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10/25 23:47:02
Name 유동닉으로
Subject [정치] 보이지 않는 유권자/정치참여자가 된 그룹들
최근 캄보디아에서 송환된 청년들을 놓고서 정치권들의 반응과 최근 PGR에서 불타는 이슈들을 보면 여론과 정치권이 '2030 남성' 이라는 틀 안에 누구를 고려하고, 어떤 그룹들이 외면당하는 지 알 수 있습니다.

개혁신당에서는 캄보디아 아래와 같이 처음에 논평을 내놓았습니다.
https://www.news1.kr/politics/assembly/5945362
이동훈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그들을 꾸짖기 전에 먼저 물어야 한다. 왜 우리 청년들은 그 위험한 길을 택할 수밖에 없었는가"라며 이같이 전했습니다.
다만, 이런 동정적인 스탠스는 별로 오래 가지 않았죠. 이후 당의 기조는 정부 비판과 '불법' 프레임으로 빠르게 회귀했습니다. 이는 전장연이나 동덕여대 관련 사건을 대하는 당의 기존 스탠스, 즉 '이유는 둘째 문제이고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불법 행위는 용납될 수 없다'는 논리와 정확히 일치합니다. 경향신문 보도에 따르면, 이번 사건의 당사자들은 대부분 '지방에 거주하는 무직 청년'들입니다. 이들은 '수도권 부동산 폭등'같은 이슈랑은 직접적으로는 상관이 없는 계층들입니다. 왜냐하면, 자산 가치의 상대적 박탈감은 심적인 문제이지만 정말 큰 문제는 일자리와 기회 자체가 부재한 지방 경제의 붕괴에 있기 때문이죠.

https://www.khan.co.kr/article/202510230700011

국민의힘과 개혁신당을 위시한 보수 진영은 '2030 남성'의 지지를 확보하려 노력하지만, 그들이 실제로 포용하고자 하는 혹은 마스코트처럼 앞으로 내세우는 대상은 '수도권의 엘리트 보수 청년’으로 한정되는 경향이 뚜렷합니다. 이들의 핵심 선전 문구/이야기는 "능력 있는 2030 남성들이 좌파의 비효율적인 PC 정책과 과도한 규제에 억눌려 있다"는 것이고, 아직 비엘리트인 청년들은 "전통 보수의 시장주의/능력주의 사상을 내재화 해서 본인을 강남 3구 주민들과 일체화 시키고 열심히 보수를 지지하고 노력하면 너도 강남 3구를 입성할 수 있다. 다만 이를 막는 게 내로남불의 민주당이다" 대충 이런 서사죠.

하지만, 보수 정권의 부동산 세금 감면 정책은 고가 주택을 소유한 기존 실거주자들에게 '정권이 바뀔 때까지 버티면 된다'는 강력한 신호를 주고 이런 부분이 젊은 세대들의 강남3구 입성을 막는 요인중에 하나 입니다. 이와는 별도로 위와 같은 아젠다 조차, 수도권 핵심지의 자산 장벽과 관련된 부분이지, 자산 형성의 스노우볼조차 굴리기 힘든 지방 청년들이나 '쉬었음' 청년들에게는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개혁신당이 제시한 '지방 최저임금 차등화' 같은 정책 역시, 현장의 절박함보다는 현실과 괴리된 엘리트주의적 시각에서 나온 '사고 실험'에 가깝습니다. 결국 이들은 캄보디아 사건을 계기로 지방의 무직 청년들의 구조적 문제를 환기하기보다, 관련 의원(김병주)을 공격하는 정쟁의 소재로 소비할 뿐입니다. 보수 진영은 지방의 비엘리트 청년들을 '2030 보수'라는 이름으로 묶어 그들의 표는 흡수하지만, 그들의 의제는 철저히 외면하고 있습니다.

위에서 보수진영의 부동산 세금 정책인 수도권 핵심지 자산 장벽을 만드는 데 역할을 한다면 진보진영 또한 강력한 노동법, 노동 구조 개선을 말하면서 4050의 고소득 직장인들에게 가장 큰 수혜를 주는 구조를 만듭니다. 위에 노동권 향상과 관련된 부분은 본인들의 기존 지지층이 4050에게는 굉장히 큰 혜택이지만 제대로 된 일자리 없이 전전하는 청년들에게는 사실 의미 없는 얘기이죠. 법의 강력한 보호를 받을 수 있는 대기업/중견 기업의 일자리는 대한민국 전체로 보면 소수이니까요.

