDs.jpg
[괜히 이렇게 무지막지한 고압 에스프레소 머신이 만들어진 것이 아닙니다 - 1935년 출시된 일리의 illetta ©Illy]

이렇게 더 많이 펌프질하면 더 많은 공기가 커피에 들어가 산화되고 더 두껍고 거품이 많은 크레마가 만들어져 더 좋은 풍미가 만들어지죠. 게다가 아로마의 산화도 증가하고 에센셜 오일이 더 추출되어 향도 더 좋아집니다.



스위스로 돌아온 에릭 파르브는 이 커피를 재현할 수 있는 기계를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그 결과 탄생한 것이 분쇄커피에 압축 공기를 가득 채운 에스프레소 캡슐이었죠. 이 캡슐에 뜨거운 물이 들어가기만 하면 크레마가 풍부한 이탈리아 존맛 커피가 되는 것이었죠.

CUXZPfs.png
[에릭 파르브의 캡슐 커피 특허]

그렇게 파르브의 존맛 캡슐커피가 만들어졌지만 바로 상용화된 것은 아니였습니다. 당시는 인스턴트 커피의 시대였기 때문에 네슬레는 값비싼 에스프레소 머신이 시장성이 없다고 생각했거든요. 10년이 지난 1986년에서야 파르브의 캡슐 커피가 출시되는데, 바로 Nespresso 탄생의 순간이었죠.

a2qJEiE.jpg
[최초의 캡슐 커피머신 Nespresso C-100 ©Nespressop]

캡슐커피는 처음에는 일반 소비자를 위한 제품이 아닌 사무실, 호텔에 납품하는 상업용 제품이었는데요. 스위스와 일본에 출시했으나 잘 안팔리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바로 전략을 변경해 1988년에는 상업용이 아닌 소비자를 위한 고급 제품으로 재출시했고, 심지어는 고급화를 위해 캡슐의 가격을 50%나 인상했죠. 결과는 성공적이었습니다. 이후 시티즈 CitiZ, 에센자 ESSENSZA, 한번 사면 고장이 안난다는 픽시 PIXIE, 잇섭이 별로라고 한 버츄오 VERTUO 등등이 출시되었죠. 참고로 네스프레소가 만든 캡슐은 2012년에 특허가 풀려 다양한 곳에서 호환 캡슐이 나오고 있습니다.


QDYhzZw.jpg
마지막으로 에릭 파르브와 사모님 사진. 사모님이 활짝 웃고 계신걸보니 다행히 캡슐 커피가 맘에 드신 것 같네요^^


- 해당 내용은 유튜브로도 보실 수 있습니다:)



