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11/20 23:54:55
Name aDayInTheLife
Link #1 https://blog.naver.com/supremee13/221713821676
Subject [일반] 아이리시맨 - 그리고 남겨진 것들.(스포!)
1975년, 지미 호퍼라는 노동조합 위원장이 실종됩니다. 그리고 이 사람의 행방은 지금까지도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영화 <아이리시 맨>은 이 실종사건에 얽힌 내막을 풀어내는 갱스터 영화입니다. 또한 스콜세지와 로버트 드 니로가 오랜만에 합작한 갱스터 영화이기도 합니다.



영화의 첫 오프닝은 독특합니다. 병원의 복도를 따라가다가 들리는 나레이션. 결국 카메라는 프랭크 앞에 멈춰 섭니다. 관객에게 말을 거는 이야기, 이거 스콜세지 스타일이다 싶다가도 정작 프랭크는 카메라를 쳐다보지 않고, 첫 마디는 나레이션으로만 적용되거든요.



영화의 이야기 구조는 그래서 독특합니다. 말하는 사람은 있는데 듣는 사람은 (원래 그랬듯 관객이 아니라) 정해져 있지 않고요. 과거 회상은 필요에 따라 나타났다 사라집니다. 때때로 타란티노의 구성이 떠오르기도 할 정도로요.



이런 과거 회상은 기본적으로 후일담의 느낌이 짙게 풍깁니다. 영화상에서 첫 장면은 모든 것이 끝난 이후의 상황이고 결국 그 여파에 관한 이야기들이 남아있을 뿐이거든요. 영화 전체가 결국 후반 사건에 의해 결정된 이야기이면서 또 독특하게도 전반부의 것들이 쌓여서 후반부로 넘어가는 영화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서사로는 뒤죽박죽이면서 정서적으로는 순환하는 영화라고 할까요.



그래서 저는 <아이리시 맨>에서 회한이나 후회 같은, 지나간 것들에 대한 감정들이 많이 느껴졌어요. 지금까지의 마틴 스콜세지의 갱스터 영화들이 야유와 비꼼의 블랙 코미디였다면, 이 영화에선 아이러니하면서도 묘하게 씁쓸한 감정이 남는 블랙 코미디 - 드라마입니다. 어쩌면 갱스터 영화에 나오는 가족들과 현실의 가족들이 얼마나 허망하게 멀어져가는가에 대한 고독한 드라마기도 하구요.



배우들의 연기는 인상적입니다. 개인적으로 인상적이었던건 조 페시 였는데, 공교롭게도 <좋은 친구들>에서의 느낌과 정 반대의 캐릭터를 맡았네요. 비교하자면 보통 알 파치노가 분출하고, 드 니로가 받는 구도의 그림이 많이 나오는데 둘 다 존재감을 뿜어냅니다.



정확한 표현인지는 모르겠지만, 스콜세지의 영화는 참 단정한거 같습니다. 고전적이기도 하고, 한편으론 단단하게 끌고 나가는 느낌이 깊기도 하고요. 209분이란 러닝 타임이 무지막지하게 길긴 한데, 로드 무비와 갱스터 무비, 드라마로써 쌓아올리는 과정이라면 납득할만한 길이이기도 하고, 또 순간순간 긴장감을 유도하면서 만들어내는 장면들은 (시동 장면, 삼거리 장면, 자동차 앞 뒷 좌석 장면 등등) 참 모범생처럼 영화를 만든다는 생각도 들더라고요.



디파티드 이후 오랜만에 본인이 잘하던 장르로 돌아온 스콜세지는 그대로 인 부분도 존재하면서 그대로가 아닌 부분도 존재했던 영화가 아니었나 싶습니다.



--------------------------------------------

209분... 은 좀 많이 길긴 하네요. 허어....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LE_Astra
19/11/21 00:0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전 안길었어요 흐흐. 영화가 안끝나길 바라는 감정 참 올만에 들었어요. 스콜세지에게 박수 보내고 싶어요.

저도 조페시가 가장 인상 깊습니다. 역할도 역할인데 연기가 감탄만 나오더군요.
좋은친구들, 나홀로 집에, 아이리시맨 셋 모두 이렇게 다르게 할 수 있나요 크크.
aDayInTheLife
19/11/21 00:27
수정 아이콘
저는 조오금 길긴 하더라고요 크크
aDayInTheLife
19/11/21 08:54
수정 아이콘
좋은 친구들과는 구도가 완전 반대인거 같아서 흥미롭더라고요. 넷플릭스로 끊어서 본다면 오히려 별로일거 같습니다. 길지만 한 호흡에 봐야할거 같아요.
안철수
19/11/21 00:36
수정 아이콘
손에 땀을 쥐게하는 흥분, 몰입은 없지만 팝콘 먹고 콜라 마시면서 편하게 볼수 있는 드라마 같은 영화여서 좋았습니다.