현재 민주당의 선거 전략은 핵심 지지층인 4050의 입맛에 맞춘 정책/아젠다를 중심으로, 어차피 이준석/이준석+윤석열 묻은 국힘을 찍지 못하는 2030 여성의 견고한 지지를 추가하고, 노동 관련 문제에 있어서 진보쪽 방향을 선호하는 2030 남성들을 확보하는 데에 있습니다. 지역적으로는 서울 시장은 몰라도 강남3구 제외한 서울+경기도+호남을 확고한 지지기반으로 충청도와 경남/부산을 스윙스테이트로 만들어서 반반 가르기만 해도 해도 지선/대선/총선 모두 필승이라는 마인드죠.  

총선/대선 다 패배하고 현재 주류 세대인 4050에게 완전히 외면 받은 국힘은 중도층 확장이 필요하지만, 민주당은 이제 정청래처럼 ‘상기하라~’ 이런 것만 던져주어서 기존 강성 지지층만 결집해도 충분하다는 계산이 눈에 보입니다. 하지만 명색이 사회적 약자와 소외된 이들을 대변하고, 이들을 위한 사회적 안정망을 구축해야 하는 진보 정당이 절박한 문제(지방 소멸, 주변화된 지방 2030)를 파고들어 제도적 대안을 만들기보다, 손쉬운 지지층 결집에만 몰두하고 있는 것은 잘못된 방향입니다.

민주당은 180석에 가까운 입법 권력과 행정부를 장악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의 구조적 모순을 해결하려는 실질적인 노력을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쉬었음' 청년이 40만에 육박하고, 지방 청년들은 자신의 어려움을 공론화할 채널조차 없습니다. 거의 모든 정치적 아젠다는 철저히 수도권 중심으로 돌아갑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탄핵도 못 할 대법원장만 계속 흔드는 것은 대법원장을 끌어내리는 게 목적이라기 보다는 그냥 지지층 호소용에 불과하고, 민주당은 있는 표만 지킬 생각을 하는 게 아니라 과거처럼 80년대 노동 운동 하던 정신으로 소외 받는 계층에게 접근해야 합니다.

지금 철저하게 주변화 되어버린 지방의 비엘리트 계층은 적당히 표만 빨아 먹히면서 그 자신들만을 위한 정치적 아젠다는 행방불명입니다. 특정 사이트 등지에서 올라오는 2030 청년 남성들의 아젠다들이 있긴 하죠. 우리 빼고는 다 망하게 만들어달라는 무시무시한 아젠다는 있습니다만, 이건 그냥 세상이 불타기를 원하는 거라 아젠다라고 할 만한 것도 못 됩니다.

‘여성’의 경우에는 서울/수도권으로 올라오면 그래도 지방에서 보다는 돈을 잘 주는 서비스 업종을 구할 수 있다는 탈출구가 있지만, 저숙련 노동자일 수밖에 없는 ‘청년 남성’의 경우에는 지방이나 서울이나 몸 쓰는 일자리만 몸 갈리면서 일하게 될 가능성이 높은데 이 경우에 그나마 주변 인맥이 남아 있고 비교적 물가가 싼 지방에 남아 있거나 쉬었음 청년이 되어버리는 거죠.

보수 진영은 이들을 표로만 이용할 뿐 실질적인 이익을 제공하지 않으며, 진보 진영은 이들을 노동자 보호라는 큰 틀 안에서만 약간의 편익을 제공합니다. 이런 부분에 있어서 보수가 ‘집값은 보수에서 안정된다’ 프레임을 계속 미는 거 같기도 하네요. 하지만, 집값 관련 프레임은 수도권 청년들에게만 작동될 뿐, 양당 모두 지방 거주 청년들의 절박함을 해결할 의지도, 능력도 보여주지 못하고 있습니다. 차라리 민주당 일각에서 꺼내 들고 있는'5극 3특'과 같은, 수도권 집중을 타파하고 지역에 실질적인 기회를 창출하려는 아젠다가 지금 당장 필요한 논의일 것입니다. 보수/진보를 떠나서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10/26 00:00
수정 아이콘
[노동권 향상과 관련된 부분은 본인들의 기존 지지층이 4050에게는 굉장히 큰 혜택이지만 제대로 된 일자리 없이 전전하는 청년들에게는 사실 의미 없는 얘기이죠.]

일용직 노동판 돌아다니신 적이 있다면 이런 얘기는 못하실 텐데요.
신성로마제국
25/10/26 00:12
수정 아이콘
'쉬었음'청년을 위해서 어떤 정책이 필요할까요?

https://namu.wiki/w/%EC%89%AC%EC%97%88%EC%9D%8C
취준도 안 하고(6), 학교(3)나 학원(4,5)도 안 다니고 다친 것(9)도 아닙니다. 그냥 아무 것도 안 하는 겁니다.