<이전글 - 음식>

<이전글 - 패션>

<이전글 - 기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4/18 18:24
수정 아이콘
뻐츄오 왓엘스~
22/04/18 18:38
수정 아이콘
조니 클루니 존멋..
최종병기캐리어
22/04/18 18:26
수정 아이콘
네스프레소 시티즈 쓰고있는데 고장도 없고 편리해서 대 만족중입니다. 어짜피 맨날 라떼만 먹는지라 맛은 차이를 못느껴요
22/04/18 18:39
수정 아이콘
사실 저는 캡슐 커피보단 모카포트 선호합니다 흐흐
다만 먹어본 것 중에는 일리가 제일 좋았어요.
VictoryFood
22/04/18 18:27
수정 아이콘
캡슐 커피의 맛이 좋으셨을까요?
캡슐 커피가 벌어오는 돈이 좋으셨을까요?
22/04/18 18:40
수정 아이콘
???: 내 덕에 만들었으니까 저작권료는 내가 관리할께
22/04/18 18:31
수정 아이콘
언급된 카페는 로마 판테온 근처에 지금도 있군요. 에스프레소는 그렇게 좋아하지 않지만, 그래도 담에 한 번 가봐야겠네요.
재미있는 글 감사합니다.
22/04/18 18:42
수정 아이콘
저도 트립어드바이저 리뷰를 살짝 찾아봤는데 호불호가 갈리나보더라구요. 그래도 4점이니 저도 가보고 싶긴 합니다흐흐
달은다시차오른다
22/04/18 18:38
수정 아이콘
교황에게도 커피에 물을 붓는다고 "교황님 커피를 망치고 계십니다." 라고 하는 이탈리아 사람들이죠
22/04/18 18:43
수정 아이콘
크크크 볼때마다 신기합니다. 우리는 김치에 그런 부심은 없잖아요
유념유상
22/04/18 18:51
수정 아이콘
라면에 물부우면 그렇게 말할지도..
22/04/18 21:28
수정 아이콘
아앗... 그건 좀..
22/04/18 18:55
수정 아이콘
김치 맵다고 씻어서 먹는걸 보면...
22/04/18 21:29
수정 아이콘
이건 참을 수 있습니다크크
뜨와에므와
22/04/18 19:22
수정 아이콘
김치찌개에 얼음띄우기?
22/04/18 21:29
수정 아이콘
네? 선넘지마세요크크
츠라빈스카야
22/04/18 20:16
수정 아이콘
반대로 국밥에 깍두기국물 안붓는다고 직접 부어준다거나....?
22/04/18 21:30
수정 아이콘
이건 기분은 나쁘지만 먹는데는 지장 없습니다크크
주먹쥐고휘둘러
22/04/19 11:24
수정 아이콘
동치미 국물이 너무 자극적이네요 이러면서 맹물 확 부어 먹으면...
22/04/18 18:53
수정 아이콘
픽시 7년째 고장한번 안나요..
22/04/19 08:24
수정 아이콘
캡슐커피머신 진짜 잘 안망가지는 것 같아요
하지만 나의 반자동 에스프레소 머신은...ㅠ
녹용젤리
22/04/18 20:35
수정 아이콘
시티즈 10년동안 고장 한번나서 3만원주고 수리했어요
하루 적게는 2번 내리는데 내구성 좋아요
닉언급금지
22/04/18 20:38
수정 아이콘
여태껏 수만은 역사글 중에 이 글 만큼 뽐뿌가 오는 글이 없었습니다.
가격 알아보러 갑니다.
22/04/19 08:26
수정 아이콘
크크크 나중에는 뒤에 제품소개도 해야겠어요
계란말이
22/04/18 20:39
수정 아이콘
알루미늄 캡슐 안좋다고 하는 썰이 있던데 사실일까요?그 말 들은 이후로 좀 꺼려지는데 이거보니 또 땡기네요..
패마패마
22/04/18 21:33
수정 아이콘
치매랑 연관있다는 말이 있긴 하죠...
22/04/19 08:30
수정 아이콘
헛 저도 처음 들어봤는데 찝찝하네요..
개인적으로는 모카포트 추천합니다
22/04/19 09:55
수정 아이콘
무슨 제품 쓰시는지 모르겠지만 유명한 비알레띠도 주력은 알루미늄 아닌가요?
트루할러데이
22/04/19 10:12
수정 아이콘
요즘은 비알레띠도 스뎅 나옵니다!
22/04/19 07:44
수정 아이콘
너무 재밌고~
잘 읽었습니다!
22/04/19 08:30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개좋은빛살구
22/04/19 12:09
수정 아이콘
저만 그런지 모르겠는데
[역사] 황사, 미세먼지, 방사능과의 사투 /공기청정기의 역사 누르니까 밥솥 얘기로 넘어가게 되네요 흑흑
22/04/19 13:06
수정 아이콘
앗 수정해놨습니다! 참고로 맨 위에 링크 올려둔 곳으로 가면 모든 글을 볼 수 있습니다:)
제랄드
22/04/20 06:3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사무실에 네스카페 돌체구스토와 일리 2가지 캡슐커피 머신을 놓고 사용 중입니다. 본문에 언급하신 잇섭을 포함하여 인터넷 여론은 '맛'은 일리가 더 우월하다인데 어느 정도는 동감합니다.

다만, 오랜 시간 사용해 본 결과 돌체구스토 역시 일리 대비 장점이 있어 무조건 일리가 낫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일례로, 일리는 에스프레소에 특화된 기계라 아메리카노나 라떼류를 좋아하실 경우 신중히 고민하셔야 합니다. 특히 일리는 라떼류는 (사실상) 불가하여 우유나 거품을 따로 넣으셔야 하는 등 다양성과 편의성 면에서는 돌체구스토가 우월합니다.

