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10/24 11:48:17
Name 크레토스
File #1 canada_in_strategic_partnership_with_china_minister_says_v0_j0jFifZrSfZTjMSr8x4SHQhp08BszGUCUcJbl7DdtdE.jpeg (37.7 KB), Download : 417
Subject [정치] 미국 의존도 감소 위해 광폭 외교중인 캐나다 근황 (수정됨)


https://globalnews.ca/news/11490896/canada-strategic-partnership-china/

불과 3년 전에 캐나다는 중국을 '파괴적인 세계 강대국'이라 불렀지만 이번에 캐나다 외무장관 아난드는 중국을 전략적 파트너로 보고 있다고 했습니다.

http://m.g-enews.com/article/Global-Biz/2025/10/2025102118542033690c8c1c064d_1

마침 중국이 미국을 제치고 캐나다 원유의 최대고객이 됐군요.

https://globalnews.ca/news/11489014/mark-carney-economic-speech-budget/

캐나다 카니 총리는 미국외 수출을 2배로 늘리겠다며
"캐나다는 승리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https://gfmag.com/economics-policy-regulation/mexico-and-canada-sign-bilateral-economic-agreement/

캐나다와 멕시코는 새로운 양자경제협정을 맺어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https://www.koreatimes.net/ArticleViewer/Article/172334

정부에서만 그런게 아니라 민간에서도 캐나다인의 미국 여행이 8개월 연속 감소했습니다.

https://www.koreatimes.net/ArticleViewer/Article/172079

캐나다로의 미국산 증류주 수출은 85% 감소했다네요.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5577989?sid=101

한편 한국과는
60조원 규모 잠수함 사업 결정을 앞두고 캐나다 실사단이 한화오션 조선소를 방문했다 하고 다음 주 APEC으로 내한 예정인 카니 총리도 조선소 올 수 있다 그러는데
미국에 일방적으로 맞는 나라들끼리 서로 물건 사주면서 친하게 지내면 좋겠네요.


추가)
https://www.reuters.com/world/us/trump-says-all-trade-talks-with-canada-are-terminated-2025-10-24/

트럼프가 캐나다와의 모든 관세협상을 중단했다고 합니다.
미국 관세에 맞서 싸우자는 캐나다 광고를 극악무도한 행동이라며 문제시했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Ashen One
25/10/24 11:50
수정 아이콘
캐나다가 트럼프로 감정이 많이 상했죠. 당연한 행보라고 생각합니다.
캐나다 입장에서 딱히 중국과 등질 이유가 없기도 해요.
크레토스
25/10/24 11:52
수정 아이콘
캐나다가 미국 따라서 화웨이 멍완저우 구금하고 중국 전기차에 100% 관세 매기고 그랬다가 중국에 농산물 수입 안하는 보복만 당했죠. 정작 미국선 챙겨주지도 않았고요. 트럼프의 막장행보까지 합쳐지니 미국 협조 안해주고 그냥 경제적 실익이나 챙기자는 기조로 돌아선 거 같습니다.
25/10/24 11:51
수정 아이콘
진짜 트럼프에세 맞는 국가들끼리 연합하면 트럼프도 어쩌지 못할 텐데요.
25/10/24 11:52
수정 아이콘
와 캐나다가 중국이랑...