3~6의 사례들은 좁아지는 취업문 앞에서 뭐라도 해보겠다고 열심히 사는 사람들이라 이런 사람들을 위해서 지원해주고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어주는 건 사회와 정부의 마땅한 의무가 맞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아무 것도 안 하는 사람들을 위해서는 어떤 정책이 필요한지 저는 잘 모르겠어요. 그런 사람들을 위한 양질의 일자리, 정말 살기 좋은 지역공동체란 게 실존할 수 있을까요.
유동닉으로
25/10/26 00:17
수정 아이콘
저도 그냥 쉬었음 청년들에 대해서는 좀 복잡한 심정인데, 결국 사회가 만든 현상이라는 생각 반, 그냥 부모에게 기대어 사는 존재라는 생각 반 이렇게 보고 있습니다.
25/10/26 00:14
수정 아이콘
그리고 민주당 손쉬운 지지층 결집에만 집중한다고 하시는데 당장 상설 특검에 올라간 쿠팡건만 하더라도 노동판 피라미드 최하위권의 [일용직 노동자들의 퇴직금 미지급 이슈]입니다. 노동권 향상이 4050에게만 혜택이 집중 된다는건 대체 뭔 얘기인지 이해도 안 됩니다.
유동닉으로
25/10/26 00:19
수정 아이콘
제가 좀 섞어서 써서 오해를 만든 것 같습니다. 해고를 어렵게 만드는 법적 보호망의 경우에는 고소득/대기업 노동자들이 혜택을 많이 본다는 의미로 작성한 거고, 말씀 하신 부분 중에서 전반적인 노동 인권의 상승은 열악한 처지에 있는 모든 노동자들이 수혜를 보죠.
25/10/26 00:24
수정 아이콘
경직된 고용은 특정 세대에게만 돌아가는 혜택도 아니고, 고소득 대기업 노동자들만이 이득을 본다는 거 자체를 동의하기가 어렵습니다. 고용 유연화를 지지하시는거 같은데, 고용 유연화도 노동 하위권에게 더 불리하게 작용할 가능성이 더 높은 정책입니다. 애초에 현 민주당이 그쪽에만 집중하는 것도 아니고요.
유동닉으로
25/10/26 00:28
수정 아이콘
저는 고용 유연화 반대하는 입장입니다, 다만 저런 고용 경직성도 일종의 진입 장벽으로 인식되는 부분도 있어서 본문처럼 표현했습니다, 사실 초안에는 말씀하신 부분도 적었었는데, 글이 너무 산만해지는 거 같아 뺐습니다.
25/10/26 00:36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의 고용이 지나치게 경직된 측면이 있는건 사실이고 거기에서 따라오는 부작용이 큰 것 또한 사실입니다. 그 부분에 대한 논의 또한 필요하긴 하지요. 하지만 글에서 전개되는 논지가 각 정당은 자신들의 지지층만 챙긴다라는 말씀을 하고 계시는데, 이 부분은 도저히 동의하기 어려워서 댓글을 남기게 되었네요.
lifewillchange
25/10/26 00:37
수정 아이콘
전 이재명이 청와대 입주를 정한거 부터 지방에 별 관심이 없을거라 생각한지라...민주당도 또하나의 기득권 세력이기 때문에 진보적인 아젠다는 이제 더 추진 못할거라고 생각합니다. 여성정책을 진보적 아젠다라고 생각하시는 분도 있을거 겠지만...
25/10/26 00:40
수정 아이콘
윗 댓글에도 적었지만 민주당이 쿠팡 이슈를 상설 특검에 올렸는데 이게 일용직 노동자 퇴직금 미지급 이슈입니다. 이것만 보더라도 사회적 약자를 챙기는건 민주당과 국민의 힘을 동급으로 놓고 보기에는 매우 어렵습니다.
사조참치
25/10/26 01:00
수정 아이콘
(수정됨) 글 안에만 한정하면 논리는 그럴듯하지만... 정작 진보계열의 노동권 관련 노력을 4050 중심의 손쉬운 지지층 확보 정책으로 치부하는 건 정작 현 민주당의 정책 방향이나 현안들에 큰 관심 없다는 소리로 들립니다.
위에 날라님이 언급하신 쿠팡 건만 해도 4050 고소득 직장인들하고 관련이 얼마나 있겠습니까. 그외 비정규직 관련 정책들도 찐(?)진보정당들이 민주당 너무 약하다고 비판할지언정 아무 소리 안한다느니 4050 고소득자만 챙긴다느니 할 정도인가요?
최저임금 이야기가 본문에서 나왔는데, 지난 문재인 정권에서 최저임금 올린다고 그렇게 난리치고 여기 정게도 시끄러웠죠... 근데 그게 고소득자들 위하는 정책이었던가요.