다만 너무 많이 먹고 마시면 중간에 힘들수도 있습니다. 뇌는 괜찮은데 방광에겐 좀 긴 러닝타임입니다.
aDayInTheLife
19/11/21 06:39
수정 아이콘
저는 허...리....
aDayInTheLife
19/11/21 14:11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대로 팝콘 콜라 먹으면서 보기엔 넷플 같은 스트리밍이 꿀인데 반대로 몰입감 측면에서 손해볼거 같은 플랫폼 이기도 했습니다.
카푸스틴
19/11/28 00:02
수정 아이콘
지루하진 않았는데 끝나고보니 하루의 너무 많은 시간이 지나있어 좀 아까웠습니다.
보통 저녁에 영화보면 끝나고 맥주 한 잔 하고 들어가도 되는데, 이 영화는 끝나고 바로 집에가서 잘 준비 해야 하더군요.
지금 넷플릭스로 다시 틀어놨는데 극장판보다 콘트라스트가 약하게 들어간거 같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3520 [일반] [해외축구] 토트넘 무리뉴 데뷔전 짧은 감상 [15] 공부맨9682 19/11/23 9682 1
83519 [정치] "격해지는 한일 무역분쟁. 분쟁원인을 살펴보자." 슈카월드 요약 [45] 모모스201316165 19/11/23 16165 0
83518 [일반] 김장은 다들 잘 하셨나요? (feat 좋은 절임배추 구매하는 법) [6] 크림샴푸7296 19/11/23 7296 4
83517 [일반] [야구]그 시대는 꿈으로 남고 -1- [3] Sinister7321 19/11/23 7321 6
83516 [정치] 애국이냐 이적이냐. 낙인찍기. [7] LunaseA11274 19/11/23 11274 0
83515 [일반] 뭐하러 영화제 씩이나 가서 영화를 보나요? [6] Espio8005 19/11/23 8005 4
83514 [일반] 법륜스님 즉문즉설 참가 (수원 컨벤션센터, 11월 12일) 후기 [7] 삭제됨6716 19/11/23 6716 6
83512 [일반] [팝송] 콜드플레이 새 앨범 "Everyday Life" [8] 김치찌개7432 19/11/23 7432 3
83511 [일반] [킹치만클럽]아 이쪽이니까 타시라구요! <트렌드 코리아 2020> [21] 별빛서가9487 19/11/23 9487 30
83510 [일반] 고양이 입양한 이야기 2 (사진들) [25] InYourHeart7921 19/11/22 7921 18
83509 [일반] 창세기의 전략 [22] 성상우7514 19/11/22 7514 3
83508 [정치] 내달 한일정상회담이 열립니다. [28] 마빠이11848 19/11/22 11848 0
83507 [정치] 지소미아 문제는 패배가 곧 승리 [33] LunaseA14202 19/11/22 14202 0
83506 [정치] “타이완, 한일 갈등에 양국 관광객 급증…반도체도 반사이익” [21] 나디아 연대기10215 19/11/22 10215 0
83505 [일반] 김학의 전 법무차관 1심 무죄 [42] 우리는 하나의 빛9724 19/11/22 9724 4
83504 [일반] 세 부류의 선진국들 - 영미형, 대륙유럽형, 그리고 동아시아형 [9] 데브레첸7683 19/11/22 7683 1
83503 [정치] [단상] 지소미아 건의 교훈 [53] aurelius10628 19/11/22 10628 0
83502 [정치] 지소미아 관련 일본 경제산업성 기자회견 질의문답 [169] 아름다운돌13326 19/11/22 13326 0
83501 [정치] [1보]日정부 "개별 품목 심사해 韓수출 허가한다는 방침 변화없다" + 추가속보 [121] castani13545 19/11/22 13545 0
83500 [일반] 겨울왕국 2는 왜 스크린 독과점 영화가 되었나? [21] 스위치 메이커7891 19/11/22 7891 2
83499 [정치] GSOMIA 협정 파기 일시 동결 [175] 及時雨17758 19/11/22 17758 0
83497 [일반] 갓민일보 기념-[이달의 기자상 수상작] "한국 사회 잔혹극 '살해 후 자살'" [9] 벨로티12296 19/11/22 12296 15
83496 [일반] 전략의 3요소 [13] 성상우6749 19/11/22 6749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