이러다가 호주도 중국이랑 붙는 세계관이 올지도 모르겠네요;;
25/10/24 11:55
수정 아이콘
전통적 다극체제를 무너뜨리는 황상..
임기가 끝나면 세계는 또 다른 개편으로 나아갈지도
전기쥐
25/10/24 11:57
수정 아이콘
51번째 주 운운하는데 가만히 있을 수가 없겠죠.
유동닉으로
25/10/24 12:03
수정 아이콘
Make China great again!
다시마두장
25/10/24 12:05
수정 아이콘
가장 큰 이웃 우방을 이렇게 척지게 만드는 트럼프... 정말 대단합니다.
25/10/24 12:06
수정 아이콘
남의 나라로 놓고 보니 되게 상식적인 결정으로 보이네요.
그런데 왜 우리나라로 놓고 보면 중국한테 돈벌려하면 욕하고 싶게 되는지
25/10/24 12:49
수정 아이콘
캐나다 호주 이런데는 중국한테 원자재 팔고 공산품 수입할거 수입하는 윈윈 관계지만 한국은 국가핵심산업에서 중국하고 경쟁해야하는 관계니까요
25/10/24 12:06
수정 아이콘
뉴노멀 적응하기 빡세네 크크크크
배부른도라
25/10/24 12:22
수정 아이콘
이야 저 동맹을 깬다고? 대단하네 대단해
25/10/24 12:24
수정 아이콘
중국이 미국 이길 확률은 낮았었는데 트황상이 중국에 힘을 실어주네요
여전히 미국이 유리하긴 하겠지만 역전의 실마리가 생기긴 한 듯
버그에요
25/10/24 12:27
수정 아이콘
트럼프가 만만한 동맹국들에게만 엄격하고, 중/러 상대론 온순한 양 같이 구는데 동맹국들도 굳이 미국 편에만 서 있을 이유가 없죠. 심지어 트럼프가 1~2년 남은 것도 아니고 거의 4년이 남았는데(이게 제일 환장하겠는;;) 중국이 전 세계를 상대로 하는 치킨게임이 만의 하나라도 성공한다면 트럼프 지분이 가장 크지 않을까 싶습니다.
청둥오리
+ 25/10/24 17:20
수정 아이콘
다음 대선이 28년 11월이니 정확히 3년 남았죠. 그보다 내년 11월 중간선거에서 트럼프가 지면 레임덕은 물론 민주당이 최적 기회만 엿보는 엡스타인 파일이 열려 탄핵당할지도 모르니 트럼프가 주방위군 여기저기 동원하면서 내전 분위기로 몰아가 친위 쿠데타 도모할 확률이 더 큽니다.
이정재
25/10/24 12:35
수정 아이콘
세계의 권력 서열이 어찌되는지 아느냐
1위는 푸틴이고 2위는 시진핑
트럼프는 3위에 불과하다
Canta per me
25/10/24 12:39
수정 아이콘
3위는 네타냐후 아닙니꽈
25/10/24 12:39
수정 아이콘
숫자/비중으로 까봐야죠 뭐. 
살려야한다
25/10/24 12:53
수정 아이콘
이렇게 또 세계 평화를 가져오는 황상니뮤
25/10/24 13:01
수정 아이콘
굳이 세계의 깡패가 되고싶다면 캐나다는 끌어안으면서 다른나라를 패는게 구도가 좋을텐데 캐나다를 우선으로패는거보고 의문부호가 들긴했어요...
전기쥐
25/10/24 13:05
수정 아이콘
이미 잡은 물고기는 함부로 해도 된다고 생각하는 게 트럼프식 사고방식입니다.
This-Plus
25/10/24 13:15
수정 아이콘
트럼프의 전랑 외교, 그 끝은 과연
깃털달린뱀
25/10/24 13:16
수정 아이콘
대중국 포위망 박살나면 제일 힘든 게 우린데 트럼프가 손수 박살내고 있는 게 참...
raindraw
25/10/24 13:18
수정 아이콘
great again 하려면 일단 위대하지 않게 되어야 하고 지금은 그 단계를 밟는 중입니다?
무무보리둥둥아빠
25/10/24 13:20
수정 아이콘
내년 월드컵은 관세 월드컵!! 어떻게 공동개최 하고나니 3개 국가 관계가 최악으로 가나요 흐흐흐흐;;;
25/10/24 13:20
수정 아이콘
이러다 토론토가 월드시리즈 우승하면 취소시키는 거 아닐지...
마라떡보끼
25/10/24 13:31
수정 아이콘
크크 한번 보고 싶네요 정배는 아니지만 토론토 우승 응원해봅니다
지구돌기
25/10/24 13:22
수정 아이콘
[원교근공]은 유서깊은 외교 전략이죠.
25/10/24 13:30
수정 아이콘
미국이 마음놓고 전세계에 자신의 영향력을 투사할 수 있었던 것에는 인접국인 캐나다와 멕시코가 든든한 동맹국이어서 후방 걱정을 안해도 되는 것이 컸죠. 괜히 예전 전임자들이 신경을 쓴 것이 아닌데 트럼프는 뭐하는 짓인지..
나른한우주인
25/10/24 13:33
수정 아이콘
멕시코는 워낙 당한게 많아서 든든한 동맹국과는 거리가 좀 있지 않나요?
전기쥐
25/10/24 13:44
수정 아이콘
멕시코 정부는 친미인데 멕시코 일반 국민들 민심은 반미이기도 하고 복잡하더군요.
25/10/24 14:44
수정 아이콘
국민감정은 그런데 적어도 정부는 미국에게 충분히 우호적이고 협조적이었으니까요..
마카롱
25/10/24 13:33
수정 아이콘
불확실한 경제적 이득을 보려고 수십 년간 쌓아온 양국 관계를 손상시키는 것은 절대 손해라고 봐야죠.
안보적으로도 위협이 될 것 같은데요. 바로 머리 위의 국가가..
25/10/24 13:54
수정 아이콘
다른 나라도 마찬가지지만 특히나 캐나다하고 척지면 늘어나는 국방비 감당 되나요?
국방비라는 게 꼭 전쟁을 해야지만 많이 나가는 게 아닌데.
25/10/24 13:58
수정 아이콘
내가 만약 미국을 적국으로 두는 나라의 스파이라면, 낼 수 있는 최고의 아웃풋이 캐나다와의 이간질일 것 같네요
25/10/24 14:07
수정 아이콘
이러다 미국이 고립되겄어
마르키아르
25/10/24 14:12
수정 아이콘
유럽-중국-캐나다 가 손잡아 버리면..

미국도 상당히 어려워질꺼 같은데..