민주당 건만 봐도 논리가 이렇게 빈약한데 국힘이나 개혁신당 측에 대해 말씀하신 것들도 그쪽 지지층이 동의할지는 강한 의문이 듭니다.
아이군
+ 25/10/26 03:1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음... 이 글은 방향성이 좀 잘못되었습니다.

많은 분들이 지적하다시피, 정당은 이런 쪽에서 그나마 낫습니다. 뭐 민주당이나 국힘이 좋아서가 아니라 전통적인 정당은 지역기반이 어느 정도 깔려있거든요. 호남과 영남의 영향력이 어느 정도 남아있는 정당은 여러 정치 주체 중에서 지방의 목소리를 '그나마' 내는 쪽입니다.

오히려 문제는 다른 주체들이에요. 언론이나 커뮤니티, 전문가 등등등... 하다못해 여기 PGR같은 커뮤니티도 부동산=서울 수도권 부동산이죠.

이 문제는 진지하게 생각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언론도 그렇고 커뮤니티도 그렇고 일종의 '주류'가 아닌 바깥 부분은 철저하게 소외되는 경향이 있다고 봐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5288 [일반] [팝송] 도자 캣 새 앨범 "Vie" 김치찌개521 25/10/26 521 0
105287 [정치] 보이지 않는 유권자/정치참여자가 된 그룹들 [12] 유동닉으로1639 25/10/25 1639 0
105286 [일반] 올해 5급 공채시험 수석/최연소 등 면면들 [25] 흰둥3674 25/10/25 3674 2
105285 [일반] 자동차 '페달 오조작 방지장치' 2029년부터 장착 의무화 [16] 굄성3965 25/10/25 3965 5
105284 [일반] 너무 늦게 쓰는 한달짜리 미국 여행기(스압) [12] 퀘이샤2300 25/10/25 2300 6
105280 [일반] 안녕하세요. 자유게시판 운영위원 마르코입니다. [9] 마르코4391 25/10/25 4391 42
105278 [정치] 김어준이 이번 부동산 정책에서 의외로 조용한 이유? [208] petrus8473 25/10/25 8473 0
105277 [일반] 부고니아(지구를 지켜라 리메이크) 감상평 [6] 흰긴수염돌고래3271 25/10/25 3271 5
105276 [일반] 실생활에 체감될 듯한 '다크패턴' 규제정책 [22] 오컬트5191 25/10/25 5191 15
105275 [정치] [속보] 이상경 국토차관 사의표명 [190] petrus11685 25/10/24 11685 0
105274 [일반] 한국은 인재 보호가 가능하고 해외 주요 인력을 스카웃할 수 있을까? [104] 성야무인6662 25/10/24 6662 9
105273 [일반] 웹소설에서 생각나는 주인공과 인물들. ( 스포성 글들 주의 ) [12] 일월마가3124 25/10/24 3124 4
105272 [일반] 반도체 천조국 달성! [13] 삭제됨3999 25/10/24 3999 0
105271 [일반] 이제는 아예 언급도 안되는 과거의 코스피 황제주이자 우량주 [52] 이게무슨소리5227 25/10/24 5227 0
105270 [일반] 재미있는 현대차그룹과 LG그룹의 시가총액 3위 경쟁.jpg [28] 시나브로3048 25/10/24 3048 0
105269 [정치] 미국 의존도 감소 위해 광폭 외교중인 캐나다 근황 [59] 크레토스6973 25/10/24 6973 0
105268 [정치]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이 모두 반영된 첫 갤럽 조사가 떴습니다. [368] 전기쥐9629 25/10/24 9629 0
105267 [일반] 인본주의와 개고기 [8] likepa1922 25/10/24 1922 15
105266 [정치] 재건축업계의 슈퍼스타(?)가 본격적으로 움직이기 시작했네요. [48] petrus5593 25/10/24 5593 0
105265 [일반] 추진중인 3차상법개정, 자사주소각 그리고 우선주 [37] 퀘이샤8808 25/10/23 8808 2
105264 [정치] 갤럽 조사상 처음으로 주식 투자 선호 비율이 부동산 투자를 앞질렀습니다. [294] 마라떡보끼13337 25/10/23 13337 0
105263 [일반] 전공의도 근로자…대법 "40시간 초과근무 수당줘야" [193] 신정상화12343 25/10/22 12343 2
105262 [일반] 발루아-부르고뉴 가문의 저지대 통합 [2] 계층방정4741 25/10/22 4741 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