이렇게 서로 특장점이 있어서 누군가 제게 둘 중 뭐 사야 되냐고 묻는다면 재깍 대답하긴 어렵고, 스무고개가 필요합니다.

... 내친김에 두 제품을 간단히 비교해 보려고 했는데 뭔가 게시물 취지와는 안 맞는 것 같기도 하고, 너무 긴 글이 될 것 같아서 패스합니다 ㅡ,.ㅡ)
국수말은나라
22/04/20 09:45
수정 아이콘
조지클루니를 기대했는데 미스터빈이 나오시네요 크크
이미등록된닉네임
23/01/04 00:24
수정 아이콘
오늘 글을 보고 다시 읽으러 왔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23/01/04 08:27
수정 아이콘
아휴 감사합니다흐흐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 선거게시판 오픈 안내 [29] jjohny=쿠마 25/03/16 30456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7] 오호 20/12/30 309806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63414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68169 4
104767 [정치] 윤미향, 이용수, 위안부 문제와 장기 사회 운동에 대한 매우 긴 글 [15] 사부작1288 25/08/16 1288 0
104766 [일반] 저출생(산)문제에 대해 생각해보기 [21] Categorization2455 25/08/15 2455 0
104765 [일반] 강속구 vs 변화구 (下) [4] 無欲則剛2827 25/08/15 2827 2
104764 [정치] 윤석열 1차구속 당시 휴대폰 반입 [62] Croove7981 25/08/15 7981 0
104763 [정치] 국힘 청년 최고위원 후보 "연해주를 합병하고 군대를 주둔시키겠다" [54] 깃털달린뱀6996 25/08/15 6996 0
104762 [정치] 펀쿨섹좌, 고이즈미 日농림상, 야스쿠니신사 참배. (한국에서 현충원 참배후) [31] 코로나시즌5621 25/08/15 5621 0
104761 [정치] 앞으로의 자산 시장 [30] 문재인대통령5267 25/08/15 5267 0
104760 [일반] LLM의 창의성을 끌어내는 마법의 프롬프트 [16] 번개맞은씨앗2892 25/08/15 2892 0
104759 [일반] 바이킹 전사의 평화로운 일상을 알아보자 [6] 식별2349 25/08/15 2349 14
104758 [정치] 전당대회 중 탄찬 향해 '배신자' 전한길, 제명 거론되었지만 경고. 친윤 후보들은 적극구애 [53] 린버크6489 25/08/15 6489 0
104757 [일반] [팝송] 존 케이 새 앨범 "SALT + LIGHT" 김치찌개1351 25/08/15 1351 0
104756 [정치] 이해찬 전 대표의 영향력을 느낄 수 있었던 사진. [53] petrus6570 25/08/15 6570 0
104755 [일반] 이덕일은 본인 주전공인 독립운동사로 꾸준히 나갔으면 지금과는 평이 완전히 달랐을 거라 봅니다. [5] petrus2968 25/08/15 2968 3
104754 [정치] 김건희 "남편과 다시 살수 있을까" [24] 빼사스4656 25/08/15 4656 0
104753 [일반] "'1인 1음료' 왜 안지켜" 영수증 찢더니…손님 내쫓고 소금 뿌린 카페 [215] 페이커759309 25/08/14 9309 1
104752 [정치] 특검, 한학자 통일교 총재 금고서 관봉 등 수백억 현금 뭉치 발견 [49] 크레토스8848 25/08/14 8848 0
104751 [정치]  신동욱 "특검, 눈에 뵈는 게 없다…통일교가 반국가단체인가" [74] 기찻길9718 25/08/14 9718 0
104750 [정치] 이 대통령 "위안부 피해자 분들 명예·존엄 회복 위해 총력 다할 것" [182] petrus9539 25/08/14 9539 0
104749 [일반] GPT 5는 아마도 GPT 5o — 부제 : 안전함과 직관력의 대립 [29] 번개맞은씨앗4427 25/08/14 442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