( 미국이 너무 막장으로 나가버리다보니, 개인적으론 그렇게 되버렸으면 좋겠네요 -_-; )
철판닭갈비
25/10/24 14:18
수정 아이콘
원래 세상이 혼돈하면 합종연횡이 일어나는거죠
동탁에게 대항한 18로 제후도 떠오르고 참...크크
No.99 AaronJudge
25/10/24 14:36
수정 아이콘
어쩔수없죠.
오컬트
25/10/24 14:58
수정 아이콘
세상이 망해도 미국에겐 캐나다가 제일 마지막이라 생각했는데...
TempestKim
25/10/24 14:59
수정 아이콘
캐나다는 실제로 침공할 생각이라 일부러 저러는 듯 해요 고의 갈등 조장
25/10/24 15:02
수정 아이콘
51번째 주 운운하는데 저 같아도 저러고도 남을 것 같습니다.
小荷才露尖尖角
25/10/24 15:14
수정 아이콘
한 십년전 중국의 시사프로에서 코멘테이터라고 할까 해설을 하는 국제관계전문가가 중국과 미국의 경쟁구도에서 있어서 미국의 약점중 하나로 정치체제를 꼽길래 개소리도 적당히 해야지라고 웃었는데 지금와 보니 뭐 틀린 말도 아닌거 같네요......
우스타
25/10/24 15:18
수정 아이콘
사실 전체주의적 일당독재는 어떻게 되든 극한의 효율일 수밖에 없죠 올라가든 골로 가든

현재 미국은 비효율적으로 골로 가는 중
小荷才露尖尖角
25/10/24 15:20
수정 아이콘
트럼프 취임해서 아직 1년 안됐습......
탑클라우드
25/10/24 15:17
수정 아이콘
최우방을 돌아서게 만드는데 협상의 대가??
알바척결
+ 25/10/24 15:52
수정 아이콘
???: 친중이다~~!!
호라이즌즌
+ 25/10/24 16:02
수정 아이콘
요즘은 대륙봉쇄령기 나폴레옹 보는 듯합니다.
우호적이었던 러시아 적자 잔뜩 떠안게 만들다가 그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 선거게시판 오픈 안내 [30] jjohny=쿠마 25/03/16 39017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7] 오호 20/12/30 315794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70054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76658 4
105273 [일반] 웹소설에서 생각나는 주인공과 인물들. ( 스포성 글들 주의 ) 일월마가502 25/10/24 502 0
105272 [일반] 반도체 천조국 달성! [13] 삭제됨1522 25/10/24 1522 0
105271 [일반] 이제는 아예 언급도 안되는 과거의 코스피 황제주이자 우량주 [38] 이게무슨소리1894 25/10/24 1894 0
105270 [일반] 재미있는 현대차그룹과 LG그룹의 시가총액 3위 경쟁.jpg [24] 시나브로1086 25/10/24 1086 0
105269 [정치] 미국 의존도 감소 위해 광폭 외교중인 캐나다 근황 [48] 크레토스5472 25/10/24 5472 0
105268 [정치]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이 모두 반영된 첫 갤럽 조사가 떴습니다. [265] 전기쥐7416 25/10/24 7416 0
105267 [일반] 인본주의와 개고기 [7] likepa1518 25/10/24 1518 10
105266 [정치] 재건축업계의 슈퍼스타(?)가 본격적으로 움직이기 시작했네요. [47] petrus4602 25/10/24 4602 0
105265 [일반] 추진중인 3차상법개정, 자사주소각 그리고 우선주 [37] 퀘이샤8443 25/10/23 8443 2
105264 [정치] 갤럽 조사상 처음으로 주식 투자 선호 비율이 부동산 투자를 앞질렀습니다. [293] 마라떡보끼12927 25/10/23 12927 0
105263 [일반] 전공의도 근로자…대법 "40시간 초과근무 수당줘야" [191] 신정상화11876 25/10/22 11876 2
105262 [일반] 발루아-부르고뉴 가문의 저지대 통합 [2] 계층방정4474 25/10/22 4474 5
105261 [일반] 강의 특성에 따라 4대문명이 달라진 이유 [29] VictoryFood9630 25/10/22 9630 29
105260 [일반] 유혹하고 돈 버는 구조 [14] 신정상화7817 25/10/22 7817 2
105259 [일반] 캄보디아 청년, 다수는 그저 또 다른 가해자인가? [81] 신정상화10030 25/10/22 10030 7
105258 [정치] “수십억 아파트 갭투자하고 국민은 안된다?” 정부, 여론 들끓자 전문가 불러 ‘당부’ [부동산360] [420] petrus15030 25/10/22 15030 0
105257 [정치] 조희대의 대법원, 12월 3일 계엄 따른 조치 논의됐나? [460] 빼사스14434 25/10/21 14434 0
105256 [정치] 김건희 이배용과 함께 경회루에서? [18] 삭제됨5219 25/10/21 5219 0
105255 [정치] 돈을 번 아파트, 돈을 못 번 아파트 분석 [43] 바람돌돌이6935 25/10/21 693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